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꽃의 종류
양성화~ 하나의 꽃에 암술과 수술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완전화
단성화~ 자웅이주( 암수딴그루) 자웅동주 (암수한그루)
시비~ 거름을 주는 일
멀칭~ 농작물을 재배할때 경지 토양의 표면을 덮어주는 일
관비~ 시비와 관개의 합성어로써 작물 양분에 관개수에 섞어 시비하는 방법
관수~ 농사를 짓는 데에 필요한 물을 논밭에 댐
시용~ 시험 삼아 사용해보는 것
최아~ 농작물의 씨 따위를 심기 전에 알맞은 조건을 만들어
주어 싹을 빨리 틔우는 일 (催재촉할최 芽싹아)
채소작물 정비법
정지~ 과채류에서 채광성과 통기성를 좋게하고 착과를 조절하며
수확과 기타 관리를 쉽게 하기 위하여 줄기나 덩굴의 길이와 수를 제한하는 것
적심~ 줄기의 끝을 잘라 주는것
적아~ 곁순 제거
◈오크라 (출처~다음카페 지식백과 인터넷 사진)
아열대채소로 여자 손가락 모양과 비슷하다 하여 레이디핑거라고 불림
풋고추와 비슷하게 생겼음 (샐러드, 튀김 수프 등에 넣어서 먹음)
원산지~ 아프리카 북동부
성분~ 당질, 식이섬유, 칼륨
고추냉이~ 겨자 무라고도함
매콤 알싸한 생선요리에 많이 쓰임
염교~ 주로 장아찌 담가 먹는다.
생선회나 초방 등 먹을때 곁들여서 먹는 음식
전체적으로 쪽파와 비슷한 알뿌리
다른 이름 염교(락교) 재초라고 불린다.
1강. 채소원예의 분류 및 현황
1. 작형은
재배시기와 재배수단을 기준으로 구분하는 재배방식으로 채소는 보통재배,
조숙재배, 촉성재배, 반촉성재배, 억제재배로 분류한다.
2. 조숙재배
주로 온상에서 육묘하여 마지막 서리의 위험이 지난 다음에 본밭에 정식하여 재배하는 방식이다.
이렇게 하면 보통재배보다는 수확기를 다소 앞당겨 출하를 빨리 할 수가 있어 가격경재에서 유리한다.
3. 반촉성재배
온상에 육묘한 다음에 시설 내에 정식하여 생육 또는 수확기의 반전까지는 보온이나
가온하면서 재배하는 방식이다. 조숙재배보다 수확기가 크게 앞당겨지는데
중북부지방의 호온성 과채류와 딸기의 시설재배는 거의 대부분이 이 재배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4. 촉성재배
시설 내에서 생육의 전 기간을 가온이나 보온을 하면서 재배하는 방식으로서
수확기가 가장 빠르며 수익성도 그만큼 크다.
배의 전 기간이 저온기이므로 남부의 온난한 지방이 난방비 절감 등에서 경영적으로 유리하며
실제 과채류의 촉성재배는 대부분이 남부해안지대에서 많이 성행하고 있다.
5. 채소의 분류
생태적 분류
1. 분류의 기준~ 원산지 환경적응성( 온도, 광, 토양)
원산지~ 서양채소와 동양채소
서양채소~ 양배추, 양파, 멜론, 수박, 토마토, 호박
동양채소~ 배추, 무, 파, 가지, 토란, 우엉, 미나리
2. 온도반응~ 호냉성, 호온성 채소
호냉성 채소 ~ 배추, 양배추, 무, 상추, 마늘, 양파. 시금치,딸기
호온성 채소~ 고추, 토마토, 수박, 참외. 고구마, 토란, 옥수수
3. 광적응~ 양성채소와 음성채소
양성채소~ 과채류(토마토70klux), 양배추, 배추, 무, 당근, 양파, 감자,고구마
음성채소~ 비결구성 엽채류(상추20klux), 마늘, 생강, 파, 부추, 머위, 토란
4. 일장반응~ 장일성, 단일성, 중일성
장일성 채소~ 시금치, 상추, 순무
단일성 채소~ 딸기, 잎들깨
중성채소~ 고추, 감자. 토마토
5. 춘화반응~ 종자춘화형, 녹식물춘화형
종자춘화형~ 종자 때부터 저온감응~ 배추, 무, 순무
녹색물춘화형~ 녹식물 상태에서 저온감응~ 양파, 양배추, 당근
6. 원예적 분류
1. 이용분류~ 엽채류, 인경채류, 경채류. 근채류, 과채류, 화채류
엽채류~ 배추, 양배추, 상추
인경채류~ 마늘, 양파
경채류~ 콜라비, 아스파라거스, 감자
근채류~ 무, 당근, 우엉, 고구마
과채류~ 고추, 참외, 토마토, 딸기
화채류~ 브로콜리, 콜리플라워
2. 행정편의~ 엽채류, 근채류, 과채류, 조미채류, 양채류
조미채류~ 홍고추, 마늘, 양파, 파, 생강
양채류~ 결구상추, 셀러리, 브로콜리
7. 식물학적 분류
1. 단자엽(떡잎이 하나) 벼과(화본과) 옥수수, 죽순 등
토란과~ 토란
백합과~ 양파, 마늘, 파, 부추, 달래, 아스파라거스
생강과~ 생강, 양하
2. 쌍자엽( 떡잎이 2개) 가지과~ 고추, 토마토, 가지, 감자 등
국화과~ 쑥갓, 엔디브, 치커리, 상추, 머위
메꽃과~ 고구마, 공심채 등
명아주과~ 시금치 비트, 근대 등
배추과 잎의 모양이 십자모양으로 생겼다고 해서 십자화과라고 한다.
배추, 순무, 무, 양배추,케일, 콜리플라워, 브로콜리, 순무양배추,
방울다다기양배추
8. 채소 재배현황
1. 세계 5대 채소 (재배면적)
토마토, 수박, 양파, 양배추, 오이( 재배면적순)
2. 일본의 채소재배
우리나라보다 종류와 생산량이 많음
근채류의 종류가 다양함
3. 중국 채소 품목별 출하지
양배추~ 산동성, 내몽고, 하북성, 상해시, 절강성, 광동성, 복건성
대파~ 산동성, 상해, 복건성
양파~ 산동성, 감숙성, 복건성, 운남성
당근~ 산동성, 내몽고, 하북성, 산서성, 복건성, 광동성,
마늘~ 산동성
무~ 산동성, 내몽고, 요녕성, 하북성, 복건성
출처~중국산동성 채소 생산및수출실태 2009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보고서
4. 한국의 주요채소
배추~건고추~무~마늘~양파~파~수박
9. 채소 작형(재배방식)
시기, 수단, 가온 유무 등에 따라 나뉨
1. 보통재배~ 적기에 노지파종
2. 조숙재배~ 온상육묘 후 본밭 정식
3. 반촉성재배~ 생육전반 가온
4. 촉성재배~ 전 생육기간 가온
5. 억제재배~ 생육후반에 가온( 어떤 물질에 온도를 더함~가온)
10. 채소원의 과제
1. 종류 다양화
소비자~ 다양한 채소종류 소비 증가
2. 생산성향상
주요채소 외에 다른 채소들의 품종육성및 재배기술 향상주력
3. 품질의 고급화
핵가족화로 인한 고품질 소과종, 고당도, 다양한 색깔 채소 선호
4. 자동화
인력난 문제. 작업단순화
5. 청정채소
소비자변화~ 안전성, 기능성, 친환경채소 선호
6. 수확 후 취급기술
수확 후 저장기술로 가격경쟁력 확보
신선 채소류 수출에 큰 영향
7. 채소의 주산지화 ~ 논산 딸기, 김해~대저 토마토
8. 수출 증대~ 신선 과채류 수출액은 변화되고 있다.
2강 채소종자의 발아생리
1. 중복수정
두 개의 정핵(웅핵)과 한 개의 화분관핵으로 분열된 화분이 암술머리에 착지한 후 발아 한 다음 두 개의 정핵이 화분관을 통해 자방의 배주 내 배낭으로 들어가 난 세포와 제1정핵이 결합하여 배로 발달하게 되고 극핵과 제2정핵이 결합하여 배유를 행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2회에 걸친 수정을 중복수정이라 하며 이 결과로 배와 배유는 종자로 발달하고 배주의 외피는 종피로 발달한다.
2. 배낭
자방의 배주(밑씨)에 있는 배낭모세포(2n)가 감수분열하여 4개의 배낭세포 형성하고 이중 3개는 퇴화되고 1개의 배낭세포가 3회의 핵분열로 8개의 핵을 가진 대배우자를 형성한다.
( 8개의 핵~ 반족세포 3개, 극핵2개. 조세포2개. 난세포 1개)
3. 발아
배가 생장활동을 시작하여 종피를 뚫고 밖으로 빠져 나오는 것이다.
4. 출아
파종한 종자가 지표를 헤치고 나오는 것이다.
5. 맹아
영양눈이나 숨은눈이 싹이 터 자라 나오는 것이다.
6. 채소의 종자는 중복수정의 결과 배주가 발달하여 형성된다.
즉 난핵(n)과 정핵(n)이 수정발달하여 배가 되고, 극핵(2n)과 정핵(n)이 수정발달하여 배유가 되고 배주의 주피가 발달하여 종피가 된다.
결국 종자의 기본 구성요소는 종피, 배유, 배이지만 형태나 발달 정도는 채소에 따라 다르다.
7. 일부 채소종자는 과실적 종자로 과피를 가지고 있는데 이를 수과라고 한다. 배유의 유무에 따라 유배유종자와 부배유종자로 구분되는데 무배유종자는 배유대신 떡잎이 잘 발달되어 양분을 그 곳에 저장한다.
그리고 시금치 비이트는 외배유가 잘 발달되어 있다.
8. 종자의 저장기관으로 배유와 떡잎이 있으며, 이곳에는 발아에 필요한 여러 가지 양분이 저장되어있다. 주요 저장양분은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이다.
9. 식물은 불양환경의 극복수단으로 휴면현상을 가지고 있으며, 식물채, 종자, 저장기관등이 휴면을 한다. 종자의 휴면은 종피의 불투기성 배의 미성숙, 식물호로몬 등에 의하여 휴면을 한다.
10. 채소의 종자의 수명에 따라 1-2년의 단명종자와 3-4년의 상명종자, 5년이상의 장명종자로 구분한다.
파, 양파는 수명이 짧은 단명종자에 속하며 오이, 호박, 콩 등은 장명종자에 속한다. 종자는 잘 건조하여 온도가 낮고 건조한 곳에서 밀폐된 상태로 보관하는 것이 좋다.
11. 채소종자는 적당한 수분, 온도, 광, 산소조건에 주어지면 발아한다.
발아는 내부적으로 식물호로몬과 효소의 활성화, 저장양분의 분해. 배의 성장으로 이루어진다.
발아에는 최적온도가 있으며 범위를 벗어나면 발아율과 발아속도가 떨어진다. 온도적응성에 따라 고온발아성(호온성 채소 예~ 고추) 저온발아성(호냉성 채소~예 상추)으로 나뉘고 변온조건이 발아를 촉진하는 종자도 있다.
발아에는 산소가 반드시 필요하여 종자에 따라 산소요구도는 다르다.
종자 발아에 광조건이 영향을 미치는데 채소종자는 호광성(배추과,국화과, 미나리과) 호암성(가지과, 박과, 백합과)
광무관종자(명아주과, 콩과)로 구분된다.
12. 호광성종자의 발아특성을 보면 수분을 흡수해야 반응이 나타나고 발아적온 범위를 벗어날 때 강하게 나타난다.
그리고 광선 가운데 청색광과 적색광이 발아를 촉진하고 관여하는 체내 물질은 피토크롬이라는 광수용색소 단백질로 알려져 있다.
1. 채소종자의 구조
종자의 형성
꽃의 발달~ 암술, 수술
생식세포 형성, 수분과 중복수정~ 배주(밑씨)에서 종자형성
2. 꽃의 구조
암술머리, 암술대, 꽃실(수술대) 꽃밥, 소포자낭, 수술, 꽃잎, 꽃받침잎(약편), 꽃대(화축), 꽃받침(화탁), 꽃자루, 꿀샘, 밑씨(배주), 자방(씨방)
3. 중복 수정을 위한 화분 모세포 분열~ 화분형성
- 소포자낭 내에 한 개의 화분 모세포가 2회 감수분열 하여 4개의 소포자 생성
- 각각의 소포자는 유사분열하여 화분관핵과 웅핵으로 되고 웅핵은 유사분열로 2개가 됨
- 화분관핵은 화분관을 형성함
- 2개의 웅핵은 화분관을 통해 배주에 도달
4. 중복 수정을 위한 배낭 모세포분열~ 배낭세포형성
- 배주에 있는 배낭모세포가 감수분열하여 4개의 배낭세포 형성
- 이중 3개는 퇴화되고 1개의 배낭세포가 3회의 핵분열로 8개의 핵을 가진 대배우자형성 (8개의 핵 반족 세포 3개 극핵 2개, 조세포 2개, 난세포 1개)
5. 중복수정을 위한 수분 화분발아
- 수분(화분이 주두에 옮겨지는 것)
- 화분발아(두두)
- 배주로 화분관 발달
- 배주에서 수정
6. 수과
- 수과(여윈과실, 과실적 종자) 식물학적으로 과실
- 자방이 비대 발육하지 못하고 자방벽에 종피에 마라 붙어 있거나 종피를 감싸고 있는 종자
- 우엉, 쑥갓, 당근, 셀러리, 파슬리, 근대, 상추. 시금치, 딸기, 옥수수 등
- 수과 자방이 비대발육하지 못하고 자방벽이 종피와 밀착된 경우~ 종자로 되는 것 (딸기)
- 진과 복숭아 자방비대해지면서 과육으로 배주는 종자가 된다.
7. 무배유 종자
- 무배유 종자~ 배추과, 박과, 국화과, 콩과 채소
- 유배유 종자~ 가지과, 백합과, 미나리과, 명아주과
8. 종자의 휴면
- 휴면의 정의 ~ 생장활동의 일시적 정지현상
- 휴면의 기관~ 식물채(딸기), 눈, 저장기관(마늘인편)
- 휴면의 의의~ 식물의 불량환경 극복 수단
-휴면의 원인 ~ 종피 불투명
-슈베린, 리그린, 큐틴 축적
- 종피가 두꺼운 경우, 종피에 발아억제 물질
- 배의 미성숙~ 후숙과정 요구
- 휴면 좌우하는 식물호로몬~ 지베렐린 생장을 억제하는 aba호로몬 관여함
9. 종자의 퇴화 원인
-저장양분의 고갈 - 효소의 활성 저화
- 저장양분의 변질 - 구조 기능의 변화
10. 종자의 수명
- 단명종자(1-2년) 양파, 파, 시금치
- 상명종자(3-4년) 무, 배추, 토마토
- 장명종장(5년 이상) 콩, 오이, 호박, 가지
11. 종자의 저장
- 종자를 잘 건조항 수분 함량을 줄임
- 저장고 내의 온도와 공중습도를 낮춤
- 산소 농도를 낮추고 탄산가스 농도를 높임
1. 종자의 발아환경
발아의 생리적 기작
- 발아 ~종자에서 배가 생장하여 종피 탈출
- 출아 ~발아 후 성장하여 지표 밖으로 솟아나오는 것
- 맹아 ~영양눈이나 숨은 눈이 싹이 터 자라 나오는 것
- 종자의 수분 흡수~ 침윤, 삼투, 모세관현상
- 식물호르몬 작용~ 가수분해효소합성 유도 저장양분의 분해
- 효소 아밀라아제 전분 ~ 당
-라파아제 지방 ~ 지방산
-프로티아제 단백질~ 아미노산
- 양분의 확산이동~ 배유에서 배로 양분동원
- 배의 생장과 발아~ 유근, 유아 배촉 발달
12. 보리 발아시 효소 작용
- 지베렐린이 배반과 자엽초에서 생성되어 배유로 방출
- 지베렐린이 호분층으로 확산
- 호분층에서 a-아밀라아제를 비롯한 여러 가지 효소들이 합성되어 배유로 방출된 후
- 이들 효소에 의해 배유 성분들이 분해
- 배반으로 흡수되어 생장 중인 배로 수송
13. 발아와 환경
- 수분~ 호르몬과 효소 활성화, 저장양분 가수분해와 이동
- 온도~ 발아적온>생육적온 변온~ 발아 촉진
- 산소~ 호흡작용~ 에너지 생산 과습~ 발아억제
- 광선~ 호광성 종자와 호암성 종자. 피토크롬 작용
14. 발아와 환경
광발아성 종자의 주요특성
- 광선 중 청색광(500-560nm)과 적색광(600-700nm)은 발아를 촉진함
- 발아 적온 범위를 벗어날 때 강하게 나타남
- 피토크롬 색소단백질이 관여함
- 호광성 종자는 가능한 복토를 얇게 함
3강 영양기관의 생장과 발육
1. 괴경~ 주경의 마디에서 발생한 포복지의 선단이 비대 발육한 것이다.
2. 구경~ 주경인 지하단축경이 비대, 여기서 나온2,3차 분지가 단축 비대한 것이다.
3. 엽서~ 줄기에 잎이 배열되어 있는 양식이다.
4. 환상비대형~ 직근류 채소인 비트 뿌리가 발육할 때 목부와 사부가 분화되면 그 사부의 내초와 사이에 새로운 형성층이 생기고 여기서 다시 목부와 사부가 형성된다. 뿌리가 발육함에 따라 이것을 반복하므로 여러 층의 동심원상의 윤문이 형성되므로 환상비대형이라고 한다.
5. 포합형~ 결구하는 잎들이 잎의 선단이 포기의 중심에서 맞닿는 정도로 포합하는 형이다.
6. 포피형~결구하는 잎들이 포기의 중심을 넘어 서로 감싸며 결구하는 형이다.
7. 기근현상~ 직근류 채소의 비대근이 가랑이가 져서 여러 갈래로 조개지는 것이다.
8. 열근현상~ 직근류 채소가 수확직전에 표피가 방사상 또는 상하좌우로 터지는 현상이다.
9. 바람들이현상~ 직근류 채소(무) 근신 내부의 일부 유조직세포가 세포질을 상실항 기포가 생기면서 점차 확대되면 빈 껍데기의 세포가 되는 현상이다. 심하게 진전이 되면 인접한 여러 세포가 수축하여 공극이 생기며 희게 보이는 등 육안으로 쉽게 관찰된다. 생육 중 근부의 비대생장은 급격히 진행되고 그에 따라잎으로부터 동화물질의 공급이 뒷받침되지 못하여 일어나는 경우와 저장중 지나친 호흡으로 저장양분의 소모가 일방적으로 일어나는 경우 발생하는 일종의 과숙현상 또는 노화현상이라고 볼 수 있다.
10. 식물의 생육은 양적증가인 생장과 질적변화인 발육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채소류는 대부분 1.2년생 초본식물로서 발아 후 영양생장과 생식생장을 거쳐 결실하거나 저장기관을 형성하는 생활환을 가지고 있다.
채소의 생육기관은 영양기관과 생식기관 또는 지상부기관과 지하부기관으로 구분한다.
11. 채소는 생장하며 발육하기 때문에 생장과 발육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그리고 기관과 기관, 영양기관과 생식기관, 지하부와 지상부 이들은 서로 상관이 있다. 이러한 상관관계는 자연스럽게 조절이 되지만 인위적으로 조절하는 경우도 있다. 상관관계와 생육의 조절은 자연환경과 내부적으로 식물호르몬의 지배를 받는다. 생육의 조절예로 식물체는 종자뿐만 아니라 영양기관 자체도 휴면을 하면서 스스로의 생육을 조절할 수가 있다.
12. 줄기를 직접 이용하는 채소에는 아스파라거스, 죽순, 콜라비, 고추냉이 등이 있고 지하부의 변태된 줄기를 이용하는 채소로는 감자, 토란 참마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줄기의 선단에는 정단 분열조직이 있고 이 조직의 활발한 분열활동에 의하여 줄기가 신장하고 잎이 분화하며 측지가 발생하게 된다.
13. 줄기에는 직립하는 것 외에 기어오르는 것, 땅위를 기는 것으로부터 단축경에 이르기까지 여러 가지가 있다. 단축경은 근출엽형으로 로젯트형의 식물을 만들며, 무, 배추, 상추. 등은 화아분화 이후 추대하면 단축경이 길게 신장하게 된다.
14. 지하줄기를 이용하는 괴경류 가운데 감자는 지하의 포복지 선단이 비대하여 형성된 것이고 토란은 주경의 기부가 비대한 것이다. 그리고 참마는 뿌리와 줄기의 중간적 성질을 가진다고 하여 담근체라고 부른다.
괴경류의 형성과 비대는 일반적으로 단일조건에 촉진된다.
15. 줄기의 정단분열조직의 측면에서 분화한 엽원기가 발달하여 잎이 된다.
엽원기의 측면에는 주연분열조직이 있어 종적 신장이 먼저 일어나고 점차 잎으로 완성되어 가면서 세포와 조직의 기능분화로 종류별로 교유한 엽형이 만들어진다. 성숙한 잎의 최종크기는 주로 개개 세포의 신장생장으로 완성된다.
16. 출엽속도는 하나의 엽원기가 출현하고 다음의 엽원기가 출현할 때까지의 기간인 연간기로 나타낸다. 엽간기는 실제 하나의 잎이 출엽하여 다음잎이 출엽하기까지의 기간과 일치하는 경우가 많다. 잎의 종류는 크게 단엽과 복엽으로 구분하며 엽서는 호생, 대생, 윤생엽서로 분류된다.
17. 채소류 가운데 엽구를 형성하고 인경을 형성하는 것을 결구한다고 말한다. 배추, 양배추, 상추 가운데는 결구성과 비결구성이 있다. 결구하는 것은 엽구의 형태에 따라 포피형과 포합형, 엽중형과 엽수형으로 분류한다, 엽구의 과정은 외엽의 전개에 이어 내측의 잎이 직립하다가 점차 안으로 굴곡하면서 결구가 개시되고 그 후 개개 잎의 엽중증가와 엽수의 증가로 결구가 충실해진다. 결구의 기작은 차광에 의하 옥신의 불균형분포와 그로 인한 잎의 불균형신장으로 설명되고 있다.
18. 인경을 형성하는 채소는 마늘, 양파, 쪽파 등이 있다. 잎의 엽초기부 또는 미전개 잎이 저장엽화한 것으로 인엽구라고도 한다. 인경의 형성에는 일장이 크게 관여하며 모두 장일조건에서 촉진된다. 양파의 경우는 품종별로 한계일장이 크게 달라 지역별 적절한 품종을 선택하지 않으면 안된다.
19. 뿌리를 이용하는 채소는 무, 순무, 당근, 우엉, 고구마 등이 있다.
직근류는 유근이 발달하여 주근이 되는 경우이며, 이외에도 부정근이 발달하여 섬유근의 근계를 형성하는 채소들도 많이 있다. 뿌리의 선단에는 생장점이 있어 뿌리의 신장이 이루어지는데 줄기선단처럼 측면에서 측아가 형성되지는 않는다.
20. 뿌리의 선단은 생장점과 그를 감싸 보호하는 근관조직, 신장대, 흡수대(근모대)로 구분이 된다. 흡수대에는 표피세포가 돌출하여 형성되는 다수의 근모가 있어 양수분의 흡수를 촉진한다. 측지는 흡수대 윗부분의 내초에서 내생분지하며 발달과정은 주경과 비슷하다.
21. 토양중에는 주근, 측근,부정근 등의 뿌리가 깊고 넓게 뻗어 분포하는데 이를 근계라고 부른다. 쌍자엽채소는 유근이 발달하여 주근을 이루고 주근에서 발달한 측근이 있어 주근형 근계를 형성한다. 단자엽채소는 유근이 바로 퇴화하고 다수의 부정근이 출현하여 섬유상의 근계를 형성한다.
22. 뿌리의 저장 기관으로는 직근류의 비대근과 괴근이 있다. 직근류는 배축의 일부와 유근의 상단부가 비대발육하여 비대근이 된다. 이들의 비대양식에는 3가지 종류가 있는데 무, 순무, 우엉과 같은 목부비대형, 당근과 같은 사부비대형, 그리고 비트와 같은 환상비대형이 있다.
23. 직근류의 비대에는 온도, 일장. 토양환경이 큰 영향을 미친다. 특히 사질토양에서는 생육속도가 빠르고 외관은 좋지만 조직이 치밀하지 못해 저장력이 떨어지고 쓴맛과 매움정도가 심해 품질이 크게 떨어진다.
그리고 토양환경이 좋지 않으면 기근과 열근이 많이 발생한다.
24. 비대근은 수확 시 또는 수확 후 저장 중에 바람들이 나타난다. 바람들이란 세포조직 내의 당이 소모되어 빈 껍데기의 세포가 되어버리는 현상이다. 당의 소모가 빠르고 반면 당의 공급이 제대로 안되어 일어나는 현상이다. 생장속도가 빠르고 체내 당함량이 적은 품종과 고온 건조한 조건에서 저장하는 경우에 많이 발생한다.
1. 영양기관의 생장과 발육
채소의 생장과 발육
- 생장~ 양적변화, 세포분열, 세포신자, 체적과 중량의 증가
- 발육~ 질적변화, 형태형성, 새로운 조직이나 기관의 발달
- 생육~ 생장, 발육
2.생육과 생활환
발아(맹아), 경엽분화 경엽생장, 영양생장. 화아분화, 생식생장, 개화, 수분 수정, 결실, 종자 저장기관, 휴면~라이프싸이클이라고 한다.
3. 생육의 상관과 조절
- 영양생장과 생식생장. 정아와 측아. 지하부와 지상부
- 내적, 생리적 조절~ 낙과, 휴면현상, 착과주기,식물호르몬, 촉진 또는 억제
- 외적, 인위적 조절~ 정지, 적심, 적과, 기계적 조절
생장조절제, 화학적조절
- 휴먼의 의의 ~ 고온과 저온 극복, 저장성 향상
- 휴면의 요인~ 고온과 장일(저장 마늘 양파)
저온과 단일(딸기), GA(촉진)와 ABA(억제)
-노지딸기 저온단일 휴면유기 9월말~11월~1월
-휴면타파 (2월 5도씨 이하의 저온)
-겨울철 딸기 시설재배
설향 품종은 휴면이 얕으나, 휴면이 깊은 품종이나 반촉성재배 시 전조나 본포 정식 후 휴면최심기인 11월 10일부터 생리적 휴면타파에 필요한 5도씨 이하의 저온 경과 시간을 100-200시간으로 설정하여 저온요구시간을 채운 후 시설의 보온을 시작함
4. 줄기의 생육과 괴경
줄기의 생육
줄기의 선단부에는 생장점이라는 원추형의 정단분열조직이 있다. 생장점에서 하부로 내려오면서 엽원기가 차례로 측생하는데 이 부분까지를 경정이라고 한다. 채소작물의 경정은 중앙시원세포, 주변부 및 중심부로 구분한다.
- 신장경~ 절간이 길게 신장하는 것, 포복경(딸기러너), 직립형(고추),
넝쿨형(오이)
- 단축경~ 절간이 잛게 단축되는 것, (근출엽형, 로젯트상)
딸기, 마늘, 양파, 무, 배추, 양배추, 상추
- 괴경~ 지하줄기 일부가 비대하여 저장기관으로 변한 것( 감자)
- 괴경(예 감자) 주경(줄기)의 마디에서 발생한 포복지의 선단이 비대 발육
- 구경(예 토란)~ 주경인 지하단축경이 비대, 여기서 나온
2.3차 분지가 단축 비대
5. 괴경의 형성
감자의 괴경 현상과 비대에 관여하는 요인
-외적요인~ 일장(12시간 이하의 단일), 온도(15도씨 이하 저야온)
-내적요인~ 옥신, 지베렐린, 시토키닌
6.잎의 형성
경졍부의 측면에서 분화된 엽원기로부터 발달
- 잎의 출엽속도
경정에서 하나의 엽원기가 출현한 후 다음의 엽원기가 출현할 때까지의 기간, 엽간기( 경정분열조직의 활성과 관련)
-쌍자엽~ 엽신(잎몸-엽편), 탁엽(턱잎), 엽병(잎자루) ~ 딸기
-단자엽~ 엽초, 엽신~ 파
7. 잎의 형태
-단엽~ 대부분이 채소
-우상복엽~ 무, 당근, 감자 토마토
-복엽~ 딸기, 콩과채소
8. 잎의 결구
-엽구의 형성~ 양배추, 배추, 상추
-인경(또는 인엽구)~ 잎의 일부 또는 측아가 비후
발달하여 형성된 일종의 엽구(마늘(인편), 양파(인엽))
-결구성~ 양배추, 결구배추, 결구상추
-반결구성~ 서울배추, 개성배추
-비결구성~ 잎상추, 야생배추
-결구과정~ 외엽발육기> 결구기> 엽구충실기
-내측 잎들은 엽병이 짧아지고 엽신폭 넓어짐
- 전개 엽수 증가로(20매) 내부잎이 차광되고 직립 잎의 선단은 안쪽으로
오므라 들면서 맞은편 잎을 감싸 결구됨
-인엽~ (불완전한 잎이 비대) 맹아엽(발아엽), 보호엽, 단축경,
뿌리,인엽(저장엽)
1. 인경 형성에 관여하는 요인
-외적 요인~ 온도와 일장(저온자극, 고온과 장일)
-내적 요인~생장조절 물질
2. 뿌리의 생육
- 뿌리의 기능~ 식물체 지지, 양분과 수분의 흡수
- 주요 근채류~ 무, 당근, 순무, 우엉, 고구마(괴근)
- 뿌리의 종류~ 주근(직근), 측근, 부정근(섬유근)
3.직근류~ 당근(사부비대형), 무(목부비대형), 비트(환상비대형)
1. 바람들이
무의 뿌리 내부에 세포액이 없고 세포막만 남아서 군데군데 공허한 부분이 생긴 것 (노화현상)
2. 뿌리의 생육비대가 왕성하게 이루어지려고 할 때. 잎의 동화양분이 뿌리의 중심부까지 충분하게 양분을 공급할 수 없게 되어 기아상태의 세포가 비게 되며 차차 집단화하여 공동이 생기는 것
9. 괴근의 형성과 비대
-괴근~ 식물이 뿌리가 양분을 저장해서 덩이 모양으로 비대해지것
-괴근 고구마 ~괴근 형성
-줄기마디에서 발생한 부정근의 일부 비대
-비대양식~ 목부비대형
-관여물질~ 옥신> 괴근 형성
4강 생식기관의 생장과 발육
1. 화아분화
식물체가 유년기를 끝내고 성숙한 다음 특정한 환경조건이 주어지면 줄기의 정단분열조직 또는 측아의 생장점에서 질적인 변화가 일어난다. 그 동안 계속되던 영양기관의 분화에서 생식기관의 분화가 처음으로 일어나 조직의 형태적 변화를 보이는데 이를 화아분화개시 라고 한다. 즉 계속되던 엽원기의 분화가 정지되고 대신에 화아가 분화되기 시작한다.
2. 춘화처리
이처럼 저온자극에 의하여 화아분화가 촉진되는 것을 춘화라고 하며, 화아분화를 위하여 저온조건을 부여하는 것을 춘화처리라고 한다.
3. 종자춘화형
식물이 저온에 감응하는 시기가 언제이냐에 따라 종자 춘화형과 녹식물 춘화형의 2가지 형으로 분류한다. 종자춘화형은 종자가 흡수하여 배의 생장 기능이 발휘되면서부터 저온에 감응할 수 있는 채소로서 배추,무 등이 이에 속한다. 특히 이러한 채소는 등숙기춘화라는 것이 있어 예상치 않은 불시추대로 종자사고를 유발하는 경우가 있다. 채종 시 수정한 어린 배가 개화기의 냉량한 기온에 감응하여 춘화처리의 효과가 그 후 성숙한 종자에 나타난 결과이다.
4. 녹식물춘화형
녹식물춘화형은 식물체가 일정수준 이상 커서 녹식물 상태가 된 다음부터 저온에 감응하는 양배추, 양파 등과 같은 채소이다. 이들은 일정한 크기에 도달하지 않으면 저온에 감응하지 못하며 화아분화가 이루어지 않기 때문에 그 이전은 유년기라고 볼 수가 있다. 특히 이 유년기에는 아직 저온감응에 필요한 물질이 축적되지 않은 것으로 해석할 수도 있다.
5. 추대
근출엽형 채소들이 화아가 형성되어 생식생장으로 들어가면 로젯트상을 벗어나 줄기나 길게 신장하거나 아니면 화경이 길게 신장하는데 이러한 현상을 추대라고 한다. 추대는 화아형성 이후에 일어나는 발육현상이라고 볼 수 있다.
6. 줄기의 정단분열조직에서는 정생화아 측아의 생장점에서는 액생화아가 분화된다. 화아분화의 형태학적 변화는 원추상의 생장점이 편평해지면서 원주상의 화상을 형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화아분화에 필요한 내부의 생리적 변화를 화성유도라고 한다.
7. 엽근채류의 과채류는 화아분화의 특징과 재배적인 의미가 다르다. 엽근채류는 화아분화가 생식생장으로의 전환점이 되며, 화아분화가 되면 영양기관의 발육이 정지되기 때문에 대단히 불리하다. 그리고 화아분화는 일장과 온도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과채류는 영양생장과 생식생장이 동시에 이루어지면 적극적으로 화아분화를 유도해야 하며 화아분화에 미치는 환경의 영향이 그다지 크지 않다.
8. 화아분화의 내적요인으로 유전적인 요인, 화성유도 호르몬 그리고 C-N율이 있으며 외적요인으로 일장과 온도환경이 중요하다. 일장에 의하여 화아분화가 유도되는 현상을 광주성 또는 일장효과라고 하며 광주성에 따라 채소는 단일성, 장일성, 중성채소로 분류할 수 있다. 일장에 감응하는 부위는 전개된지 얼마안되는 잎이며, 플로리겐과 같은 화성호로몬을 가정하고 있다. 온도는 주로 저온이 관여하는데 저온에 일정기간 경과하며 화아분화가 이루어지는 것을 춘화현상이라고 한다. 춘화식물은 종자춘화형과 녹식물춘화형으로 구분이 되며, 저온의 감응부위는 생장점과 종자의 배부위이고, 관여하는 물질로 버날린을 가정하고 있다.
9. 꽃양배추류는 녹식물춘화형이며, 식물체가 어느 정도 자란 다음 저온에 감응하여 화아분화가 이루어지며, 비후한 줄기상단에 짧은 화경을 가지고 그위에 다수의 화아가 밀생하여 회구를 형성한다. 저온감응이 부족하거나 화아형성시에 고온 등에 부딪히면 버트닝, 리피, 라이시, 블라인드, 등의 불량화구가 형성이 된다.
10. 엽근채류는 대개 단축경에 로젯트상을 보이는 근출엽형 식물이다. 화아분화 이후 고온, 장일, 강광조건이 주어지면 줄기와 화경이 길게 신장하여 개화하게 되는데 이것을 추대라고 부른다. 채종재배가 아닌 한 이 추대를 억제해야 하며 화아형성이 되어도 추대가 되지 않으면 상품성을 유지할 수가 있다.
11. 분화된 화아는 밖으로부터 꽃받침, 꽃잎, 수술, 암술의 순으로 점차 발달한다. 화아의 형성과정에서 수술에서는 화분이 암술에서는 배낭이 형성되어 수정준비를 하게 된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환경조건이 불량하면 다양한 기형화가 형성되고 단성화의 경우는 성의 분화가 이루어진다.
12. 성숙한 화아가 화피를 열개하는 것 또는 수술의 약이 터져 화분이 방출되는 것을 개화라고 한다 대부분의 채소는 이른 아침에 개화하여 당일로 지거나 아니면 수일간 개화상태를 유지한다. 암술이나 화분의 임성도 종류에 따라 달라서 개화 전에서 개화 후 수일간 지속된다.
13. 화아분화 초기에는 양성화의 특징을 보이지만 화아가 발달하는 과정에서 암술 또는 수술의 발육이 정지되어 단성화가 된다. 박과채소는 자웅동주형의 단성화를 형성하며, 시금치, 아스파라거스 등은 자웅이주형의 단성화를 형성한다. 박과채소 가운데 참외류는 양성웅화동주형으로 다른 채소와 구분이 된다.
14. 수분, 수정으로 종자가 형성되고 동시에 과실이 발육한다. 종자는 배주가 발달한 것이고, 과실은 자방과 그 주변의 기관이 발달하여 형성된다. 채소류의 수정양식은 자가수정과 타가수정으로 분류된다. 자가수정채소는 화기구조상 다른 화분과의 접촉이 어려운 가지, 토마토, 상추, 완두 등이 있다.
타가수정 채소는 단성화를 가지는 박과채소, 자가불화합성이 있는 무, 배추, 자웅이주인 시금치 등이 있다. 그리고 자식과 타식을 겸하는 채소에는 고추, 딸기, 양파, 당근 등이 있다.
15. 수정 후 종자가 발달하면서 자방과 그 주변 조직이 비대하여 과실이 된다. 과실은 자방만이 비대하여 형성되는 진과와 화탁이나 자바의 주변 조직이 과실에 포함되는 위과로 구분이 된다. 딸기와 박과채소의 과실은 위과에 해당한다. 대부분의 과채류는 수분, 수정, 종자형성이 과실비대와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이것은 종자형성과정에 생성되는 옥신이 착과와 과실의 비대를 촉진하기 때문이다. 과실의 비대는 대개 세포분열보다는 세포신장과 양수분의 축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16. 착과와 과실비대를 조절하기 위하여 정지,적엽, 적심, 유인 등을 작업을 실시한다. 한편으로 인공수분을 하여 착과를 조절하기도 하고 병행하여 여러 가지의 착과촉진제를 이용하여 착과와 과실비대를 조절한다.
17. 과실은 중량과 크기가 최고에 달하고 수확 이용할 수 있는 단계에 이른 것을 성숙했다고 한다. 성숙은 생리적성숙과 원예적성숙으로 구분하는데 토마토, 딸기와 같은 것은 완전히 성숙한 것으로 이용하지만 오이, 호박 등은 미숙과를 수확하여 이용한다, 후자처럼 생리적으로 성숙하지 않았지만 이용이 가능한 상태로 발육한 것을 원예적성숙이라고 한다.
18.과실이 생리적으로 성숙하면 단맛이 증가하고 신맛이 감소하면서 조직이 부드러워지고 향기가 난다. 여러 가지으 색깔이 발현이 되고 일반적으로 에틸렌의 방출이 증가하고 과실에 따라서는 일시적 호흡의 증가현상이 나타난다.
1. 화아의 분화와 발달
화아의 분화
- 유년기> 특정한 환경조건> 줄기의 정단분열조직
또는 측아의 생장점(액아)에서 질적인 변화
- 화아분화개시 (영양생장> 생식생장기관의 분화)
-형태상~ 원추상의 생장점이 원주상으로 변하여 화상형성
2. 엽근채류
- 이용부위가 영양기관(억제)
- 채종~ 영양생장>화아분화>생식생장
- 저온경과~ 화아분화
-고온과 장일~ 화아형성
3. 과채류의 화아형성
- 영양생장과 생식생장 병행
- 건전화아~ 수량증대, 품질 향상
- 온도와 일장~ 영향을 미치지만 엽근채류 처럼 결정적인지는 않음
- 정생화아(정아에서 형성)~ 가지과, 백합과, 미나리과, 국화과
- 액생화아(액아에서 형성)~ 박과, 배추과, 콩과, 명아주과, 시금치
- 혼생화아(액아에서 형성)~ 딸기, 옥수수
- 고추는 양쪽으로 생장점이 생겨 화아가 형성될 때마다 분지하여 화아가 기아급수적으로 증가함
- 줄기 선단이 화아로 분화되면서 측아가 형성( 고추 ~ 양쪽 마디)
- 액생은 마디를 말한다.
- 액생화아(엽액에서 꽃핀다) (화아형성 초기~ 양성화)
(화아형성 과정~ 암술,수술 발육정지> (성숙화아~ 암수 구분)
4.화아의 요인
-유전적 요인~ 무의 품종별 저온감응성 차이,만추대성 품종
-환경적 요인~ 저온자극, 버닐린(화성호르몬, 화아분화 촉진 호르몬)
일장효과, 플로리겐(화성호르몬, 화아분화 촉진 호르몬)
-영양적 요인~ C/N율 (탄수화물 비율이 높을 때)
5. 일장고 광주반응
- 1920년 미국Garner & Allard
- 광주반응~ 광주성~ 일장효과
- 한계일장~유도일장과 비유도일자의 경계 일장
- 단일채소, 중성채소, 장일채소
-단일성~ 딸기, 단옥수수, 호박(암꽃), 풋대콩, 들깨 등
-중일성~ 가지, 토마토, 고추 등
-장일성~ 시금치, 상추, 쑥갓, 갓, 무 등
-일장의 감응부위~ 충분히 전개한 젊은 잎의 선단부
- 관여광선~ 적색광, 약광에도 반응, 최저 5lux
- 관여물질~ 피토크롬의 중개로 플로리겐 합성(화아분화 유발)
6. 온도와 춘화현상
- 춘화현상~ 식물이 저온자극에 의하여 화아분화가 촉진되는 것
- 춘화처리~ 화아분화를 촉진하기 위해 저온조건을 부여하는 것
- 고온춘화~ 상추 고온자극, 적산온도 1.500-1.700도씨 이상
- 이춘화 ~ 저온자극에 의한 춘화가 고온자극으로 사라지는 현상
7. 저온춘화형
- 종자춘화형~ 배추,무, 순무,완두, 잠두 등
- 녹식물춘화형~ 양배추, 셀러리, 파, 양파, 당근, 우엉, 콜리플라워,브로콜리 - 고온춘화형~ 상추, 부추, 염교 등
8. 화구의 형성과 발달
- 화구 ~ 비후한 화경에 다수의 화아가 형성한 꽃덩어리(화뢰)
- 콜리플라워 ~ 짧은 화경, 치밀한 화아 단단함
- 브로콜리 ~ 다소 긴 소화경, 독립된 화뢰, 치밀하지 않음
9. 화구 발달 위한 화아분화 조건
- 콜리플라워 줄기지름 8-15mm 2-17도씨 20-30일
-블로콜리 줄기지름 3.5-15mm, 2-17도씨 20-30일
10. 블로콜리 꽃봉오리 구조 및 형성
줄기의 끝부분 (경정)에 화구를 형성하며 화구는 주경과 다수의 측생화서들로 이루어지며 측생화서는 수차의 분지를 반복하여 무수한 화아가 형성되어 화구를 만듦
11. 추대현상
- 저온에 의한 화아분화 후 영양생장이 잘되는 환경조건에서 줄기 또는 화경의 신장(촉진~ 고온, 강광, 장일)
- 영양생장 정지, 수량 감소, 품질 저하
12. 추대와 개화, 추대의 요인 및 조절
화아형성 이후 추대를 촉진하는 요인
-외적 요인~ 고온, 강광, 장일, 사질토, 척박토
- 내적 요인~ 유전성(만추성품종), 묵은 종자, 고C/N율
- 추대억제~ 저온과 단일, 파종기 조절, 품종의 선택
- 추대촉신~ 채종과 육종, 고온과 장일처리, 생장조정제
13. 개화현상
- 화아분화~ 정단분열조직에서 보통엽 대신 화엽의 원기를 형성하는 것
- 불량환경~ 기형화, 단화주화, 불임화분, 불완전 추대
- 적정환경~ 화피(꽃잎, 꽃받침)의 전개와 개약
- 개화와 개약시간, 개화기간은 종류, 환경조건에 따라 다름
- 토마토 ~ 개화 후 1일 후
- 가지, 고추. 박과채소: 개화 후 동시
- 딸기: 개화 후 몇시간 후 (저온기엔 2~3일 뒤)
14. 수정불량에 의한 딸기 기형과
야간의 장기간 저온(5도씨)으로 인해 암술이 얼거나 낮 온도를 30도씨 이상으로 높게 관리한 경우 또는 벌 활동 미비
15. 성의 분화
-꽃의 종류 : 양성화, 단성화
- 단성화 : 자웅이주, 자웅동주
_ 암수분화 : 초기 양성화> 단성발육
- 관여요인 : 온도, 일장, 식물호르몬
- 분화저절 : 수량 증대, 품질, 생산성
-호박의 암수 성의 분화~ 환경조건과 식물호르몬
- 저온, 단일, 에틸렌: 암꽃 착생절위를 낮추고 암꽃수 증가
- 지베렐린 처리 : 수꽃증가
16. 수분과 수정 양식
자식성
- 가지, 토마토,상추, 우엉, 콩과채소
- 자연교잡율이 4% 이하이다.
- 방화곤충이 적고 화기구조상 자가수분
- 콩과, 국화과는 개화전 꽃 안에서 수정
자식+타식성
-고추, 딸기, 양파, 당근
- 고추작물은 가지, 토마토에 비해 방화곤충이 많다.
-셀러리 수술이 먼저 성숙함
타식성
- 배추과채소, 박과채소, 옥수수, 시금치, 아스파라거스
- 무, 배추 등은 양성화이지만 자가불화합성
- 박과는 화분이 크고 바람에 안날린다.
- 밀선이 잘 발달하여 방화곤충이 많다.
17. 결실과 과육의 발육
수분과 수정양식
- 불량환경- 불임화분 증가, 화분발아 억제
- 화분은 수명이 짧고 고온에서 활력이 떨어짐
- 가능한 아침 일찍 신선한 화분을 이용함
- 수정가능 기간은 개화 전후 2-4일간임 (종류별 차이)
- 화분의 수명은 개약 후 수시간에서 몇일간임
18. 과실이 발육
종자가 착과와 과실비대에 관여함
1. 기작
- 수분, 수정, 종자 형성 : 옥신 생성 촉진
- 옥신의 이층형성 억제, 착과와 과실비대 촉진
2. 근거
- 과실비대과정에 옥신 함량이 증가함
- 단위결과 채소는 옥신 분포 농도가 높음
- 옥신을 처리하면 단위결과가 유도됨
- 과실 내 종자수와 과실 중량은 비례함
- 위과~ 자방이 일부, 기타 기관이 비대
- 진과 ~ 자방이 종자 형성과 함께 비대
- 생리적 착과조절~ 생리적 낙과, 착과주기
- 인위적 착과조절~ 적심, 유인, 적과, 적엽, 인공수분, 착과제 처리
- 토마토 인공수분~ 호박벌과 서양뒤영벌
19. 단위결과
- 오이의 단위결과 : 종자가 형성되지 않아도 착과하여 과실이 정상적으로 비대하는 현상
- 오이는 인공수분이나 착과제 처리를 필요로 하지 않음
- 단위결과성 식물들은 특별히 체내에 옥신 함량이 높음
- 따라서 옥신은 단위결과를 유기하는 대표적인 물질로 잘 알려져 있으며, 그 외에도 지베렐린과 씨토키닌 등도 관여하고 있음
20. 과실성숙
- 성수과정에서 일어나는 내부 변화들
- 탄수화물의 당화로 단맛 증가
- 유기산의 감소로 신맛이 감소
- 엽록소가 감소하고 다른 색소 발현
- 세포벽 펙틴질 분해로 조직이 연화
- 방향성 물질 휘산으로 향기가 발산
- 호흡의 일시적 상승> 클라이맥트릭 현상
- 에틸렌( 과실성숙촉진호르몬) 급격한 상승
-호흡급등형~ 토마토 멜론
- 호흡비급등형 ~ 딸기, 오이 고추, 가지
5강 채소생육과 환경조절
1. 아포플라스트 경로
뿌리털에서 흡수된 물이 뿌리 세포간극과 세포벽으로 형성되는 자유공간을 통하여 이동하는 것이다.
2. 심플라스트 경로
뿌리털에서 흡수된 물이 원형질연락(세포질)을 통하여 세포에서 세포로 이동하는 것이다.
3. 낮잠현상
광합성속도는 일출과 함께 급격히 증가하기 시작하여 오전 11시 경 최고에 달했다가 정오를 전후해서 오후 2시까지 광합성 속도가 저하되는 현상이다.
낮잠현상의 원인으로는 전분 축적으로 광에너지의 전달이 차단되고, 탄산가스가 100ppm 이하로 떨어지며, 당농도가 높아 피드백이 억제되는 한편 엽내 수분부족으로 기공이 폐쇠되어 탄산가스 공급이 제한되어 나타난다.
4. 광보상점
식물의 광합성은 암상태에서부터 시작아여 광도를 점차 높여주면 그에 따라 광합성이 증가하여 탄산가스의 흡수량이 증가한다. 반면 식물은 호흡을 하기 때문에 그 결과로 탄산가스가 방출된다. 광도가 어느 수준에 이르면 흡수되고 방출되는 탄산가스의 량이 같아 겉보기에는 광합성량이 나타나지 않는데 이때의 광도를 광보상점이 라고 한다.
5. 광포화점
광도가 높아지면 광합성이 증가하다가 어느 수준에 이르면 더 이상 광도가 높아져도 광합성이 증가하지 않는데 이때의 광도를 광포화점이라고 한다.
6. 채소의 무기양분을 16가지 필수원소를 중심으로 설명하였다. 무기양분은 주로 토양용액에 분포하고 있으며, 뿌리에서 수분과 함께 흡수된다. 채소는 다른 작물에 비하여 뿌리의 양이온치환용량(CEC)이 높아 양분의 흡수량이 많다. 능동적 또는 수동적으로 흡수된 양분은 증산류와 근압류에 의하여 목부도관을 타고 상승이동하고 , 사관을 통하여 재이동을 하는데 칼슘과 붕소는 이동성이 대단히 낮다.
7. 채소는 양분흡수량이 다른 작물에 비하여 많으며, 특히 세포벽의 펙틴함량이 많아 칼슘에 대한 요구도가 높다. 그리고 생육기간 중의 양분흡수경과를 보면 과채류,양배추와 같이 생육후기까지 지속적으로 흡수되는 것과 양파,무와 같이 생육도중에 흡수량이 최대로 달하는 2가지 종류가 있다. 각각의 양분은 독특한 생리적 기능을 가지며 과부족시에는 다양한 결핍증상과 과잉증상을 나타낸다.
8. 채소의 유기양분은 광합성의 결과 생성되는 탄수화물을 말한다. 하루 중 광합성의 변화를 보면 오전 중에 60-70%가 이루어지며, 한낮에 광합성속도가 떨어지는데 이를 낮잠현상이라고 한다, 채소 광포화점은 종류에 따라 다른데 수박, 토마토는 높고, 미나리, 머위 등은 대단히 낮다. 잎은 광합성 물질의 소스이고 과실과 저장기관은 싱크이다. 소스에서 싱크로 주로 체관부를통하여 광합성물질이 이동하는 것을 전류라고 한다.
9. 채소는 온도적응성에 따라 호온성과 호냉성으로 분류하는데 과채류는 대개 호온성이고 엽근채류는 호냉성이다. 딸기는 과채류이지만 호냉성채소이다. 채소의 생육적온은 대사작용, 기관, 생육단계, 품종, 종류에 따라 다르며, 주간과 야간, 기온과 지온이 각각 다르다. 노지의 온도관리 내용으로는 적기에 적절한 품종을 선택하는 것과 함께 온상육묘, 핫캪의 이용, 멀칭, 터널재배 등이 있으며, 시설재배에서는 환기, 차광, 냉방과 난방 등이 있다.
10. 낮동안에는 활발한 광하벙을 위하여 다소 높은 온도가 필요하고 야간에는 저온을 유지하여 호흡에 의한 물질의 소모를 억제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시설재배에서는 주야간의 변온관리가 필요하다. 채소는 생육적온의 범위를 벗어나면 저온 및 고온장해가 발생한다. 특히 화아분화기 전후의 저온과 고온은 수정장해를 유발하여 여러 가지 기형과 발생의 원인이 되고 있다.
11. 광환경은 광도, 일장, 광질의 3가지 측면에서 검토하였다. 광도는 광합성과 관련하여 광포화점까지는 높을수록 생육이 촉진되며, 광포화점은 채소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채소류는 광적은성에 따라 과채류와 같은 양지채소와 비결구성엽채류와 같은 음지채소로 구분할 수가 잇다.
12. 광환경은 노지에서는 적극적으로 관리하기가 어려우나 적기에 파종한다거나 품종의 선택을 올바로 하여 알맞은 일장조건을 부여하며, 재배 중에 정지, 적엽, 유인 등을 통하여 광환경을 개선하는 관리를 한다. 시설 내에서는 적극적인 광환경의 관리가 가능하다. 피복재의 선택과 관리, 무적필름의 사용, 산광피복제의 도입과 반사판의 설치, 차광과 인공광의 도입으로 보광과 일장처리가 가능하다.
13. 대기중에는 여러 가지 성분이있지만 채소의 생육과 관련하여 탄산가스, 수분, 유해가스 등이 중요하다. 노지에서는 조절이 어렵지만 시설 내에서는 이러한 공기환경의 조절이 가능하다. 시설내에 부족한 탄산가스를 공급하는 것을 탄산가스시비라고 한다. 유해가스에는 아황산가스, 일산화탄소, 암모니아가스, 아질산가스 등이 있다. 시설재배에서 환기작없은 탄산가스를 공급하고 유해가스를 배출하며, 공중습도를 조절하는 중요한 수단이다.
14. 채소재배토양으로 사토, 충적토, 홍적토 그리고 화산회토가 있다. 각각 토양의 특징이 다르며 토양에 따른 작물의 선택과 비배관리가 다르다. 토양환경은 물리성, 화학성 및 생물성으로 구분하였으며, 토양의 물리성에는 토성, 토양구조, 토양수분, 통기성, 토양온도 등이 중요하다.
15. 토양의 화학성으로는 토양반응과 염류집적이 가장 중요하다, 토양반응은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하여 산성화되기 쉽고, 산성화되면 무기양분이 과잉 용출되거나 불용화되며, 토양미생물의 활동이 억제되어 여러 가지 생육의 장해를 일으킨다. 시금치, 배추, 샐러리는 산성에 약하고, 수박, 감자 등은 산성에 강하다. 채소 토양은 다비재배, 강우차단 등으로 표층에 다량의 염류가 집적되기 쉽고, 염류농도가 높아지면 생육장해 현상을 나타낸다. 합리적인 시비, 객토, 심경, 담수처리, 흡비작물 도입 등으로 염류집적을 방지할 수가 있다.
16.토양관리의 내용에는 경윤과 정지, 중경제초와 배토, 멀칭, 관수와 시비가 있다. 경운은 심경을 해야하며 정지는 이랑만들기를 의미한다. 중경과 제초는 거의 생력화 방향을 나아가고 있으며, 배토는 연백, 분구억제, 지하부노출방지, 착색방지, 도복방지, 등이 주된 목적이다.
17. 채소를 재배하면서 경작지 표면을 플라스틱필름이나 짚으로 덮어주는 것을 멀칭이라고 한다. 멀칭을 하면 지온의 상승 또는 하가 조절, 표토와 비료의 유실방지, 토양수분의 유지, 잡초와 병충해의 방지 등의 효과가 이다. 고추와 마늘의 조숙재배에 많이 사용하고 있다.
18. 채소재배의 자동화와 생력화의 일환으로 관수와 시비를 동시에 하는 관비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관수시설은 주로 점적자동관수시스템이 도입되고 있다. 채소의 경우 엽면시비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주로 토양시비가 어렵거나 효과가 크지 않다고 생각될 때 요소, 붕소, 칼슘, 마그네슘 등의 원소를 저농도의 액비로 만들어 엽면에 살포해 준다.
19. 채소는 불가피하게 연작을 해야 하는 경유가 많이 있다. 연작을 하면 여러 가지 장해가 나타나는데 그 원인은 토양병충해의 만염, 토야의 물리화학성의 악변, 독소물질의 분비 등이다. 특히 토양전염성 병해에 의한 것이 가장 많다. 대책으로는 윤작, 답전윤환 등이 있으나 토양소독과 접목재배의 방법이 많이 이용된다.
1. 채소생육과 환경조절,~식물영양과 생육
채소의 무기영양
- 다량원소(9종): C,H,O,N,P,K,Ca,Mg,S
- 미량원소(7종): Fe, Mn, Zn, Cu, Mo, B, Cl, (Ni)
- 주요 시비대상 : 질소, 인산, 칼륨, 칼슘, 마그네슘
2. 채소의 무기영양
-양이온 흡착~ 토양입자 음(-) 전하
-양이온 교환 및 방출~ 뿌리방출 수소이온(H+) 또는 토양용액의 다른 이온과 교환되어 토양입자에서 방출
3. 채소의 무기영양 흡수
-근모 흡착> 표피세포벽> 물관
- 세포벽 경로 ( 아포흘라스트 경로)
- 원형질 경로 ( 심플라스트 경로)
- 뿌리 세포막에서 물과 무기양분의 흡수 : 수동적 흡수(촉진확산)
-수송관 단배질~ 주로 전하를 띤 용질(이온) 10-4~10-5 용질분자/1초이동
- 운반체단백질~ 단백질의 3차적 구조변형으로 수송(NO 에너지)
- 뿌리 세포막에서 물과 무기양분의 흡수 : 능동적 흡수(에너지 대사)
- ATP 가수분해 : 에너지
- 운반체단백질에 의한 능동적 수송 체계로 펌프라 함
4. 채소의 무기영양
- 높은 이동성~ 질소, 인,칼륨, 마그네슘,황산 등(겹핍증이 오랜잎에 나타남)
- 낮은 이동성~ 칼슘, 붕소, 철(결핍증이 어린잎에 나타남)
- 칼슘과 붕소는 증산류로 이동하기 때문에 증산이 억제되면 tip burn 등 결핍증이 발생하기 쉬움
- 오래된 잎이 노랗게 변하는 것은 질소가 부족해서 이다.
5. 채소의 광합성 특징
- 오전 중 60-70%, 오전 11시 최고
- 낮잠현상: 정오~ 오후 2시
- 전분축척으로 광에너지전달 차단, CO2 농도저하, 피드백억제, 수분부족, 기공폐쇄, CO2 공급제한
6. 채소의 광포화점
-고 : 수박, 토란, 토마토
-저 : 미나리, 머위, 땅두릅
7. 채소의 광합성 특징
- 채소의 엽령과 광합성
- 유엽(젋은 잎) : 광합성 활발
- 노엽(늙은 잎) : 광합성 둔화
_ 오이 : 전개 후 20일 최대, 30일 후 1/4로 하락
-소스 (source)‣ 싱크(sink): 잎‣ 줄기, 저장기관
-엽위별 전류방향 : 상(정아), 중(과실),하(뿌리)
- 전류형태와 방법 : 자당,사부(체관), 전류속도 차이
8. 기상환경의 조절~ 온도환경의 조절
- 호냉성채소(15~20도씨) : 엽,근채류, 딸기. 완두.
- 호온성채소(25~30도씨) : 과채류, 고구마, 옥수수, 토란
- 생육온도 : 최저온도, 최적온도, 최고온도
- 온도구분 : 주간과 야간, 기온과 지온
- 생육기의 조절 ~ 가을배추, 마늘가 양파의 월동
- 소극적인 조절~ 멀칭, 차광, 온상, 핫캡, 터널 등
- 적극적인 조절 ~ 유리온실, 비닐하우스, 냉난방
9. 광환경의 조절
- 광도 : 광포화점과 광적응성 ‣양성채소와 음성채소
- 일장 : 일장효과와 개화반응 ‣ 장일, 단일채소
- 광질 : 청색과 적색광 - 광합성, 자외선, 색소발현
- 적기 선택 : 노지재배 - 자연일장
- 품종 선택 : 양파 - 한계일장 구별(지역별 품종선택에 유의)
- 적지 선태 : 일조량, 일조시간 고려
- 재배기술 : 재식밀도, 정지, 적엽
- 차광재배 : 온도환경 조절도 함께
- 멀칭재배 : 광선차단으로 잡초방제
- 시설재배 : 투광성개선, 반사판, 인공광 도입
10. 이산화탄소시비
- 시비시기 : 생육초기
- 시비시간 : 오전 중에
- 시비농도 : 800-1000ppm
- 시비방법 : 등유, LPG 및 프로판 가스를 연소시키는 방법이 많이 사용되나 가스 장해에 유의해야 하며, 액화 탄산 가스는 안전하고 사용하기 편리하나 단가가 비싼 단점이 있음
- 채소류 이산화탄소 포화점 600-1300ppm
11. 토양의 산성화
- 토양의 모암이 산성임
- 집중호우로 염기 용탈이 심함
- 채소는 염기의 흡수량이 많음
- 산성비료 사용
- 암모니아태 질소를 많이흡수 ‣ 뿌리에서 수소이온 분비
-산성에 약한 채소 (6.8-6.0pH)~ 아스파라거스, 셀러리. 멜론, 피망, 시금치, 배추, 오크라, 양배추, 콜리플라워류, 상추, 양파, 파, 리크 등
- 산성에 다소 강한 채소 (6.0-5.5pH)~ 강낭콩, 호박, 콜라비, 무, 당근, 파슬리, 오이, 토마토, 가지, 고추, 완두, 마늘, 순무, 단옥수수 등
- 산성에 강한 채소 (5.5-5.0pH)~ 치커리, 고구마, 수박, 감자, 토란 등
12. 토양의 염류집적
- 염류집적 ~ 토양의 알카리화
- 집적원인 : 다량 시비, 강우 차단, 표면관수, 흡수 제한
-장해증상 : 전체 생육 억제, 엽의 농녹화, 엽선단 고사
- 발생기작 : 수분흡수장애, 염류 과잉흡수, 길항적 흡수방해 미생물 활동억제, 병충해
- 발생염류집적 대책 : 심경, 객토, 담수, 흡비작물, 피복 제거, 합리적시비, 유기물시용, 내염성 채소
- 토양생물 : 지렁이. 선충. 곤충, 미생물
- 역할과 기능
- 토양의 물리화학적 변화
- 유기물 분해, 이산화탄소 방출
- 무기양분의 가급화와 질소고정
- 비타민, 아미노산, 항생물질, 생장호르몬 생산 ‣ 각종 미생물농약 개발
13. 토양환경관리
- 중경~ 표토의 경화방지, 통기성개선, 수분 증발산억제
- 제초 ~ 기계적제초, 화학적제초, 광차단멀칭
- 배토 ~ 연백, 착색과 도복방지, 분구억제, 제초효과 등
- 멀칭 ~ 플라스틱 필름, 짚, 건조, 낙엽, 왕겨 등으로
- 효과 ~ 지온과 토양수분 조절, 토양 및 비료유실 방지, 잡초 방지, 병충해방지, 토양으로부터 오염방지, 시설내의 공중습도 조절
14. 관수방법
전면관수, 고랑관수, 살수관수, 분수관수, 분무관수, 점적관수
15. 시비관리
- 비료의 종류 : 유기질비료, 무기질비료(화학비료)
- 시비량 결정 : 작물별, 토양별, 작형별 추천시비량
- 시비의 시기 : 기비(밑거름). 추비(덧거름)
- 시비의 방법 : 토양시비, 공중시비, 엽면시비
-관비 = 관수+시비
16. 엽면시비
엽면시비: 잎의 기공과 표피세포 미세통로를 통해 흡수
- 토양시비가 어려운 경우 -멀칭재배 등
- 토양환경이 불량한 경우 - 토양조건 등
- 뿌리기능이 불량한 경우 - 뿌리상해 등
- 결핍증상이 예산 된 경우 - 붕소 결핍 등
- 작물 초세를 회복하고자 - 정지적심 후
- 엽색 회복과 유지가 필요 - 상추 수확 시
- 저장성 향상을 도모하고자 - 딸기 저장 등
17. 엽면시비
- 요소 0.3~2.5%
- 염화석회 0.5~1.0%
- 붕산 0.5~1.0%
- 황산마크네슘 2.0%
- 기공 또는 세포막을 통해 흡수, 필요 시 전착제 이용
- 일몰전후 살포, 24시간 후 80% 흡수
18. 연작장해
- 병원균과 해충이 집적 : 덩굴쪼김병(참외)
- 토양 물리화학성 악화 : 양분 결핍증(배추)
- 뿌리 독소물질의 분비 : 페놀성 물질(완두)
- 토양소독 : 약제소독과 가열소독
- 접목재배 : 박과채소와 가지과채소
- 돌려짓기 : 답전윤환, 참외와 벼의 윤작(예)
6강 채소재배와 작물관리
① 산파: 포장전면에 종자를 흩어 뿌리는 방법이다.
② 조파: 종자를 일정간격의 줄로 뿌리는 방법이다.
③ 점파: 일정한 거리를 정해 놓고 1곳에 1-3개의 종자를 파종하는 방법이다.
④ 순화또는 경화: 뿌리온산에서 자란 약한 모종을 노지환경에 잘 견딜 수 있도록
식물체를 굳히는 일을 순화 또는 경화라고 부른다.
⑤ 정식: 묘상에서 키운 묘를 본밭에 옮겨 심는 것을 정식이라고 한다.
⑥ 정지: 주로 과채류에서 채광성과 통기성을 좋게 하고 착과를 조절하며
수확과 기타 관리를 쉽게 하기 위하여 줄기나 덩굴의 길이와 수를 제한하는 것을 정지라고 한다.
⑦ 유인: 줄기나 덩굴을 비슷한 목적으로 평면적으로나 입체적으로
위치를 유도하는 작업을 유인이라고 한다.
⑧ 적심: 정지법 중 하나로 줄기의 끝을 잘라주는 것이다.
⑨ 적아: 정지법 중 하나로 곁순(측아)을 따주는 것이다.
⑩ 밭을 갈아 흙을 부수고 이랑을 만드는 작업을 경운이라고 하며 밭을 갈 때는 깊이 가는 것,
즉 심경이 대단히 중요하다. 파종기는 노지기온, 출하기, 육묘재배기간 등에 의하여 결정되며,
작물의 종류와 재배방식에 따라 다르다.
⑪종자의 파종방법은 산파, 점파, 조파,의 3가지 방법이 있으며,
종자는 반드시 소독하고 필요에 따라 최아시켜 파종하면 발아가 빠르고 균일해 진다.
파종은 소요주수 보다 다소 많이 파종하고 발아 후 2-3회에 걸쳐 솎아준다.
⑫채소는 직파재배보다는 육묘이식재배를 주로 하고 있다.
육묘의 종류는 노지육묘와 하우스육묘, 온상육묘와 냉상육묘, 상토육묘와 양액육묘로 나뉘며,
특수육묘로 삽목육묘와 접목육묘가 있다.
리고 최근에는 육묘공장에서 공정육묘로 이루어지는 주문식 플러그묘의 이용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⑬육묘용 배지는 무병이고 물리성이 좋고 양분을 골고루 공급할 수 있어야 한다.
일반 묘상에 많이 이용되는 배지는 상토이며, 상토는 관행상토와 속성상토가 있다.
기타 주요재지로는 암면, 훈탄, 버미큐라이트, 피트, 모래 등이 있다.
⑭파종후 발아까지는 발아적온을 유지하고 발아 후에는
바로 환기하여 생육적온을 낮추어 주는 것이 중요하다.
육묘 중에는 정식시의 이식성을 향상시키고,
활착을 도와주기 위하여 가식, 단근, 자리바꿈 등을 실시한다.
⑮ 육묘중의 일반관리로 온도, 광선, 토양수분을 잘 해 주어야 한다,
특히 온도관리와 관련하여 야냉육묘의 이해가 중요하다.
주간에는 적정고온을 유지하여 광합성을 촉진하고 야간에는 저온으로 호흡에 의한 소모를
억제함으로서 도장을 방지하고 건전한 묘를 생산할 수가 있다.
⑯육묘말기에 온상의 온도를 낮추고 관수량을 줄이며 직사광선에 서서히
노출시켜 노지환경에 잘 견딜수 있도록 식물체를 굳히는 것을 묘의 경화하고 한다.
묘는 순화 과정에서 건물량이 증가하고 엽육이 두꺼워지며 조직이 단단해지며
큐치클층이 잘 발달하여 불량환경에 견디는 힘이 강해진다.
⑰정식에 적당한 묘의 크기와 육묘일수는 채소의 종류와 재배방식에 따라 다르다.
적당한 크기의 묘를 정식해야 하며, 저온감응에 의한 화아분화가
염려되는 채소는 육묘 충분한 엽수를 확보해야 한다.
정식은 대체로 노지의 기온과 지온이 어느 정도 확보된
후에 , 과채류는 면상의 위험이 지난 다음에 실시한다.
⑱착과조절, 통기와 채광성 향상, 병해발생 억제, 작업성의 향상 등을 위하여
줄기(적심) 곁순(적아), 잎(적엽)을 자르고 솎아주는 것을 정지라고 한다.
비슷한 목적으로 줄기나 가지를 지주나 끈으로 생장 방향을 이끌어 주는 것을 유인이라고 한다.
⑲착과조절을 위하여 인위적으로 수분을 해주고 착과제를 처리해준다.
인공수분의 방법은 꽃가루를 채집하여 묻혀주거나,
진동기를 이용하여 화방을 흔들어 주거나 매개곤충 (媒(중매매)介(날개)昆(벌레곤)蟲(벌레충) 을 방사한다.
착과제는 합성오옥신 계통의 생장조절제, 생물적방제, 화학적방제가 있다.
육종적 방법은 내병충성 품종을 육성하여 이용하는 것이며,
경종적방법은 윤작, 멀칭, 접목재배, 양액재배 등을 재배에 도입하는 것이다.
그리고 생물적 방제란 미생물이나 천적곤충, 성페로몬 처리에 의한
해충의 활동교란,살선충식물이 재배등을 그 내용으로 하고 있으며,
물리적 방법은 소토, 증기소독, 태양열 소도그 자외선 등 광질의 조절 등을 이용하는 것이고
화학적 방제란 농약을 이용한 방제법을 말한다.
가장 바람직한 병충해 방제 요령은 이들을 모두 이용하는 종합적 방제법이라고 할 수가 있다.
1. 재소재배와 작물관리
2. 종자의 파종
파종기~ 노지재배(기온, 지온이 결정)
시설재배 (출하기가 결정)
파종법
-산파( 단기간 수확: 열무, 얼갈이, 배추)
-조파(일정간격의 줄 파종: 무, 우엉, 파종상 이용시)
-점파(일정한 거리에 1-3개 파종: 콩과, 단옥수수, 배추)
종자소독
-온탕, 냉수침지, 지베렐린 처리, 냉장고 최아처리
(시금치,상추-고온기에 정식 시)
2. 육묘와 정식
육묘의 목적
- 조기수확 가능
- 수확기간 연장(수량 높임)
- 추대방지 가능( 봄배추, 봄무 보온)
- 집약관리 가능(어릴 때 환경관리, 병해충 방지 쉬움)
- 본 밭의 토지이용 증대
- 직파에 비해 발어율 향상 종자절약
- 본 밭에서 적응력 향상(생식생장유도, 접목)
3. 육묘의 종류
-시설육묘~ 시설 내에 묘상을 설치하여 육묘
-노지육묘~ 노지에 간단히 묘판을 만들어 비가림, 차광, 방충 등의 시설로 육묘하는 것
-공정육묘(플러그 육묘)~ 인공적으로 조절되는 환경에서 묘를 계획적으로 생산하는 시스템으로 공장에서 공산품을 제조하는 식으로 균일한 묘를 생산하는 시스템, 플러그트레이+경량상토, 자연의존성 회피가능, 계획생산이 가능. 생산 자동화에 유리
- 삼목육묘~ 어린 식물에 배축을 절단항 삽목한 다음 발근시켜 묘를 생산
- 대목 사용 삽접, 호접, 할접, 편엽합접, 핀접
-핀접은 핀으로 연결하는 것
4. 육묘용 상토
상토(배지, 배양토)의 구비조건
-배수성, 보수성, 통기성
-적정 ph와 균형된 무기양분
- 무병, 무충, 무가스, 무잡초
-저렴한 가격과 구입의 용이성
-토양상토~ 무병토(논흙,산흙)+유기물+화학비료
-공극률(액상+기상): 50%
-경량혼합상토~ 유기물(피트모스, 코코넛 더스트, 팽연왕겨 등)
-무기물(펄라이트. 버미큐라이트(질석), 지오라이트 등)
공극률 (액상+기상); 80%이상
5. 육묘와 정식
육묘상 관리
- 파종직후: 적온, 수분유지,도장방지(오이 도장방지~환기로 온도하강)
-발아 이후
가식: 정식 전 묘를 옯겨 심는것 간격조절,진뿌리발생, 불량묘 도태
-정식시기가 늦어지는 경우
-자리바꿈: 모종을 옆으로 옯겨 자리만 바꿈
-단근: 모종 사이를 잘라 주는 것
6. 일반관리
야냉육묘: 주간에는 높게 야간에는 낮게(호흡억제)
채소 주간기온 야간기온 지온
토마토 24-27 15-17 18-20
가지 25-30 18-20 23-25
피망 25-28 18-20 25-26
오이 25-28 17-20 20-23
수박 25-30 18-20 23-25
멜론 25-30 18-22 23-25
7. 모종의 순화
-순화 ~ 경화
-순화방법~ 관수 줄임, 온도 낮춤, 직사광선에 노출
-순화결과~ 건물량 증가, 엽육 두꺼워짐, 조직이 단단해짐,
큐티클 발달, 뿌리 발달
8. 정식
-뿌리가 상하지 않도록 옮김
-묘상에 심겨진 깊이로 심음
-멀칭으로 지온을 유지해 줌
-소형터널, 핫캡 등을 이용함
9. 정지와 유인
정지법
-적심: 줄기의 끝을 잘라 주는것
-적아: 곁순 제거
채소작물 별 정지법
-토마토: 주지이 선단을 자름, 곁순 제거
-참외: 자만적심
-고추: 방아다리 아래의 곁순 모두 제거
-가지: 주지와 첫꽃 아래의 측지 2개 남기고 제거
10. 유인
※유인법~ 가지나 덩굴을 적절한 방향으로 유인
노지(지주, 그물), 시설(철사, 비닐끈)
11. 병충해 방제법
육종적 방제 ~ 저항성 품종육성
※경종적 방제
-적절한 환경조절과 합리적인 시비
-윤작과 접목재배
-멀칭으로 토양과 작물의 접촉 차단
-조직배양으로 무병종묘 생산과 보급
-재배상 소독, 망사재배, 양액재배, 병해충 침입
※생물적 방제
-BT균제
-해충이 BT균을 먹으면 소화관 내에서 독소 활성화
-배추좀나방, 배추흰나방, 파리, 모기,갑충류
※사상균제
-사상균 포자가 유충의 표면에 붙으면 균사가 유충의 내용물을 흡수하고 균사가 체내에서 증식하여 죽음
-감귤응애, 진딧물, 온실가루이, 선충
※약독 바이러스
-표적 이외의 동물에 나쁜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바이러스
-세계적으로 10종류 이상(예: 담배모자인트 바이러스의 약독바이러스)
※천적
- 칠레이리응애~ 응애류
- 애꽃노린재~ 총채벌레
- 콜레마니진딧벌 ~ 진딧물
- 병원성선충~ 나방유충류
-진디혹파리~ 진딧물
-오이이리응애~ 응애류
-동반작물: 살충 식물
- 메리골드: 살선충식물 - 토양 내 선충 방지
※물리적 방제
- 소리, 빛, 전기, 열,방사선 등 물리적 현상 이용
-소독법, 증기소독법, 태양열소독법,딸기 위황병, 아고병, 토마토,
백견병,토양선충 등
※화학적 방제
-살균제, 살충제, 살선충제
※해충종합관리
- 해충종합관리: IPM
-모든 적절한 기술을 상호 모순되지 않게 사용
-피해가 없을 정도의 낮은 밀도로 해충 억제
-기간적, 보조적 수단
-경제적 피해 허용기준 도달 전 방제
7강
강의 후 문제 원예작물학 1
1강 1. 우엉은 무슨 과에 속하는 채소인가 -2
1장미과 2국화과 3꿀풀과 4가지과
우엉, 참취, 쑥갓, 치커리, 엔디브, 아티초크, 상추, 머위는 국화과에 속한다.
2.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재배되고 이용되는 채소는~ ④
1토마토 2파슬리 3순무 4상추
세계적으로 많이 재배되고 이용되는 채소는 토마토,양파,수박, 양배추이다.
3. 시설내에서 생육의 전 기간을 가온이나 보온을 하면서 재배하는 방식으로
재배의 전 기간이 저온기인 재배 작형은 ~ 촉성재배
1조숙재배 2반촉성재배 3촉성재배 4억제재배
촉성재배는 시설 내에서 생육의 전 기간을 가온이나 보온을 하면서
재배하는 방식으로 수확기가 가장 빠르며 수익성도 그만큼 크다.
재배의 전 기간이 저온기이므로 남부의 온난화 지방이 난방비 절감등에서 경영적으로
유리하며 실제 과채류의 촉성재배는 대부분이 남부해안지대에서 많이 이용하는 작형이다.
2강 4. 수박종자의 저장양분을 저장하는 곳은 ~4
1과피 2종피 3배유 4자엽(떡잎)
배유는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발아후 광합성을 하여 독립영양생활을 할 때까지
이용 되는 양분을 저정하고 있다. 그런데 채소의 종자에는 이 배유가 잘 발달되어
있는 것이 있는가 하면 전혀 발달되지 못한 종자도 있다.
배유가 없는 종자는 배유 대신에 자엽(떡잎)이 잘 발달되어 배유의 기능을 대신하고 있다.
배유의 유무에 따라 채소의 종자를 다음과 같이 분류하기도 한다.
무배유종자~ 십자화과, 박과, 국화과, 두과채소
유배유종자~ 가지과, 백합과, 산형화과, 명아주과
5. 다음중 단명종자에 속하는 채소종자는~ 1
1양파, 파 2무, 배추 3콩, 녹두 4박, 호박
한 종자가 발아력을 보유하고 있는 기간을 그 종자의 수명이라고 한다.
- 단명종자~ 1-2년 양파, 파, 시금치, 옥수수
- 상명종자~ 3-4년 무, 배추, 토마토, 고추, 당근
-장명종자~ 5년이상 콩, 녹두, 오이, 호박, 가지 등
6. 광발아성 종자에 광반응에 조절하는 물질은~4
1저미넌트 2지베렐린 3안토시안 4피토크롬
광선이 발아를 촉진하는 것은 종자에 파이토크롬이라는 색소단백질이 관여하기 때문이다.
이 물질이 적색광의 조사를 받으면 활성화되어 발아를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채소종자는 발아에 있어서 나타내는 광반응을 기준으로 호광성종자와 호암성종자로 분류한다.
그렇지만 광조건과 전혀 무관한 채소 종자도 있다.
- 호광성종자~ 배추, 양배추, 상추, 쑥갓, 우엉, 당근, 쎌러리, 딸기
-호암성종자~ 무, 가지, 토마토, 고추, 수박, 호박, 오이. 참외, 파, 양파.
-광무관종자~ 시금치. 근대, 완두, 강낭콩
3강 7. 괴경류의 비대기관이 올바로 연결된 것은~ ③
1감자-단축경 2토란-포복지 3참마-담근체 4고구마-측지
지하줄기의 일부가 비대항 저장기관으로 변한 것들이 있다.
이들 중 식용으로 이용되는 것에는 감자, 토란, 참마 등이 있다.
감자는 주경의 마디에서 발생한 포복지의 선단이 비대 발육한 괴경이며,
토란은 주경인 지하단축경이 바로 비대하고 여기서 나온 2.3차분지가
단축 비대하여 발달한 구경이며, 참마와 같은 경우는 맹아경의 기부의 마디에서
발생하는 담근체가 비대한 것으로 뿌리와 줄기의 중간적 성질을 가지고 있다하여 담근체라고 부른다.
8. 마늘과 양파의 인경형성을 촉진하는 조건은~ ②
1고온과 단일 2고온과 장일 3저온과 단일 4저온과 장일
인경채류는 가을에 파종하여 월동시킨 다음 이듬해 봄부터 생육시켜
초여름에 수확하는 것이 일반적인 작형이다. 이것은 이들이 일정기간
저온을 반드시 경과한 다음 장일고 고온조건이 주어질 때 정상적으로
인경이 형성되고 비대 되는 생태적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9. 직근류 가운데 비트의 근비대 양식은~ ③
1목부비대형 2사부비대형 3환상비대형 4혼합비대형
목부비대형은 형성층륜의 내부에 위치한 목부가 주로 발달하여 비대근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경우로 무, 순무, 우엉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반면 당근은 목부가 비대한 심부와 사부가 비대 발달한 육질부로 구분되는데
사부가 잘 발달되어 사부비대형이 라고 한다.
목부보다는 사부가 색깔이 짙고 카로틴의 결정이 많이 보인다.
그리고 비트는 환상비대형으로 횡단면을 보면 나이테 모양의 색깔이
다른 여러 개의 동심원을 볼 수가 있다. 이것은 형성층륜이 환상의 유관속군을
만들어 다환상으로 밖을 향해 계속 생겨나면서 비대한 결과이다.
10. 정부우세성의 상관관계를 잘 나타낸 것은~ 3
1지상부와 지하부 2영양기관과 생장기관
3정아와 측아 4상위엽과 하위엽
측아의 신장은 정아의 지배를 받아, 정아가 왕성하게 생장을 하는 경우
그 부근의 측아는 신장이 억제되는데 이러한 현상을 정아우세 라고 부른다.
이러한 정아우세가 강한 식물은 분지가 상대적으로 빈약하다.
정아우세는 정아에서 생성된 옥신이 측아에서 ABA와 같은
생장억제물질의 생성을 유도하는 것으로도 생각되어지고 있다.
11. 식물체의 휴면이 유기되는 체내 조건은? 1
1, ABA가 증가하고 지베렐린은 감소한다.
2ABA는 감소하고 지베렐린은 증가한다.
3ABA와 지베렐린이 다같이 감소한다.
4ABA와 지베렐린이 다같이 증가한다
휴면현산에는 환경적 요인이 관여하는 것이지만 내적으로
여러 가지의 생장호르몬이 상호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가운데에서도 ABA는 휴면을 유기하는 대표적이 물질로 잘 알려져 있다.
즉 체내에 ABA 함량이 높고 여기에 지베렐린, 옥신이 상대적으로 낮을 때 휴면에 돌입하고,
그 반대의 경우에는 휴면이 타파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4강 12. 채소의 광주성에 대해 바르게 설명한 것은?4
1온도와도 밀접한 관련을 맺는다. 2일장자극을 받는 곳은 생장점이다.
3유효한 광선은 자외선과 적외선이다.
④피토크롬(광수용 색소단배질)이 중개한다.
일장은 하루 낮의 길이를 말하며 이 일장이 식물의 생육
특히 개화반응을 조절하는 것을 광주성이라고 한다.
일장의 자극을 받아들이는 기관은 잎이다.
일장반응에 유효한 광선은 적색광과 원적색광이며 일장감응은 피토크롬이라는
광수용 색소단백질이 중개하여 개화에 관여하는 호르몬이 합성된다.
13. 녹식물춘화형에 속하는 채소는~ ②당근과 양파
종자춘화형: 배추, 무, 순무,완두, 잠두
녹색물춘화형 : 양배추, 셀러리, 파, 양파. 당근, 우엉, 꽃양배추, 브로콜리
14. 채소의 추대를 가장 촉진하는 조건은~ ③고온, 장일, 강광
엽근채류는 대개 단축경에 로젯트상을 보이는 근출엽형 식물이다.
화아분화 이후 고온, 장일, 강광조건이 주어지면
줄기와 화경이 길게 신장하며 개화하는 추대가 일아난다.
15. 하루 중 박과채소의 인공수분에 적당한 시기은~ ①아침일찍
채소의 화분은 수명이 짧으며 채소 중에서도 박과채소 같은 것은
특히 고온에서는 단시간에 활력을 잃어버린다,
따라서 이들 인공수분은 가급적 아침 일찍 신선한 화분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암술과 화분의 수정가능기간은 채소에 따라 다르다.
가지과는 암술이 개화 전 2일부터 개화 후 3일까지이고 화분은 개화 후 2일 까지 가능하다.
박과의 경우는 암술은 개화전후 1일, 화분은 개약 후 4-5시간으로 짧다,
딸기는 개화전일부터 개화 후 약8일간, 화분은 개화 후 3-4일 까지는 수정이 가능하다.
5강 16. 채소의 체내에서 이동이 잘 안 되는 무기양분은~ ②칼슘과 붕소
칼슘과 붕소는 특히 증산류에 의해 이동하기 때문에 증산이 왕성한 성숙엽으로 쉽게 이동한다.
그러나 증산이 적은 미전개엽, 과실 또는 생장점으로의 이행은 주로
증산작용이 약한 야간에 근압류에 의해 이루어진다.
토양용액의 염류농도가 높고 흡수가 억제되어
근압이 낮아지면 tip bum과 칼슘의 결핍증상이 나타난다.
17. 채소의 광합성이 가장 활발하게 일어나는 시간은~ ④오전 11시 중
광합성속도는 일출과 함께 급격히 증가하기 시작하여 오전 11시 경 최고에 달한다.
18. 결구배추의 생육단계별 적온을 바르게 나타낸 것은?
②발아기 25도씨 생육전기 20도씨 결구기 15도씨
일반적으로 발아적온은 생육적온보다 높다.배추와 양배추의
생육단계별 적온은 발아기 25-30도씨 생육전반기 20도씨 결구기 15도씨
19. 산성토양을 교정해주는 가장 좋은 방법은?
②석회와 유기물을 사용한다.
토양반응을 조절하는 수단으로 석회시용과 함께 유기물의 시용이 있다.
석회는 보통 소석히, 탄산석회를 사용하는데 산성토양에는
마그네슘의 결핍도 예상되기 때문에 고토석회를 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용~ 시험삼아 사용하여 봄
20. 채소재배에서 멀칭을 해주는 이유는~잡초방지
흑색멀칭이나 짚멀칭은 지온을 조절함과 잡초발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6강 21. 육묘의 목적과 거리가 먼 것은? 1
①노동력을 증가시킨다. ②조기수확이 가능하다.
③수량을 높일 수 있다. ④종자를 절약할 수 있다.
채소재배에 있어서 묘를 가꾸어 이식을 하는 목적은 다음과 같다.
1)조기수확이 가능하고 수확기간을 연장하여 수량을 높힐 수가 있다.
2)봄배추와 무의 경우 집중적인 보온으로 추대를 방지할 수가 있다.
3)묘상의 집약관리가 가능하여 어릴 때의 환경관리, 병충해방지가 쉽다.
4)본밭의 토지이용율을 높혀 단위면적당 수량 및 수익을 증가시킨다.
5)직파에 비하여 발아율을 향상시켜 종자를 크게 절약 할 수가 있다.
22. 모종의 순화방법으로 잘못된 것은?
①시비량을 늘린다. ②직사광을 쬐인다. ③관수량을 줄인다.④기온을 낮춘다.
모종을 순화하는 방법은 관수량을 줄이고, 상온을 낮추며, 서서히
직사광선을 쪼임으로서 이루어진다.
이렇게 모종은 건물량이 증가하고 엽육이 두꺼워지며,
조직이 단단해지고 큐티클이 잘 발달한다.
23. 토마토 재배에서 진동기의 사용목적은 ?
①착색촉진, ②인공수분, ③단위결과, ④해충방제
다만 시설재배에서는 바람이 없고 저온, 다습으로
수분과 수정이 잘 안되기 때문에 인공수분이 필요하다.
토마토는 약이 터져 화분이 나오는 것으로 확인하고 진동기를 이용하여 화방을 흔들어 준다.
24. 오이에서 수꽃발생의 촉진제로 이용되는 것은?
①지베렐린, ②옥신, ③에세폰, ④아브시스산
수정과 결실이 이루어지지 않아도 과실이 정상적으로 맺히는 현상을 단위결과라고 한다.
오이가 그 대표적인 예로 오이는 시설재배에서도 인공수분이 전혀 필요가 없다.
호박의 일부 품종에서도 늦게 피는 암꽃은 강한 단위결과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품종은 수꽃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 채종재배에서는 질산은이나
지베렐린을 처리하여 수꽃의 발생을 도모하기도 한다.
25. 다음중 생물적 방제에 해당하는 것은?
1)저항성 품종을 선택하였다.2)약독바이러스를 접종하였다.
3)반사필름으로 멀칭을 하였다. 4) 저독성 농약을 이용하였다.
미생물, 천적곤충,천적선충을 이용하여 병해충을 방지하는 기술을 생물적 방제라고 한다.
7강 26. 생리적으로 성숙해야만 이용이 가능한 채소는?
①호박 ②오이 ③풋고추 ④참외
1.원예적 성숙이에 수확하는 과채류: 오이, 호박, 가지, 풋고추, 피망
(생리적으로 미숙과이나 적당한 출하규격에 이르면 수확)
2. 생리적 성숙기에 수확: 붉은고추,토마토, 수박, 참외, 딸기
3.생리학적인 의미로 볼 때 성숙이란 형태적으로 고유의 의미를 갖추고
최대크기에 달한 한편 내부적으로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의 질적인 변화를 수반한다.
4.저장 탄수화물의 당화로 단맛이 증가한다.
5.유기산이 감소하여 신맛이 감소하나.
6.엽록소가 감소하고 여러 가지의 색소가 발현된다.
7.세포벽이 펙틴질이 분해하여 조직이 연화된다.
8.여러가지의 향기가 발산이 된다.
9.호흡이 일시적으로 상승하기도 한다.
10,에틸렌의 급격한 상승이 일어난다.
27. 클라이맥트릭형 과실의 특징을 나타낸 것은?
①성숙과정에 호흡이 갑자기 상승한다
②미숙성 상태에서 수확항 이용한다.
③녹색과실이 갑자기 적색으로 변한다.
④성숙과정에서 호흡이 점차 감소한다.
과수를 포함항 많은 과실이 추숙 또는 수확 전 성숙과정에서 급격한 호흡의 증가가 있는데
이러한 호흡형을 클라이맥트릭 이라고 부른다.
이에 대하여 성숙 시 호흡량이 점차 감소하는 호흡형을 비클라이맥트릭 이라고 한다.
채소에서는 토마토와 멜론이 대표적인 클라이멕트릭형이다.
토마토는 호흡상승이 시작되면서 과색이 빨갛게 물들기 시작하여
호흡량이 정점에 이를 무렵 과면이 전부 착색이 되고 그 후 완숙에 이르게 된다.
28. 과채류에서 나타나는 피팅현상이 발생원인은?
①고온장해 ②저온장해 ③가스장해 ④과습장해
피팅현상: 가지,호박,오이, 고추 등 열대 또는 아열대산 채소를 빙점
이상의 저온에 두었을 때 나타나는 저온장해로 과표면이 함몰되는 것
29. 감자에 적용할 수 있는 저장 전 처리는?
①예냉 ②예건 ③큐어링 ④예습
수확 시 생긴 상처를 치유해 주어 수분손실과 병원균의 침입을 막아
중량감소와 저장 중 부채를 방지해 주는 것을 말한다.
큐어링은 단시간에 이루어지도록 해야 하는데
고구마의 경우는 온도 30도씨 상대습도 85%로 4일간 처리하고
감자는 10-15도씨 상대습도는 85-95%로 1주일 처리하면 충분하다.
30. CA저장 시 저장고의 공기환경은?
①산소농도는 높이고 탄산가스농도는 낮춘다.
②산소농도는 낮추고 탄산가스농도는 높인다.
③산소와 탄산가스농도를 다같이 높여준다.
④산소와 탄산가스 농도를 다같이 낮춰준다.
CA저장은 저장고내의 공기성분 가운데 산소와 탄산가스를
인위적으로 조절하여 저장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산소는 2-3%로 낮추고 탄산가스는 3-5%로 높여서 저장물의 호흡을 억제시킨다.
8강 31. 1대잡종 종자의 장점과 거리가 먼 것은?
①균일성 ②다양성 ③내병성 ④ 다수성
1대 잡종에서는 유전적분리가 일어나지 않으며
잡종강세 및 우성형질( 내병성등)이 발현된다.
32. 세포질적 웅성불임에서 웅성불임인 모본과 웅성가임인 화분친이 교배로 생길 수 있는 F1의 표현형은?
①웅성불임 ②웅성가임③웅성불임:웅성가임=1:1 ④웅성불임:웅성가임=3:1
33. 최근 국내 종자회사의 종자생산에 대한 설명과 거리가 먼 것은?
①원원종과 원종은 종묘회사가 직접 생산한다.
②시판종자는 농가와의 계약재배에 의해 생산된다.
③종자의 순도관리를 위해 주로 국내생산을 원칙으로 한다.
④배추의 종자생산에 자가불화합성이 이용된다.
국내 종자회사의 종자생산은 해외채종에 의존도가 높다.
9강 34. 다음 중 전파경로가 올바르게 연결된 것은?
①고추:남미-스페인-한국 ②토마토:인도-유럽-한국
③가지:중국-한국-유럽 ④감자:남미-인도-아일랜드
고추의 원산지는 남미지방이고 콜럼부스에 의해 스페인에 소개되고
유럽을 거쳐 중국, 일본에 전파되었다.
우리나라는 임진왜란 전후 전래된 것으로 추정된다.
토마토의 원산지는 남미 고원지대로 16세기 이탈리아에 전파
그 뒤로 유럽으로 확산되어 18세기에 미국으로 전래되었으며
동양에는 17세기에 의해 전래되고 우리나라에 전래되었다.
가지의 원산지는 인도로 추정되면 5세기에는 아라비아지방에 전파 16세기에 유럽으로
전파 우리나라는 신라시댕 가지를 재배한 기록 있다.
감자의 원산지는 남미 중부 고원지대로 콜럼부스에 의해 스페인에 전파되고
그 후 유럽과 미국으로 전파되고 우리나라는 19세기에 도입되었다.
35. 고추에서 매운 맛을 나타내는 성분의 이름은?
①캡산틴 ②캡사이신 ③나수닌 ④델피니딘
매운 맛을 내는 주성분은 캡사이신 이고 붉은 색소는 카로티노이드계의 캡산틴이다.
캡사이신은 과실의 태좌와 격벽에 생산되며
개화 2주일 후부터 생성되기 시작하여 3주후에 최고에 달한다.
36. 토마토에서 식물체를 흔들어 주는 이유는?
①열매를 솎아주기 위해 ②광합성을 촉진하기 위해
③수분을 도와주기 위해 ④과실당도를 높이기 위해
저온기 시설에서는 단화주화가 많이 생기고 수정불량(화분발아불량)으로 기형과 발생이 많다.
따라서 진동기를 흔들어 주거나 벌을 방사하여
수분을 촉진시키고 착과제로 토마토톤과 지베렐린을 처리해 준다.
37. 씨감자를 심은 후 출아기, 개엽기, 괴경형성기,괴경비대기,괴경완성기를 거치는데
괴경형성기에 괴경형성 촉진되는 환경조건은?
①장일과 고온조건 ②장일과 저온조건 ③단일과 저온조건④단일과 고온조건
괴경형성은 단일고 저온조건(주간 20도씨, 야간12도씨)에서 촉진된다.
10강 38. 수박의 원산지는?
①남아프리카②남아메리카 ③중앙아시아④지중해연안
원산지는 남아프리카비방으로 이 지역에 가면 많은 야생종의 군락을 발견할 수 있다.
39. 수박재배에서 콜히친의 사용목적은?
①염색채의 배수화 ②수분과 수정방해 ③중복수정의 억제④착화와 착과촉진
3배체의 씨 없는 수박 콜히친처리로 염색채를 배수화시켜 만든다.
보통수박을 파종하고 자엽이 전개될 무렵 콜히친 0.5% 액을
점적처리하여 2n=4x=44의 4배체 수박을 만든다.
4배체 수박에 이배체(2n=2x=22)를 화분친으로 하여
교배하면 3배체 )2n=3x=33의 수박을 얻을 수 있다
이 3배체 수박종자를 파종하여 얻은 과실은 종자가 맺히지 않는다.
40, 다음 중 멜론의 학명은?
①Cirullus vulgaris ②Cucmis melo var. makuwa
③Cucmis melo var. reticulatus ④Cucmis sativus
Cucmis melo는 지역의 기후풍토에 적응하여 동양계 참외(var. makuwa mak)와
서양계 멜론(var. reticulatus) 의 2가지생태형으로 발전하였다.
41. 호박의 원산지는 어디인가?
①아프리카 ②아메리카 ③중앙아시아 ④지중해연안
원산지는 동서양계 호박은 중남미 페포계 호박은 북미지방이다.
우리나라에 호박이 처음 소개된 시기는 1605년(선조38년)이며,
그 때 재배된 호박은 동양계였고 페포계는 1950년 이후에 도입되었다.
42. Cucurbita속 호박 중 주키니 호박은 어디에 속하는가?
①C. moschata②C. maxima ③C. pepo ④C. mixta
호박은 동양계, 서양계, 페포계, 믹스타계, 흑종계로 분류한다.
각 학명은 동양계 호박은 C. moschata Duch, 서양계호박은 C. maxima Duch,
페포계 호박은 C. pepo 믹스타계호박은 C. mixta pang 흑종계 호박은 C. ficifolia Bouche 이다
43. 다음 중 대목용으로 이용되는 호박은?
①C. moschata ②C. maxima ③C. mixta④C. ficifolia
흑종계 호박(C. ficifolia Bouche)은 덩굴성 다년생으로 흑색이며 대목용으로 이용
11강 44. 다음 중 배추의 특징이라고 불 수 있는 것은?
①염색체수는 2n=18개 ②자가불화합성이 강하다
③녹식물춘화형에 속한다 ④저온단일에서 추대가 된다.
45. 양배추류의 변종명을 바르게 연결된 것은?
1var. capitata - 브로콜리
2var. botrytis – 방울다다기 양배추
3var. acephala - 케일
4var. gemmifera – 콜리플라워
-Brassica oleracea L. var. capitata (양배추)
- Brassica olerelacea L. var. botrytis (꽃양배추)
- Brassica oleracea L. var. italica (브로콜리)
- Brassica oleracea L. var. acephala (케일)
- Brassica oleracea var. gemmifera (방울다다기양배추)
46.양배추류의 변종 중 줄기의 액아를 식용하는 것은?
1Brassica oleracea var. gemmifera
2Brassica olerelacea L. var. botrytis
3Brassica oleracea L. var. italica
4Brassica oleracea L. var. acephala
방울다다기양배추 (Brassica oleracea var. gemmifera) 직립하는
줄기의 액아에 형성되는 2-3cm 직경의 작은 결구엽을 식용한다.
47.봄무를 육묘이식 재배하는 가장 큰 이유는?
1바람들이를 방지하기 위해
2조기추대를 방지하기 위해
3화아분화를 촉진하기 위해
4바이라스를 막아주기 위해
직파재배를 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시설 봄무는 저온감응에
의한 추대를 방지해 주기 위해 육묘이식재배를 한다.
12강 48.파속 식물의 인경비대를 촉진하는 환경조건은?
1고온과 단일
2고온과 장일
3저온과 단일
4저온과 장일
고온과 장일 조건에서 인경이 비대한다.
49. 주로 종자로 번식하는 파속 식물은?
1마늘
2양파
3염교
4아스파라거스
자연상태에서 마늘, 쪽파, 염교는 종자가 맺히지 않아 영양번식을 주로 한다.
양파와 파는 종자번식을 한다.
50. 파속 식물의 특징이라고 볼 수 있는 것은?
1고온성 작물이다.
2황화합물을 함유한다.
3겨울에 휴면한다.
4단일조건에서 추대한다.
파속 식물은 유황을 함유하는 유기화합물을 함유하고 있어 독특한 기능성을 갖고 있다.
호냉성 작물로서 월동이 가능하고 저온에 일정기간 조우한
다음에 고온과 장일 조건에서 인경이 비대한다.
내서성이 약해 한 여름에는 휴면을 한다.
마늘, 쪽파, 염교는 영양번식을 하고 양파, 파, 달래는 종자번식을 한다.
일반적으로 화아분화 후 온난 장일조건에서 추대한다.
51.부추의 식물학적 특징을 잘못 설명한 것은?
1종자가 형성되지 않아 분주로 번식한다.
2대부분 무수정생식으로 종자를 형성한다.
3숙근성 다년생 초본으로 4배체 식물이다.
4장일조건에 추대하고 단일조건에 휴면한다.
다년생 숙근성 초본으로 염색체수는 2n=4x=32개의 4배체 식물이다.
종자는 90% 이상이 우발적 무수정생식(apomixis)으로 형성된다.
호냉성채소로 내한성은 물론 내서성도 강하다.
약광에 대한 적응력이 강하고 강광에서는 품질이 떨어진다.
고온과 장일조건에 추대하고 저온과 단일조건에서 휴면한다
52.아스파라거스에 대해 잘못 설명한 것은?
1웅주(수그루)가 수량성이 높고 굵고 균일하다.
2녹색아스파라거스가 영양가가 좋다.
3잎처럼 보이는 줄기를 엽상지라고한다.
4종자가 형성되지 않아 영양번식한다.
아스파라거스는 하얗게 연백시킨 것 보다 녹색 아스파라거스가 영양가치가 높다.
잎처럼 보이는 기관은 실제 줄기로 엽상지(葉狀枝) 또는 위엽(僞葉)이라고 부른다.
웅주(수그루)가 수량성이 높은데다 굵고 균일하여 선호되고 있다.
번식은 분주와 종자로 하는데 대개는 종자번식을 한다.
13강 53. 상추의 유액에 들어있는 쓴맛 성분은?
1쿠쿠르비타신 2엘라테린 3라텍스 4락투신
유액은 식물의 유세포 또는 유관에 있는 백색
또는 황갈색의 액으로 고온기에 많이 생성되어 쓴맛을 낸다.
쓴맛 성분은 테르펜 계통의 2차산물인 세스퀴테르펜 락톤(sesquiterpene lactones)이라는 화합물이며,
이들은 락투신(lactucin(C15H16O5)), 디옥시락투신(S-deoxylactucin(C15H16O4)),
락투코피크린(lactucopicrin (C23H22O7))을 주성분으로 하고 있다.
54.상추의 특성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
1자가수정을 한다. 2호온성 식물이다. 3광포화점이 높다. 4암발아성이다.
상추 꽃은 두상의 집합화로 자가수정한다. 종자는 수과로 분류된다.
호냉성으로 내서성이 약하다. 고온기에는 발아와 생육이 억제되고,
추대하면서 쓴맛이 늘고 결구상추는 결구가 되지 않는다.
광포화점은 25klx로 약광에서도 잘 견딘다.
종자는 광발아성으로 광조건에서 발아가 촉진된다.
화아분화와 추대에는 온도와 일장이 관여한다.
대개 고온에 감응하여 화아가 분화되고, 그 후 장일조건에서 추대가 촉진된다.
55. 다음 중 뿌리를 볶아 커피대용으로 이용하는 채소는?
1상추 2쑥갓 3치커리 4아티쵸크
치커리 뿌리는 뿌리를 볶아 커피대용으로 이용되고 있다.
56. 다음 중 주 이용부위가 바르게 연결된 것은?
1우엉 - 꽃봉오리 2치커리 - 비대한 줄기
3머위 - 줄기와 잎 4아티쵸크 - 화경과 꽃봉오리
아티초크 채소의 주로 이용하는 부위는 성숙한 꽃봉오리의 비대한 화탁과 총포편(bracts)이다.
57. 다음 치커리 종류 중 뿌리를 최아시켜 새싹을 이용하는 치콘은?
1위트루프 치커리(witloof chicory 2슈가로프치커리(sugarloaf chicory)
3라디치오(radicchio) 4트레비소(treviso chicory)
치콘은 위트루프 치커리(witloof chicory), 벨지움 엔디브(Belgium Endive) 등으로 알려져있다.
14강 58. 미나리과 채소의 공통된 특성인 것은?
1독특한 향기를 발산한다. 2물에서 자라는 식물이다.
3잎만 식용으로 이용한다. 4주로 영양번식을 한다.
미나리과 채소는 독특한 향기를 낸다. 꽃은 산형화서이기
때문에 전에는 산형화과라고 부르기도 했다.
당근은 뿌리를 이용하고, 미나리, 셀러리, 파슬리, 고수, 파스닙, 파드덕나물은
잎과 엽병을 이용하며, 딜은 잎과 종자를 향신료로 사용한다.
미나리만 영양번식을 하며 당근, 파슬리, 셀러리, 고수는 종자번식을 한다.
59. 당근의 가장 중요한 식품적 가치는? 1
1카로틴의 함량이 높다. 2 이눌린의 함량이 높다.
3휘발성 정유성분이 많다. 4식용색소가 풍부하다.
황색 색소는 카로틴, 적색은 리코핀이다.
카로틴은 비타민 A의 전구물질이며, 리코핀은 항산화제로 작용한다.
당질이 무보다 많아 달고, 무기질 함량이 높아 알카리성 식품으로 중요하다.
60. 다음 중 미나리에 함유된 주요 휘발성 정유성분이 아닌 것은?4
1이소람네틴 2페르시카린 3알파피넨 4아피올
각종 비타민과 플라본(flavone), 이소람네틴(iso-rhamnetin), 페르시카린(persicarin),
알파피넨(-pinene), 미르센(myrcene) 등과 같은 휘발성 정유성분이 들어 있다.
이들 성분은 입맛을 돋우어 줄 뿐만 아니라
정신을 맑게해주고 피를 깨끗하게 하는 효능을 갖고 있다.
특히 페르시카린은 간을 보호하는 작용이 있고 이소람네틴과 함께
돌연변이를 저해하고 인슐린의 분비를 촉진한다.
파슬리의 독득한 향기는 휘발성 정유성분인 아피올(apiol, C12H14O4) 때문이다.
61. 독미나리에 함유된 독성물질은? 4
1이소람네틴 2페르시카린 3미르센 4치쿠톡신
미나리과에 속하지 않으면서 개미나리, 독미나리 등
미나리라는 이름이 들어가는 식물들이 많다.
이 가운데 독미나리(Cicuta virosa L.)에는 ‘치쿠톡신’이라는 독성물질이 있어
먹으면 구토, 경련, 현기증을 일으킨다.
62. 다음 중 축엽종과 평엽종으로 구분하여 재배되는 채소는?3
1셀러리 2파슬리 3고수 4미나리
파슬리는 축엽종과 평엽종으로 구분하고, 잎파슬리와 뿌리파슬리로 분류하기도 한다.
미국에서는 축엽종을, 유럽에서는 평엽종을 많이 재배한다.
우리나라에서 재배하는 것은 축엽종에 잎파슬리이다.
축엽종 중에서도 내서성, 내한성, 내병성이 강하고, 경엽의 신장이 좋으며
잎이 농녹색인 것이 인기가 있다.
15강 63. 다음 중 딸기에 함유되어 있는 안토시안계의 적색 색소는?1
1 프라가린 2 베타인 3 베타시아닌 4 페릴라알데히드
프라가린(fragarin)은 안토시안계의 적색 색소로
장미과에 속하는 과실(딸기)에 함유되어 있다
64. 딸기의 화아분화에 관여하는 요인은? 2번
1~1차 : 저온 2차 : 장일 2~1차 : 저온 2차 : 단일
3~1차 : 고온 2차 : 장일 4~1차 : 고온 2차 : 단일
딸기의 화아분화에 관여요인은 1차는 온도(저온)이고 2차는
일장(단일)과 체내 질소수준(저질소)이다.
65. 딸기를 야냉단일 처리하는 주된 이유는?2
1무병종묘생산 2화아분화촉진 3 기형과실방지 4과실당도향상
화아분화를 촉진하는 방법으로 고랭지육묘, 야냉단일처리,
차광, 묘냉장, 단근, 적엽, 시비와 관수조절 등이 있다.
사철딸기(여름딸기)는 고온과 장일조건에서도 화아분화가 일어난다.
66. 다음 중 명아주과 채소의 공통된 특징은? 2
1원산지는 중국이다. 2종자는 수과이다.
3식용부위는 잎이다. 4자웅이주 식물이다.
- 시금치 : 중앙아시아 또는 코카사스 원산, 수과(과실적) 종자, 줄기, 잎 식용, 자웅이주
- 근대 : 시칠리섬 원산으로 추정, 가과(假果)(과실적) 종자, 줄기, 잎 식용
- 비트 : 지중해지역 원산으로 추정, 수과(과실적) 종자, 줄기, 잎, 뿌리(주로) 식용
~ 출처 방통대농학과 원예작물학1 요점정리 강의 내용이다.
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