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의학에서 간(肝)은 장군지관이라고 부른단다.
인체를 하나의 국가로 볼때 "의로운 장군처럼 외침으로 부터 나라를 지키는 " 아주 중요한 기관에 비유한 것이다. 그래서 "간이 크다~!" 용감하다, 겁이없다. 는 말을 많이하며 그 정도가 심한 경우를 빗대어서 "간이 부었다" 고 말을 하기도 한다.
간 옆에 붙어있는 것이 쓸개인데 아주 냉철하고 이성적인 판단으로 어느 쪽에도 치우침이 없이 중도와 바름을 지키는 장기이다. 우리들이 뭔가에 놀라서 겁을 먹을 때 "간담이 써늘했다" ,"간 떨어 지는줄 알았다" "간이 콩알 만 해졌다" 라는 표현들을 쓰는데 위기에서도 놀라지 않고 동요도 잘 하지않으면서 잘 대처하는 사람을 담력이 쎄다. 대담하다 라고들 한다.
가끔 우리는 " 쓸개 빠진 놈" 이란 말을 하는데 이는 어떤 위기 상황에서 사리분별을 제대로 하지못하고 허둥지둥 소신없이 행동하는 사람을 말한다. 의학적으로 간은 각종의 영양물질을 재처리해 필요에 따라서 에너지를 공급하고 저장하는 역활은 물론 혈액에 섞여있는 독성물질들을 분해하는 해독작용을 한다. 또 평소에 혈액을 만들어 저장해 두었다 순환혈액이 필요할 경우 공급하기도 한다
하루에 세끼를 먹는 사람이나 한동안 굶고 지내다 먹이를 잡아야 비로소 식사를 하는 육식동물들은 담즙을 모았다 위에서 음식물이 장으로 내려올 때에 맞춰 분비를 해야만 제대로 소화를 할 수 있는데 그러기 위해서 필요한 것이 쓸개다 쓸개가 일정기간 저장하는 역활을 해야 하는 것이다. 그러면 왜 간이 큰 동물들은 겁이 없을까~~?? 또 쓸개 빠진 동물들은 왜 겁이 많을까~~?? 참 궁금한 일이다.
그런데 말에는 쓸개가 없다. 야생에서 풀을 뜯어먹고 사는 말은 지방성분이 들어있는 음식물을 섭취할 일이 거의 없으며 풀은 대부분 섬유소 성분이고 간에서 만들어진 담즙을 모아 두었다가 일시에 분비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암튼 이런 저런 여러가지 이유로 말은 쓸개가 필요없는 동물로 진화가 되어왔다. 초식동물 모두가 쓸개가 없는 것은 아니다 소나 염소등의 반추동물은 대표적인 초식동물이지만 큰 쓸개를 가지고 있다.
소의 쓸개안에서 담즙이 너무 농축이 되어서 뭉친것이 바로 "우황" 인데 이는 사람이 놀라거나 풍기가 있을때 먹는 우황청심환의 재료가 된다. 어쨌든 말은 쓸개가 없어서 그런지 겁이 매우많다. 바람소리에도 놀라고 심지어 자신이 뀐 방구소리에도 놀란다. 말이 쓸개가 없어서 그런지 겁이 많은 동물임에는 틀림이 없다..
" 쓸개 빠진 사람이 되지 맙시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