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각괴장(牛角壞墻)
소뿔에 담장이 무너졌다는 뜻으로, 사실과 부합되지 않는 상황 논리로 우기면서 네 탓이라 한다는 말이다.
牛 : 소 우(牛/0)
角 : 뿔 각(角/0)
壞 : 무너질 괴(土/16)
墻 : 담 장(土/13)
출전 : 박지원(朴趾源)의 답응지서(答應之書) 外
박지원의 답응지서(答應之書)에
“네 쇠뿔이 아니고야 내 집이 어찌 무너지랴(非汝牛角, 焉壞我屋)”란 속담을 소개하고 “이는 남을 탓하는 말(此咎人之辭也)”이라고 풀이했다.
정약용도 속담 모음인 백언시(百諺詩)에서, “네 쇠뿔이 아니고야 내 담이 어찌 무너지랴(匪爾牛角, 我墻何覆)”를 인용했다.
그 아래 달린 풀이 글은 이렇다. “네가 비록 네 잘못이 아니라 해도 네가 아니면 이런 일은 없었으리란 말이다(言爾雖曰非我有咎, 非爾無此患也)”
예전에 자주 쓰던 표현임을 알겠다. 말짱하던 담장이 허물어졌다. 이게 웬일인가? 놀라 나가보니 마침 옆집 소가 어슬렁거리며 지나간다.
그는 옆집을 찾아가 따진다. “네 소가 들이받아 내 담이 무너졌다. 당장 고쳐 놓아라.”
“그럴 리가?”
“그렇지 않고야 멀쩡한 내 담이 왜 무너지나?”
“증거는?”
“무너진 담이 증거다.”
“소가 어떻게?”
“그건 네 소한테 물어라. 근처엔 네 소밖에 없었다.”
묵은 담이 제풀에 무너졌고 소는 그때 근처에 있었을 뿐인데 소 주인이 옴팡 뒤집어 쓰게 되었다. 우각괴장(牛角壞墻), 소뿔에 담장이 무너졌다는 속담은 이래서 나온 말이다.
소뿔이 아무리 세다 해도 담장을 어찌 허무는가? 그래도 상황 논리로 뒤집어 씌워 우기면 달아날 방법이 없다. 세상에 꼼짝도 못하고 뒤집어 쓰는 잘못이 이런 종류다.
16세 대만 소녀는 오락 프로에서 제 나라 국기를 흔들었다. 그럼 그녀가 대만 국기 말고 무엇을 흔들어야 겠는가? 문제가 안 될 일에 한 늙은 가수가 억지 시비를 걸어 큰 문제가 되었다.
중국 시장이 막힐까 겁난 소속사 대표는 제 입으로 이런 것이 문제 될지 생각도 못했다고 해놓고 자신이 교육을 잘못 시킨 탓이라며 소녀 등을 떠밀어 사과를 시켰다. 그것이 또 대만 총통 선거의 마지막 판세를 뒤흔들었다.
소는 담장 밑을 지나갔고 그때 마침 담장이 무너졌다. 그렇다고 무너진 담장을 세워내라고 윽박지를 일인가?
잘못 가르쳐서 미안하다고 할 일인가? 수척해진 어린 소녀의 모습을 보니 어른으로 창피하다. 말이 무섭고 사람이 무섭다.
▶️ 牛(소 우)는 ❶상형문자로 뿔이 달린 소의 머리 모양을 본뜬 글자로 소를 뜻한다. 뿔을 강조하여 羊(양)과 구별한 글자 모양으로, 옛날 중국에서는 소나 양을 신에게 빌 때의 희생의 짐승으로 삼고 신성한 것이라 생각하였기 때문에 글자도 상징적이며 단순한 동물의 모양은 아니다. ❷상형문자로 牛자는 ‘소’를 뜻하는 글자이다. 牛자의 갑골문을 보면 뿔이 달린 소의 머리가 간략하게 그려져 있었다. 갑골문에서부터 소전까지는 이렇게 소의 양쪽 뿔이 잘 묘사되어 있었지만, 해서에서는 한쪽 뿔을 생략해 ‘절반’을 뜻하는 半(반 반)자와의 혼동을 피하고 있다. 농경 생활을 하는 민족에게 소는 매우 중요한 동물이었다. 느리지만 묵직한 힘으로 밭을 갈거나 물건을 옮길 수 있도록 도움을 주었기 때문이다. 한편 소는 신에게 바치는 제물이 되기도 했다. 그래서 牛자가 부수로 쓰일 때는 ‘제물(祭物)’이나 ‘농사일’과 관련된 뜻을 전달한다. 그래서 牛(우)는 성(姓)의 하나로 ①소(솟과의 포유류) ②별의 이름, 견우성(牽牛星) ③우수(牛宿: 28수의 하나) ④희생(犧牲) ⑤고집스럽다 ⑥순종(順從)하지 않다 ⑦무릅쓰다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소 축(丑), 짐승 축(畜)이다. 용례로는 소의 젖을 우유(牛乳), 소의 뿔을 우각(牛角), 소와 말을 우마(牛馬), 소를 부려 밭을 갊을 우경(牛耕), 소를 잡는 데 쓰는 칼을 우도(牛刀), 소의 가죽을 우피(牛皮), 소 걸음이란 뜻으로 느린 걸음을 우보(牛步), 소의 궁둥이로 전하여 세력이 큰 자의 부하에 대한 비유를 우후(牛後), 소의 수컷으로 수소를 모우(牡牛), 소의 암컷으로 암소를 빈우(牝牛), 털빛이 검은 소를 흑우(黑牛), 소싸움 또는 싸움 소를 투우(鬪牛), 식용할 목적으로 사육하는 소를 육우(肉牛), 주로 일을 시키려고 기르는 소를 역우(役牛), 쇠귀에 경 읽기란 뜻으로 우둔한 사람은 아무리 가르치고 일러주어도 알아듣지 못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을 우이독경(牛耳讀經), 소가 물을 마시듯 말이 풀을 먹듯이 많이 먹고 많이 마심을 우음마식(牛飮馬食), 소 잡는 칼로 닭을 잡는다는 뜻으로 큰 일을 처리할 기능을 작은 일을 처리하는 데 씀을 이르는 말을 우도할계(牛刀割鷄), 소가 밟아도 안 깨어진다는 뜻으로 사물의 견고함의 비유를 우답불파(牛踏不破), 소를 삶을 수 있는 큰 가마솥에 닭을 삶는다는 뜻으로 큰 재목을 알맞은 곳에 쓰지 못하고 소소한 일을 맡기는 경우를 비유하는 말을 우정팽계(牛鼎烹鷄), 소 궁둥이에 꼴 던지기라는 뜻으로 어리석은 사람은 가르쳐도 소용이 없음을 비유해 이르는 말을 우후투추(牛後投芻), 양으로 소와 바꾼다는 뜻으로 작은 것을 가지고 큰 것 대신으로 쓰는 일을 이르는 말을 이양역우(以羊易牛) 등에 쓰인다.
▶️ 角(뿔 각, 사람 이름 록/녹, 꿩 우는 소리 곡)은 ❶상형문자로 짐승의 뿔의 모양을 본뜬 글자로 뿔, 모서리를 뜻한다. 술을 담거나 되로 삼아 물건을 되거나 하였다. ❷상형문자로 角자는 ‘뿔’이나 ‘모퉁이’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角자는 짐승의 뿔을 그린 것이다. 갑골문에 나온 角자를 보면 뾰족한 짐승의 뿔과 주름이 잘 묘사되어 있었다. 고대부터 짐승의 뿔은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었다. 角자에 ‘술잔’이라는 뜻이 있는 것도 고대에는 소의 뿔을 술잔으로 사용했기 때문이다. 뿔은 짐승의 머리에서 돌출된 형태를 하고 있어서 角자에는 ‘모나다’나 ‘각지다’라는 뜻이 생겼고 또 동물들이 뿔로 힘겨루기를 한다는 의미에서 ‘겨루다’나 ‘경쟁하다’라는 뜻도 가지게 되었다. 그래서 角자와 결합하는 글자들은 대부분이 ‘뿔의 용도’나 ‘뿔의 동작’과 관련된 의미를 전달한다. 그래서 角(각, 록, 꿩 곡)은 (1)모 (2)한 점에서 나간 두 개의 반직선(半直線)이 이루는 도형(圖形), 둔각(鈍角), 예각(銳角) 따위 (3)각도(角度) (4)각성(角星) (5)동양(東洋) 음악(音樂)의 오음(五音) 중(中)의 셋째 음. 장조(長調)의 '미'에 해당함 (6)뿔처럼 만든 나팔. 은(銀)이나 나무로 만드는데 군대(軍隊)를 호령(號令)할 때나 또는 궁중(宮中)의 아악(雅樂)을 연주(演奏)할 때에 쓰던 악기(樂器). 그 크기와 모양에 따라 대각(大角), 중각(中角), 소각(小角)으로 나눔 (7)일부 명사(名詞) 앞에 붙어 뿔로 만든, 뿔의 뜻을 나타냄 등의 뜻으로 ①뿔, 짐승의 뿔 ②곤충(昆蟲)의 촉각 ③모, 모진 데 ④구석, 모퉁이 ⑤각도(角度) ⑥총각(總角) ⑦상투(장가든 남자가 머리털을 끌어 올려 정수리 위에 틀어 감아 맨 것) ⑧술잔 ⑨짐승, 금수(禽獸) ⑩콩깎지 ⑪뿔피리(뿔로 만든 피리) ⑫별의 이름 ⑬뿔을 잡다 ⑭겨루다, 경쟁하다 ⑮다투다 ⑯견주다(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기 위하여 서로 대어 보다), 비교하다 ⑰시험하다 ⑱닿다, 접촉하다 ⑲뛰다 그리고 ⓐ사람의 이름(록) 그리고 ㉠꿩 우는 소리(곡)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모날 릉(稜)이다. 용례로는 각의 크기로 일이 전개되는 방면이나 면모나 관점을 각도(角度), 눈의 겉을 싼 투명한 막을 각막(角膜), 힘을 겨룸을 각력(角力), 네모지게 다듬은 나무를 각목(角木), 네모지게 켜 낸 재목을 각재(角材), 서로 버티어 늘어섬을 각렬(角列), 각이 진 모양을 각형(角形), 짐승의 뿔 같은 형체를 각상(角狀), 짐승의 뿔로 만든 잔을 각배(角杯), 승부를 겨룸을 각승(角勝), 깍지로 열 손가락을 서로 엇갈리게 바짝 맞추어 잡은 상태를 각지(角指), 뛰어남 또는 맞버티어 굴복하지 않음을 각립(角立), 도안이나 무늬로 쓰이는 네모반듯한 글자를 각자(角字), 분침으로 시계의 분을 가리키는 바늘을 각침(角針), 엽전이나 동전 등의 잔돈을 각전(角錢), 무엇을 보는 각도나 보거나 생각하는 방향을 시각(視角), 한 귀퉁이를 일각(一角), 이마를 땅에 대고 절을 함을 궐각(厥角), 뼈와 뿔을 아울러 이르는 말을 골각(骨角), 활을 만드는데 쓰이는 황소의 뿔을 궁각(弓角), 짐승 따위의 머리에 있는 뿔로 뛰어난 학식이나 재능을 두각(頭角), 상투를 틀지 않은 남자란 뜻으로 결혼하지 않은 성년 남자를 이르는 말을 총각(總角), 거리의 한 모서리를 가각(街角), 수평선과 수직선이 이루는 각을 직각(直角), 직각보다 작은 각을 예각(銳角), 1직각 보다 크고 2직각 보다 작은 각을 둔각(鈍角), 서로 대립하여 겨루고 대항함을 각립대좌(角立對坐), 뿔이 있는 놈은 이가 없다는 뜻으로 한 사람이 모든 복을 겸하지는 못한다는 각자무치(角者無齒), 쇠뿔을 바로 잡으려다 소를 죽인다는 뜻으로 결점이나 흠을 고치려다 수단이 지나쳐 도리어 일을 그르침을 교각살우(矯角殺牛), 달팽이의 촉각 위에서 싸운다는 뜻으로 작은 나라끼리의 싸움이나 하찮은 일로 승강이하는 짓을 와각지쟁(蝸角之爭), 무른 오동나무가 견고한 뿔을 자른다는 뜻으로 부드러운 것이 능히 강한 것을 이김을 비유해 이르는 말을 오동단각(梧桐斷角) 등에 쓰인다.
▶️ 壞(무너질 괴, 앓을 회)는 형성문자로 壊(괴)는 본자(本字), 坏(괴)는 통자(通字), 坏(괴)는 간자(簡字)이다. 뜻을 나타내는 흙 토(土; 흙)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동시에 허물어진다는 뜻을 나타내는 글자 褱(회)가 합(合)하여 이루어졌다. 흙이 갈라져 허물어지다에서 전(轉)하여, 찢어지다, 깨어지다의 뜻이 있다. 그래서 壞(괴, 회)는 ①무너지다 ②무너뜨리다 ③허물어지다 ④파괴하다 ⑤망가지다(부서지거나 찌그러져 못 쓰게 되다) ⑥고장나다 ⑦악하다 ⑧나쁘다 ⑨썩다 ⑩나쁜 생각 ⑪못된 수작(酬酌) ⑫비열한 술책(術策) 그리고 ⓐ앓다(회) ⓑ혹(회)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무너질 담(坍), 무너질 붕(崩), 무너질 궤(潰), 무너질 퇴(頹)이다. 용례로는 파괴되어 멸망함을 괴멸(壞滅), 붕괴하여 떨어짐을 괴락(壞落), 몸의 어떤 부분의 조직이나 세포가 죽어서 그 기능을 잃는 것을 괴사(壞死), 괴사의 일종으로 괴사로 가라앉은 부분이 부패 또는 탈락하게 된 상태를 괴저(壞疽), 무너져 모양이 바뀜을 괴변(壞變), 파괴되어 못 쓰게 됨을 괴폐(壞廢), 무너뜨려 어지럽게 함을 괴란(壞亂), 무너뜨려 손해를 입힘을 괴손(壞損), 허물어진 가옥을 괴옥(壞屋), 헐어지고 무너짐을 괴패(壞敗), 허물어져 무너짐을 붕괴(崩壞), 깨뜨리어 헐어 버림을 파괴(破壞), 손상하고 파괴함을 손괴(損壞), 둑 등이 물에 밀리어 터져 무너짐을 결괴(決壞), 썩어서 무너짐을 부괴(腐壞), 반쯤 허물어짐을 반괴(半壞), 이지러져 무너짐을 결괴(缺壞), 기와가 깨져 부서지듯이 사물이 부서져 버림을 와괴(瓦壞), 쓰러져 허물어짐을 도괴(倒壞), 부서지고 남은 것을 잔괴(殘壞), 헐어서 깨뜨림을 훼괴(毁壞), 저절로 무너짐을 자괴(自壞), 잘 되어 일어남과 못 되어 없어짐을 흥괴(興壞), 지나치게 슬퍼하여 몸이 여윔을 애괴(哀壞), 스스로 만리장성을 허물어 버린다는 괴여만리장성(壞汝萬里長城), 하늘이 무너지고 땅이 꺼짐을 천붕지괴(天崩地壞), 예의와 음악이 깨지고 무너졌다는 예괴악붕(禮壞樂崩), 세상의 풍속과 풍습을 무너뜨려 어지럽게 한다는 풍속괴란(風俗壞亂) 등에 쓰인다.
▶️ 墻(담장 장)은 ❶형성문자로 墙(장)은 통자(通字), 墙(장)은 간자(簡字), 廧(장), 牆(장)은 동자(同字)이다. 뜻을 나타내는 흙 토(土; 흙)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글자 嗇(색, 장)이 합(合)하여 이루어졌다. ❷회의문자로 墻자는 '담장'이나 '경계'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墻자는 土(흙 토)자와 嗇(아낄 색)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嗇자는 논과 벼를 함께 그린 것으로 '수확한 곡식'이라는 뜻이 있다. 그런데 소전에서는 爿(나뭇조각 장)자가 들어간 牆(담장 장)자가 쓰였었다. 牆자는 수확한 곡식을 안전하게 '보관하다'는 뜻으로 만들어졌었다. 누가 훔쳐가지 못하도록 나무로 울타리를 만들었다는 의미였다. 후에 牆자가 주변과의 '경계'를 나누는 '담장'이라는 뜻으로 쓰이게 되면서 해서에서는 담장의 재질을 표현한 墻자가 만들어지게 되었다. 그래서 墻(장)은 ①담, 담장 ②경계(境界) ③관을 덮는 옷 ④관의 옆널 ⑤궁녀(宮女) ⑥담을 치다, 쌓다,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담 원(垣), 담 도(堵), 담 용(埇)이다. 용례로는 담과 벽을 아울러 이르는 말을 장벽(障壁), 담 밑 담 가까이를 장하(墻下), 담을 뚫음을 천장(穿墻), 난간처럼 둘러 막은 담장을 난장(欄墻), 집의 정면에 쌓은 담을 조장(照墻), 담이 이웃하여 서로 맞닿음을 연장(連墻), 담을 쌓아 막음을 방장(防墻), 낮은 담 또는 나지막한 담을 단장(短墻), 담을 쌓음을 축장(築墻), 항상 잊지 않음을 이르는 말을 견요어장(見堯於墻), 형제가 담장 안에서 싸운다는 뜻으로 동족상쟁을 일컫는 말을 형제혁장(兄弟鬩墻), 길 가의 버들과 담 밑의 꽃은 누구든지 쉽게 만지고 꺾을 수 있다는 뜻으로 기생을 의미하는 말을 노류장화(路柳墻花), 담에 구멍을 뚫는다는 뜻으로 재물이나 여자에게 탐심을 가지고 몰래 남의 집에 들어감을 이르는 말을 유장천혈(窬墻穿穴), 담을 사이에 한 가까운 이웃을 일컫는 말을 격장지린(隔墻之隣) 등에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