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류가 발달한 이래로 가장 사랑을 받아온 귀금속 중의 하나인 금.
| |
금[Gold, Geld(독일.獨]의 정식학명은 Aurumdm으로 아침의 태양광선, 또는 찬란히 빛나는 아침 햇빛의 의미를 나타낸다고 합니다. 금의 비중은 19.32, 융점은1,064.43 °C, 끓는 비점은 2,970 °C이며, 브리넬 경도는 18, 인장강도12㎏/㎟, 연신율은 68~73% 입니다. 또 산과 알카리.기타 약품 등에 잘 견디나, 다만 왕수[ (王水) (화학) : 진한 염산과 진한 질산을 3대 1의 비율로 혼합한 액체. 산에 잘 녹지 않는 금·백금 등을 용해시킴 ]와 사이나 [ 시안화-칼륨 (네덜란드어cyaan,독일어Kalium) (화학) 흰색의 조해성(潮解性)이 있는 고체. 독성이 매우 강함. 금·은·구리의 전기 도금이나 야금·농약 등에 이용됨. 청산가리. 청화가리]에는 단단한 금이라도 녹아서 용액이 되어 버리나, 이것은 다시 분석하여 금으로 회수할 수 있다고 합니다. | |
지금도 돈을 금전(金錢)이라고 부르며, 금 자체로 만든 돈, 곧 금화가 돈으로 유통되기도 했듯이 금은 곧 돈,현찰과 마찬가지로 많은 사람들에게 인기가 있지요. 금은 절대 녹슬지 않고, 변하지 않아, 보관에도 아무 문제가 없기 때문에 금고(金庫)속에 넣어두기만 하면 되니까요. | |
그런데 100% 순금은 너무 물러서 세공에 부적합한 까닭에 - 순금은 손으로 눌러도 모양이 변할 정도니까요 - 은이나 동의 기타 혼합물을 합금하여 강도를 높인 다음 장신구 등의 세공에 사용하게 됩니다. | |
캐럿하면 다이아몬드가 먼저 떠오르시지요?
보석 무게의 계량단위로 생각하기 쉬우나 금의 캐럿과 보석의 캐럿과는 다르답니다. 보석의 1캐럿(Carat)은 0.2g 이며 금의 1 캐럿은 1.296g 입니다. 서 식별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지만 그러나 정확한 수치를 알아내기 위해서 보다 과학적인 방법 이 없이는 어렵겠지요. 우리나라에도 금의 함량부족은 법적 규제대상이 되고 있음을 알아둘 필요가 있겠습니다. 제일 좋은 방법은 믿을만한 곳에서 사야 후회가 없다는 것이죠. |
금(GOLD)이야기
1. 금의 용도
고대로부터 금은 장신구나 장식품, 화폐 등 부 와 권위의 척도로서 이용되어 왔다. 따라서 금을 얻기위한
욕구는 아시아의 여러 나라, 아프리카 등지에서 교역을 통한다든지, 이를 강제로 확보하기 위한 침략과 정복,
식민지화 등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금은 또한 미주대륙 발견의 강한 원동력이 되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와 같은 맥락으로 볼 때 금을 손에 넣으려는 욕망은 인류의 손길이 닿지 않던 오지를 탐험하거나 개발
하는데 큰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이러한 긍정적인면 이외에 금을 획득 하려는 과욕은 살인, 도둑질, 배반 등
범죄를 양산하는 등의 부정적인 면을 나타내게 되었다. 그러나 금은 그동안 그 가치가 꾸준히 증가하여 온
광물이다.
2. 금의 유래
인류가 가장 오랫동안 소중하게 간직해 온 것들을 꼽으라면 단연 금을 들 수 있다. 금은 독특한 색깔과
광채, 손쉬운 가공법 등의 몇가지 특징으로 인해 인류의 오랜 역사 속에서 길이 간직되어 왔으며, 부의 상징
으로 취급되어 왔다.
금의 기원을 정확히 알 수 없으나 기원전 5천년 전부터 인류의 삶 속에 자리잡았던 것으로 전문가들은
추정하고 있다. 구약성서의 창세기에도 금이 언급되어 있으며, 기원전 3,500년경의 메소포타미아와 이집트
장신구에서 금으로 만든 장신구 등 호화로운 금제품들이 출토되기도 했다. 또 고대 잉카인들도 금을 인간의
품위나 지위에 연계시키는 등 중요시 여겼던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또 금은 황금빛 누런 색채가 악마와 귀신을 물리치는 강력한 힘이 있을 뿐만 아니라 야수로부터 숭배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고대 이집트와 그리이스시대 사람들은 질병이란 자연으로부터 불가사의하게 생겨난다고
보고 금에서 특별한 치료 효험을 찾기도 했다.
우리나라에서도 금은 문화유산에서 없어서는 안될 정도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신라시대 고분에서
출토된 금관과 각종 장신구는 "귀금속 세공술의 총아"라 일컬어도 결코 과장이 아닐 정도로 화려한 "황금
문화"를 꽃피웠다. 대부분의 금관들이 왜구나 도굴범에 의해 분실되어 현재는 몇 점 밖에 남아 있지 않지만,
이들 금관을 통해 예술성, 찬란했던 문화를 짐작케 해주고 있다. 가락지는 또 가락지를 낀 손으로 쓰다듬으면
고통이 가시고, 노인이 금반지를 끼면 신경통이나 류머티스가 예방되는 등 무병장수 한다고 믿어 왔다.
금이 화폐로 사용된 시기는 학자에 따라 각기 약간씩 차이가 있지만 리디아왕국에서 비롯 되었다는 것이
일반적인 학설로 통용되고 있다. 기원전 550년경 소아시아 소재 리디아왕국 크라이소스왕이 주조 발행한
스타테르 금화는 2,500년간 독보적인 화폐로 통용되었다.
3. 금의 성질
금의 산출은 분리된 상태의 입자 또는 산금으로써 석영맥 속에 부착되어 산출되는데 층폭이 약3.3m 가량
이면 경제적으로 채산성이 있다고 한다. 이 밖에도 하천에서 채취되는 사금이 있다. 일반적으로 황금색의
금제품과 잘 어울리는 배색으로 녹청색과 빨강색이 있다. 녹청색은 금제품을 품위있게 고급화시키며,
빨강색은 호화로운 분위기를 내는 특성이 있다. 금은 면심입방구조로서 비중 19.32, 융점 1,063℃, 끊는
비점은 2,970℃이다. 화학적으로 모든 금속 중 가장 안정된 금속으로 공기 속이나 물 속에서도 영구히 변하지
않는다. 즉 귀금속 중에서 가장 귀족적인 성질을 가지고 있다.
브리넬 경도는 18, 인장강도는 12㎏f/㎣, 연신율 63~73%이다. 전연성은 모든 금속 중에서 가장 우수한
편으로 극히 얇은 판이나 선으로 가공할 수가 있다. 연성의 경우 1g의 순금으로 약 2,000m까지 길게 늘려
뽑을 수가 있어서 지름 7㎛정도의 가느다란 금사가 되게 할 수 있다. 전성의 경우 두께가 약 0.07㎛까지 앏은
금박을 만들 수 있으며, 이처럼 얇은 금박을 유리판 사이에 키고서 햇빛을 통과 시키면 녹색으로 보인다고
한다. 그래서 1온스의 순금으로 100평방 피트의 넓이까지 펼수 있다고도 한다.
4. 금의 광물학적 특성
경제성이 있는 금 광물은 천연 금(Native gold)과 부분적으로 AuTe(Gold Tellurides), 호박, 금(Electrum),
금 혼합 물질(Amalgam)등이다. 금은 대부분 은과 함께 산출되며, 금의 맥석은 주로 석영이다. 석영 이외에
탄산염암, 전기석 등도 맥석으로 나타난다. 금의 산상은 맥석에서 매우 작은 크기의 구형입자나, 판상 또는
박편으로 나타나며, 사금은 괴상으로 나타난다. 금의 품위는 지역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미국
알래스카주 쥬노 광산의 경우 1톤에 0.04온스의 금을 함유하고 있는 것이 개발되었으며, 남아프리카공화국
의 경우는 1톤 당 0.20~0.55온스의 금을 함유하고 있다.우리나라 금광석의 품위는 톤당 0.29온스이다
5. 금의 특성
① 찬란한 금색광택을 지니며, 색깔이 변하지 않는다.
② 비중이 커서 다른 금속과의 구별이 쉽다.
③ 전연성이 풍부하고, 주조하기 쉽다.
④ 보통 화학약품에는 용해되지 않는다.
⑤ 다른 금속과 합금을 만들기 쉽고, 전기 도금이 가능하다.
⑥ 산출량이 적어서 귀금속이라 하며, 화폐가치의 척도가 된다.
6. 금 합금
공업재료로서의 순금은 너무 무르므로 경제상 또는 제작가공상 등의 이유로 합금하여서 융점을 낮추고,
경도와 색깔, 광택 등의 여러 가지 변화를 아울러 얻게 된다.
순금과 합금을 잘 이루는 금속으로는 은, 구리, 니켈, 아연, 철,크롬, 망간, 백금 및 백금족 등이다. 반지의
경우 우리나라는 순금이 애용되나, 외국에서는 오히려 금 합금이 더 많이 애용되고 있다.
금 합금 비율표
7. 금의 품위
금의 합금중에서 금이 가지는 순도는 캐럿이라는 단위로 표시한다. 따라서 금의 순도는 24캐럿을 백분율(%)
에서 순금 함유량 100%로 하여 순금, 24금 또는 24K(K24)로 표시한다. 그러므로 1캐럿은 1/24에 해당되는
순금이 합금된 것을 말한다.가령 22K속에 함유된 순금의 함량을 알려면 22K=22/24×100=91.7%, 결국 8.3%는
비금속 또는 금 합금의 함량으로 계산할 수 있다.
금의 백분율 표시에 있어서는 실용상 99.99%의 순금이 통용된다. 이때 이것을 포나인(4nine)이라하여
통용되기도 한다. 국제적으로는 금형제도가 채택되고 있어 중량의 경우 1트로이 온스를 31.1035g으로 하여
금형온스(트로이 온스:,Troy Ounce)를 사용하고 있다. 이 밖에도 순금을 1,000단위로 한 천분율(%o)의
표시로 순도를 나타내어 순금도 또는 화인니스(Finess)라 하여 1,000Finess로 표시하는 방법도 있다.
금의 무게단위;
금, 은등 보석류는 일반 Ounce나 Pound가 아닌 Troy Ounce 와 Troy Pound를 씁니다. 일반 Pound는 약 453그램으로 이를 16등분 한것이 Ounce 입니다만,
8. 캐럿에 따른 금합금의 특징
24K 이론상으로는 100% 순금을 말하는 순금 원소를 말하나 실용으로는 99.99%가 통용되는 것이 보통이다.
22K 세계적으로는 영국의 화폐인 22K(91.66%)를 가장 고급의 품질로 정해서 결혼반지로 사용하는 관습이
있다.
21K 금 합금 중에서 인장강도(30~40㎏f/㎣)가 커서 연신율 30% 이상을 나타낸다.
20K 순금 함량이 88.33%로 칠보의 바탕금속, 기타 장신구에 사용된다.
18K 합금의 장식용 범위는 22K~9K/까지가 일반적인데, 그 중 18K는 일반적인 합금 중 가장 보편적이고,
고급 품위로 사용한다.
색상과 경도 및 강도가 모두 가장 좋다. 특히 내구성이 충분하고 화학, 기계적 성질 모두 우수하여 반지,
브로치 등 금 장식의 대개가 모두 이것에 바탕을 두고 있다.
또한 18K에는 18K적금과 18K 청금등이 있어 색상별로 용도에 따라서 사용한다.
14K 금과 구리와의 합금 비율이 대개 3:1 인데 300℃내외에서 열처리에 의해 경화된다. 니켈 1% 미만을
합금하면 더욱 좋은 성질을 얻게 되는데, 특히 18K보다는 탄성율이 우수해서 보석 장식품과 시계, 만년필의
펜촉재료로 쓴다.
이 14K는 금이 가지는 내산성과 부드러운 감각으로 인해서 주로치과용으로 사용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