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서혼(鼹鼠婚)
두더지의 혼인이란 뜻으로, 제 분에 넘치는 엉뚱한 희망을 품거나, 또는 공연한 애를 쓰다가 결국은 실패함을 이르는 말이다.
鼹 : 두더지 언(鼠/9)
鼠 : 쥐 서(鼠/0)
婚 : 혼인할 혼(女/8)
(유의어)
토서혼(土鼠婚)
야서혼(野鼠婚)
야서지혼(野鼠之婚)
오서지기(鼯鼠之技)
(반의어)
제대비우(齊大非耦)
언서혼(鼹鼠婚)은 두더지가 자식의 혼처를 구하면서 겪는 과정에 풍자와 교훈의 뜻을 담은 우화(偶話)이다.
두더지는 자식을 위하여 훌륭한 혼처를 찾아 다니다가 결국 자기 종족인 두더지가 다른 무엇보다도 뛰어난 혼처임을 알고, 자식을 두더지와 혼인시킨다. 이 이야기는 헛된 욕심 때문에 자신의 참다운 가치를 발견할 줄 모르는 이들의 어리석음을 깨추쳐 준다.
땅 속에 굴을 파서 생활하는 두더지를 나타내는 한자는 鼹(언)외에 鰋(언), 蝘(언) 등 모두 어렵다. 田鼠(전서)나 野鼠(야서)라고도 표현한다. 두더지의 혼인이란 뜻의 이 말은 야서지혼(野鼠之婚)과 똑 같은 말이다.
두더지가 처음에는 자신의 처지를 생각하지 않고 분수에 넘치는 짝을 구하다가 결국에는 같은 족속에게로 돌아간다. 짚신이 유리 구두와 짝이 될 수 없듯 자기의 처지를 생각하지 않는 엉뚱한 희망을 갖는 것을 꼬집었다.
의인화된 동물이 주요한 캐릭터로 등장하는 설화가 동물담(動物譚)이다. 우리나라에선 곰과 호랑이가 사람이 되기 위해 동굴에서 경쟁하는 삼국유사三國遺事)의 단군신화(檀君神話)부터 기원한다고 했다.
그리스의 이솝(Aesop) 우화에 많이 등장하는 동물 이야기가 조선 인조(仁祖) 때 홍만종(洪萬宗)의 문학 평론집 순오지(旬五志)에도 같이 실려 있는 것이 박쥐의 오락가락과 두더지 혼사(婚事)다.
짐승과 새 사이에서 자기 이익만을 위해 박쥐가 이리 붙고 저리 붙는 줏대 없는 행동을 하는 것이 편복지역(蝙蝠之役)이란 말로 실려 있다.
박쥐의 기회주의적 태도
숲 속 나라 봉황의 생일잔치에 온갖 새가 모였다. 모두 봉황의 생일을 축하하며 봉황에게 예를 차렸는데 유독 박쥐만 참석하지 않았다.
이에 화가 난 봉황이 박쥐를 불러 놓고 꾸짖으며 “네가 내 밑에 있으면서 어찌 그리 거만하게 행동할 수 있느냐?”라고 물었다.
그러자 박쥐가 능청스러운 표정으로 “나는 발이 있어 짐승의 종류에 속하는데 무엇 때문에 새인 너에게 하례(下隷)하겠는가?”라고 대답하고 동굴로 돌아갔다.
얼마 뒤 기린의 생일을 축하하는 날 온갖 짐승이 모였는데, 또 박쥐만 오지 않았다. 화가 난 기린이 박쥐를 불러 무례한 태도를 꾸짖자.
박쥐가 “나는 날개가 있어 새의 종류에 속한다. 무엇 때문에 짐승인 너에게 하레 하겠는가?”라고 천연덕스럽게 말한 뒤 날개를 퍼덕이며 날아갔다.
야서혼(野鼠婚)
野鼠 欲爲其子 擇高婚.
야서 욕위기자 택고혼.
두더지(野鼠)가 그 자식을 위해 이 세상에서 가장 높은 혼처를 구하려고 했다.
初謂惟天最尊 遂求之於天.
초위유천최존 수구지어천.
처음에는 가장 높은 것은 오직 하늘이라 여겨 하늘에 청혼을 해보았다.
天曰; 我雖兼包萬有 非日月 則無以顯吾德.
천왈; 아수겸포만유 비일월 즉무이현오덕.
하늘이 말하기를 “내가 비록 세상 만물을 아울러 싸고 있지만, 해와 달이 아니면 내 덕을 나타낼 방법이 없다.”
野鼠 求之於日月.
야서 구지어일월.
두더지가 해와 달에게서 혼처를 구하였다.
日月曰; 我雖普照 惟雲蔽之 彼居吾上乎.
일월왈; 아수고조 유운폐지 피거오상호.
해와 달이 말하기를 “내가 비록 널리 비추지만, 오직 구름이 가리니 저것이 내 위에 있도다.”라고 하였다.
野鼠 求之於雲.
야서 구지어운.
두더지가 구름에게서 혼처를 구하였다.
雲曰; 我雖使日月 失明惟風吹散 彼居吾上乎.
운왈; 아수사일월 실명유풍취산 피거오상호.
구름이 말하기를 “내가 비록 해와 달로 하여금 밝음을 잃게 할 수 있지만, 오직 바람이 불어서 흩어지게 하니 저것이 내 위에 있도다,”라고 하였다.
野鼠 求之於風.
야서 구지어풍.
두더지가 바람에게서 혼처를 구하였다.
風曰; 我雖能撥雲 惟田間石佛 吹之不倒.
풍왈; 아수능발운 유전간석불 취지불도
바람이 말하기를 “내가 비록 구름을 제거할 수 있지만, 오지 밭 사이 돌부처는 불어도 넘어지지 않으니 저것이 내 위에 있도다.”라고 하였다.
野鼠 求之於石佛.
야서 구지어석불.
두더지가 돌불처에게 혼처를 구하였다.
石佛曰; 我雖不畏風 惟野鼠 穿我足底 則傾倒 彼居吾上乎.
석불왈; 아수불외풍 유야서 천아족저 즉경도 피거오상호.
돌부처가 말하기를 “나는 비록 바람을 두려워 하지 않으나 오직 두더지가 발밑을 뚫으면, 곧 넘어지고 자빠진다. 그러니 저 두더지가 나보다 높다.”
野鼠於是 傲然自得曰 天下之尊 莫我若也. 遂婚於野鼠.
야서어시 오연자열왈 천하지존 막아약야. 수혼어야서.
두더지가 이에 거만하게 스스로 으쓱거리며 말하기를 “천하의 존귀한 것이 우리만 한 것이 없다. 짧은 꼬리와 날카로운 주둥이가 진실로 우리의 짝이다.”라고 하고, 마침내 두더지와 혼인을 치르게 하였다.
부지런히 좋다고 생각하는 곳을 찾아가 청혼해도 결국은 두더지가 가장 좋은 배필이라는 소리를 듣고선 자기가 세상에서 제일 높다고 기고만장(氣高萬丈)했다.
재산이나 지위가 턱없이 차이나는 집안과 결혼을 했다고 처음에 으스대다가 나중에는 불행으로 결말이 나는 것을 종종 본다. 자기보다 뛰어난 상대는 반려가 아니고 주인을 구하는 것이란 격언이 실감난다.
잘 어울리는 배우자는 자신이 안다. ‘결혼은 자기와 동등한 자와 할 일이다. 자기보다 뛰어난 상대는 반려가 아니고 주인을 구하는 것’이란 서양 격언이 있다. 그러니 지체 높은 집과 하는 앙혼(仰婚)이 처음에는 보란 듯이 내세우다가도 실제 생활은 불행에 이르는 일이 많다. 결혼 시즌에 대사를 앞둔 청춘남녀들이 한 번 더 생각할 일이다.
야서혼(野鼠婚), 야서지혼(野鼠之婚), 오서지기(鼯鼠之技)란 비슷한 말이 있고 자신의 처지를 알고 청혼을 사양하는 제대비우(齊大非耦)는 반대의 뜻이다.
▶ 鼹(두더지 언)은 형성문자로 鼴(언)과 동자(同字)이다. 뜻을 나타내는 쥐 서(鼠; 쥐)部와 음(音)을 나타는 글자 匽(언)이 합(合)하여 이루어졌다. 鼹(언)은 두더지, 큰 쥐를 뜻한다. 용례로는 두더지 혼인이라는 뜻으로 제 분에 넘치는 엉뚱한 희망을 품거나, 또는 공연한 애를 쓰다가 결국은 실패함을 이르는 말로 언서혼(鼴鼠婚)이 있다.
▶ 鼠(쥐 서)는 상형문자로 쥐의 이와 몸을 본 뜬 모양이다. 鼠(쥐)는 쥐, 좀도둑, 병의 이름으로 임파선(淋巴腺), 결핵(結核), 간신의 비유, 근심하다, 걱정하다 따위의 뜻이 있다. 용례로는 쥐며느리를 서고(鼠姑), 족제비를 서랑(鼠狼), 쥐의 족속 또는 몹시 교활하고 잔일에 약게 구는 사람을 서족(鼠族), 좀도둑으로 자질구레한 물건을 훔치는 도둑을 서도(鼠盜), 목에 결핵성 림프선염이 생겨 곪아 뚫린 구멍에서 늘 고름이 나는 병을 서루(鼠瘻), 갈매나무를 서리(鼠李), 소인배들을 서배(鼠輩), 쥐의 털과 같은 빛깔 곧 짙은 잿빛을 서색(鼠色), 곡식을 쥐가 먹어서 나는 축을 서축(鼠縮), 쥐가 쏠아서 결딴냄을 서파(鼠破), 쥐의 가죽을 서피(鼠皮), 두 다리의 사이를 서혜(鼠蹊), 쥐의 쓸개라는 뜻으로 담력이 약한 것을 얕잡아 이르는 말을 서담(鼠膽), 쥐의 간과 벌레의 팔이라는 뜻으로 매우 쓸모없고 하찮은 것을 이르는 말을 서간충비(鼠肝蟲臂), 쥐나 개처럼 가만히 물건을 훔친다는 뜻으로 좀도둑을 이르는 말을 서절구투(鼠竊狗偸) 등에 쓰인다.
▶ 婚(혼인할 혼)은 형성문자로 昏(혼)과 통자(通字)이다. 뜻을 나타내는 계집 녀(女; 여자)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昏(혼; 저녁 때)의 합자(合字)이다. 옛날엔 여자가 시집 갈 때에 해질녘부터 식이 시작되었으므로 시집가는 뜻을 나타낸다. 그래서 婚(혼)은 혼인하다, 결혼하다, 처가(妻家), 사돈(査頓), 처가 살붙이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혼인 인(姻), 장가들 취(娶)이다. 용례로는 장가들고 시집 가는 일을 혼인(婚姻), 혼인에 쓰는 제구를 혼구(婚具), 혼인에 관한 일을 혼사(婚事), 혼인한 새신랑과 새색시가 처음으로 함께 자는 날의 첫날 밤을 혼야(婚夜), 혼인의 의식을 혼의(婚儀), 결혼하기 전을 혼전(婚前), 혼인 잔치를 치르는 집을 혼가(婚家), 혼인하기에 알맞은 나이를 혼기(婚期), 혼인의 의례를 혼례(婚禮), 혼인 때 신랑 집에서 예단에 붙여 신부 집에 보내는 편지를 혼서(婚書), 혼인 때에 떠들썩하고 소란한 일을 혼요(婚擾), 혼인하는 날을 혼일(婚日)혼인을 하기에 알맞게 된 남자와 여자를 혼재(婚材), 혼인에 의하여 맺어진 친척을 혼척(婚戚), 혼인할 좋은 날을 가림을 혼택(婚擇), 혼인을 정하기 위하여 오가는 말을 혼담(婚談), 혼인할 나이를 혼령(婚齡), 혼인에 쓰이는 물품을 혼수(婚需), 혼인 때에 신랑이 신부집으로 가거나 신부가 신랑집으로 가는 일을 혼행(婚行), 배우자가 아닌 다른 이성과 벌이는 정사를 혼외정사(婚外情事), 혼인하기를 약속함을 혼인예약(婚姻豫約) 등에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