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릭하면 이미지가 커집니다.) ① 6월21일 서울 세종로 케이티(KT) 본사 앞에서 ‘21세기한국대학생연합’ 주최로 열린 첫 국가정보원 규탄 촛불집회는 500여명으로 시작했다. ② 6월28일 ‘국가정보원 정치공작 대선개입 진상 및 축소·은폐 의혹 규명을 위한 시민사회 시국회의’가 나서 개최한 첫 집중 촛불집회 때는 서울 광화문 동화면세점 앞에 시민 5000여명(경찰 추산 1800여명)이 모였다. ③ 7월6일 서울시청 앞 서울광장에서 열린 국민촛불문화제에는 1만여명(경찰 추산 4500여명)이 참가했다. ④ 7월13일 경찰차 벽에 둘러싸인 서울광장에서 시민 2만여명(경찰 추산 6500여명)이 촛불을 들었다. ⑤ 7월27일 밤, 비가 내리는 가운데 서울광장에서 열린 국민촛불문화제에는 이번 촛불집회가 시작된 뒤 최대 규모인 2만5000여명(경찰 추산 8000여명)이 촛불을 들고 국정원과 정부·여당을 규탄했다. 김봉규 선임기자, 강창광 김정효 박종식 기자 bong9@hani.co.kr |
국정조사 사실상 무산 따라
‘시국회의’ 참여 호소에다
원외투쟁 민주당도 가세
휴가철인 지난달 27일도
시민들 대거 몰려 촉각
국가정보원의 대선 여론조작 및 정치개입을 규탄하는 ‘촛불시민’들이 늘고 있다. 국정원의 선거개입 공작을 파헤쳐야 할 국회의 국정조사마저 파행으로 치닫자 촛불집회의 규모가 더욱 커져가는 양상이다.비운동권으로 꼽히는 서울대 총학생회 등이 국정원 규탄 시국선언을 위한 성명을 발표한 다음날인 6월21일, 21세기한국대학생연합 주최로 첫 촛불집회가 열렸다. 서울 광화문에서 열린 첫 촛불집회에는 500여 시민·학생 등이 참석했다. 대학생들이 시작한 촛불집회에 시민사회단체들이 힘을 보탰다. 참여연대와 한국진보연대 등 209개(현재 284개) 시민단체는 ‘국정원 정치공작 대선개입 진상 및 축소·은폐 의혹 규명을 위한 시민사회 시국회의’(시국회의)를 6월27일 꾸리고 촛불집회 주최에 나섰다.‘촛불시민’들도 함께 늘어났다. 시국회의가 주최한 첫 집중 촛불집회가 열린 6월28일, 주최 쪽 추산 5000여명(이하 경찰 추산 1800여명)의 시민이 모였다. 이후 7월6일 1만여명(4500여명), 7월27일 2만5000여명(8000여명)으로, 촛불집회 참가 시민들이 증가했다.6월21일부터 매일 진행된 촛불집회는 시작된 지 한 달여 만에 500여명에서 2만5000여명으로 참가자가 늘었다. 초기에는 대학생들을 중심으로 촛불집회가 진행됐지만 갈수록 청소년이나 회사원, 가족 단위 참가가 늘어갔다. 무엇보다 7월26일이 국정원 사건에 대한 시민들의 관심이 높아진 분기점이었다. 이날 국회의 국정원 국정조사에서 국정원 기관보고가 무산됐다. 또한 증인채택 합의 불발 등 파행을 거듭했고, 시민들의 분노 역시 커져갔다.3일 저녁 7시 서울 청계광장에서 열릴 촛불집회에는 더 많은 시민들이 몰릴 것으로 보인다. 국정원 국정조사가 사실상 무산된 데 대한 비판 여론이 거센 까닭이다. 시국회의도 1일 기자회견을 열어 “국정조사 파행의 책임은 새누리당에 있다”며 △새누리당 국정조사 특위 위원 교체 △국정조사 기간 연장 △남재준 국정원장 해임 △특별검사 임명 등을 촉구했다. 시국회의는 3일 촛불집회에 더 많은 시민들이 참가해줄 것을 호소했고, 원외투쟁에 나선 민주당도 의원·당원 등이 개별적으로 촛불집회에 참여할 예정이다.이태호 참여연대 사무처장은 “휴가기간인데도 7월27일 촛불집회에 가장 많은 시민이 모였다. 시민들이 국정조사에 임하는 새누리당의 모습을 보고 사건의 실체를 밝히고 국정원을 개혁할 의지가 없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정환봉 기자 bonge@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성재기의 기이한 죽음…그는 제2의 ‘미시마 유키오’가 되려 했나
■ “나 죽거든 내 페북과 미니홈피는 OO에게…”
■ 30명 성폭행·살해 ‘공포의 살인마’, 알고보니 그저 ‘과대망상’ 환자?
■ [화보] 1950년대부터 90년대까지 해수욕장 풍경 변천사
■ [화보] 한집 같은 두집, 따로 또 같이 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