✿ 1998년 경기도 부천 에서
LP가스충전소 연쇄 폭발사고
11일 오후 부천시 내동 LP가스충전소에서 탱크로리가 폭발하면서 거대한 불기둥이
치솟고 있다.
불길은 연쇄폭발로 1시간여 동안
계속됐으며, 불기둥은 1백여m까지
솟아올랐다.
11일 오후 2시 14분,
경기 부천시 오정구 내동 경인고속도로변 대성에너지 LP가스충전소에서
연쇄 폭발사고가 나 소방대원 19명과
시민 등 44명이 중화상을 입고 주변 건물
6채와 차량 수십여대가 불에 탔다.
마치 전쟁터 같았다.
가스통이 연쇄폭발하면서 현장 주변은
폭격을 맞은 자리처럼 변했고,
하늘은 시커먼 연기로 뒤덮였다.
인근 공장 직원과 주민들이 파편과 불길을
피하느라 일대는 아수라장을 이뤘다.
현장에는 타다 남은 가정용 LP가스통이
시커멓게 그을린 채 널브러져 있었으며,
폭발한 가스통들의 잔해가 곳곳에
흩어져 있었다.
옆 세차장 건물벽이 연쇄 폭발음과
함께 무너지고, 가스충전 중이던
택시 10여대와 길가에 주차해 있던
승용차 등 차량 50여대가 전소해버렸다.
또 사고 직전 충전소 지하저장고에
가스를 주입하던 탱크로리 2대는
30여m 떨어진 8차선 도로 건너편
근린공원과 10여m 떨어진 충전소
옆 3층짜리 세차장 건물 앞까지
날아가 있었다.
불은 인근 세차장과 냉동창고 등
6개동을 포함해 충전소 주변 2천여평
일대를 모두 태웠다.
이 일대는 검은 연기로 뒤덮여
한동안 숨쉬기가 곤란했다.
중화상을 입고 병원에 입원중인
가스충전소 안전담당 변재갑(31)씨는
“탱크 로리가 기계실에서 지하저장소에
가스를 주입하는 과정에서 가스가 샌다는
소리를 듣고 확인해보니 주입 연결부위가
어긋나 있었다”고 말했다.
또 다른 충전소 직원은 지하저장소에서
가스가 새 나온 뒤 충전 대기중이던
택시에서 불길이 올라왔다고 말했다.
폭발 직후 경찰과 소방관 등
5백여명이 현장에 출동,
진화에 나섰으나 현장 인근에
가스통들이 계속 폭발하며 불길이
퍼지는 바람에 큰 어려움을 겪었다.
특히 사고 직후 현장 주변에는 탱크로리와 수십여개의 가스통을 실은 1t트럭들이
그대로 있었으나 폭발 위험 때문에
치우지도 못한 채 소방관들은 발만 굴렀다.
또 잇단 폭발음과 함께 불길이 순간적으로
10여m 옆으로 퍼지는 바람에 소방관들이
수시로 대피해야 했다.
이때문에 소방관들은 오후 5시를 넘겨서야
가까스로 불길이 확산되는 것을 막았다.
사고현장이 경인고속도로에서 불과 1백여m
떨어져 있어 경찰은 파편이 날아올 것에
대비해 전체 8개 차선 중 4개 차선을 통제했다.
이때문에 주변 도로가
밤늦게까지 극심한 체증을 빚었다.
또 공장지대에서 5백여m 떨어진
주택가 주민 5백여명이 추가 폭발에
대비해 긴급대피했다.
그해,오늘무슨일이 총 46건
➡️2006년 41년 통치 통가
타우파아하우 투푸 4세 국왕 별세
➡️2005년 법장 조계종 총무원장 입적
➡️2005년 일본 9·11 총선에서
자민당 과반 압승
➡️2004년 김기덕 감독, ‘빈 집’으로 베를린 이어 베니스 감독상 수상
➡️2001년 미국, 9·11테러 발생
https://youtu.be/Eq8mwZflbMI
2001년 9월 11일 오전, 뉴욕의 세계무역센터 쌍둥이 빌딩과 워싱턴의 국방부 청사(펜타곤)가 항공기와 폭탄을 동원한 동시다발적인 테러공격으로 무역센터 건물 2동이 붕괴되고 펜타곤이 화염에 휩싸이는 등 대참사가 발생, 미 전역을 공황상태에 빠뜨렸다.
테러범들이 납치한 여객기로 세계무역센터 쌍둥이 빌딩의 남쪽 동에 처음 충돌한 것은 오전 8시46분이었다. 이어 9시3분 경에는 피랍된 또 다른 여객기가 북쪽 동을 들이받아, 두 빌딩에서는 대형화재가 발생했다. 두 건물은 충돌 후 1시간30분이 지나, 강력한 폭발과 함께 붕괴됐다. 9시43분 경에는 미국 안보의 심장부인 펜타곤에도 납치 여객기가 충돌, 건물 일부가 붕괴되고 화염에 휩싸였다. 곧이어 여객기 한 대가 테러범들에게 납치돼 펜실베니아 상공에서 추락하자 미국인들의 테러공포는 극에 달했다.
이 여파로 뉴욕 증시도 대공황기였던 1933년 이후 68년 만에 4일간 폐장했다. 사망자와 실종자는 2002년 8월 당시 2,801명으로 집계됐다. 이중 신원이 확인된 숫자는 전체의 절반도 안 되는 1379명. 나머지는 시신을 찾지 못해 대부분 유족들이 장례식도 치르지 못했다. 경제적 피해상황도 엄청나 뉴욕시는 테러로 인해 市경제가 2년에 걸쳐 약 1,000억달러의 직·간접 피해를 입었다.
미국은 오사마 빈 라덴을 범인으로 지목, 그를 보호하고 있는 아프가니스탄 탈레반 정권에 빈 라덴의 인도를 요청했으나 탈레반 정권의 모하메드 오마르가 빈 라덴의 구체적인 증거를 적시(摘示)하라며 인도를 거부하자 미국은 마침내 테러발생 26일 만인 10월 7일, 대대적인 공습을 시작했다
http://blog.naver.com/tryxtry/10176166284
➡️2000년 북한 김용순 노동당 비서
서울 방문(~9.14)
➡️1998년 신문삽화 선구자
이우경 화백 별세
➡️1996년 국경없는 의사회,
제3회 서울평화상 수상
➡️1996년 한국-브라질 첫 정상회담.
상호투자 확대 관광-복수 사증 협정 체결
➡️1994년 인천 북구청 세금횡령사건
➡️1990년 김일성 북한 주석,
중국 방문(~9.13)
➡️1989년 노태우 대통령,
한민족공동체 통일방안 발표
➡️1986년 호남고속도로 4차선 개통
➡️1982년 공주사대, 공산성서 길이21m, 너비15m, 깊이2.7m 크기의 백제시대 연못발굴
➡️1980년 경주 안압지와 임해전 복원공사 준공
➡️1980년 새마을지도자중앙협의회 창립
➡️1978년 한국, 기능올림픽서 2연패
➡️1973년 아옌데 칠레 대통령 피살
➡️1971년 흐루시초프 전 소련 수상 사망
➡️1970년 한국-통가 국교 수립
➡️1967년 인도-중국 국경충돌
➡️1965년 전국뇌염발생
누계 550명. 사망 158명
➡️1964년 월남파송의 제1이동외과병원
(130명)과 태권도교관단(10명) 부산 출발
(22일 사이공 도착)
➡️1964년 국회, 4년 만에 국정감사 실시
➡️1962년 한국-코스타리카, 국교 수립
▶️ 1962년 Love Me Do / Beatles
http://blog.naver.com/tryxtry/10170065703
▶️ 1961년 세계야생생물기금(WWF) 설립
세계 자연보호 기금(World Wide Fund for Nature, 약칭 WWF)은 자연보호를 위한 국제 비정부 기구이다. 원 이름은 세계 야생 생물 기금(World Wildlife Fund)으로, 미국과 캐나다에서는 이 이름으로 활동하고 있다. 세계 최대의 환경 단체로, 90여 나라의 5백만 명 이상의 회원이 있으며, 15,000 개의 보호/환경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다. 수입의 90% 이상이 개인과 회사의 기부를 통해 얻어지고 있다.
1961년 9월 11일, 스위스 모르주에서 “세계 야생 생물 기금”이라는 이름으로 만들어졌다. 줄리언 헉슬리와 에드워드 맥스 니콜슨, 피터 스콧, 기 마운트퍼트 등이 조직하였다. 1986년 이름을 “세계 자연보호 기금”으로 바꾸어 현재까지 활동하고 있다.
그리고 세계 자연 보호 기금은 규모가 매우 크고 영향력있는 국제 자연 보호기구 중의 하나다. 이 기금은 국경과 문화, 종교를 넘어서 지구의 온난화와 각종 오염을 막고 모든 생물을 보호하는것을 목적으로 돈을 모으고 있다. 또한 이 기금은 자원을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오염을 줄이고 에너지를 절약하는데에도 목표를 두고 있다.
➡️1953년 유엔군사령관에 헐 대장 임명
➡️1951년 미국의 프로렌스 차드윅
여성 최초로 영국해협 도영(渡泳)
➡️1948년 한미 재정 및
재산에 관한 최고협정 조인
➡️1945년 미군정 장관에 아놀드소장 취임
➡️1945년 경의선 운행 남북분단으로 중단
➡️1945년 미국-영국-프랑스-
중국-소련 5개국 외상 런던회의 개막
➡️1945년 남북철도 운행 중단
➡️1942년 아일랜드, 반(反)미-반(反)영
소요. 미군철수 요구
➡️1937년 미국 최초의 우주왕복선을
조종한 크리픈 출생
➡️1932년 이탈리아-소련 불가침조약 조인
➡️1931년 정미시장 규칙 공포
(1932.1.1-시행)
➡️1919년 상해임시정부 헌법 제정,
대통령에 이승만
➡️1917년 필리핀 대통령 마르코스 출생
➡️1915년 전신전화소 설치
➡️1905년 최초의 부·관(釜·關)연락선 ‘일기환(壹岐丸)’
취항
1905년 9월 11일, 현해탄에 연한 일본 본토의 남부 도시 시모노세키(下關),는 축제분위기였다. `나는 새도 건너기 힘들다`는 현해탄, 1680t급 일본 최초의 대형 연락선 ``일기환(壹岐丸)`이 첫 취항하는 날이었다.
여객 정원 317명, 항해시간 11시간 30분. 일본의 산요선과 한국의 경부선 철도를 잇는 부관연락선 개통으로 동경-서울간을 60시간에 주파하는 시대가 열린 것이다. 1등 선실(운임 12원)이 있는 맨 위층에는 담화실, 레스토랑 등이 있어 일류호텔을 방불케했다. 2등실은 그 밑층의 다다미 깔린 큰방이었다. 그러나 3등실(3원50전)은 맨 아래층, 돗자리 깔린 선반이 층층이 달려있는 형태여서 `누에 치는 곳`이라고 할 정도로 열악한 조건이었다.
관부연락선 취항은 그 직전에 있었던 경부선 개통에 따른 당연한 결과였다. 제국주의는 항상 식민통치의 전제조건으로써 이민과 자원 약탈, 노동력 공출을 원활히 하기 위한 교통망을 필요로 해왔다. 현해탄에 떠있는 섬(이키마루ㆍ壹岐) 이름을 빌었던 첫 호를 제외하고, 관부연락선 이름들은 경복환, 창경환, 금강환, 덕수환, 흥안환, 곤륜환 등 모두 한국이나 중국의 고궁-명산에서 차명, 일본인들에게 이국에의 선망을 부채질했다.
➡️1903년 독일의 철학자
테오도르 아도르노 출생
▶️ 1899년 한국-청국 통상조약 체결
▶️1885년 영국 작가 D.H. 로렌스 출생
▶️ 1885년 배재학당 설립(개교기념일) - 근대 초기 "학교에 가다"
https://youtu.be/ZcCjM3j-1_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