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수경(千手經)’은 어떤 경전인가
《천수경(千手經)》의 원래의 이름은 《천수천안관자재보살광대원만무애대비심대다라니경》으로 간단히 《천수다라니경》이라고도 한다. 우리말로 풀어보면 ‘한량없는 손과 눈을 가지신 관자재보살의 넓고 크며 걸림이 없는 대자비심을 간직한 큰 다라니에 관해 설법한 말씀’이라는 뜻이다.
여기에서 관자재보살이란 관세음보살의 다른 이름으로서, 천수천안 관자재보살은 천 개의 손과 천 개의 눈을 갖고 중생들의 어려운 속사정을 낱낱이 파악하여 적절하게 도와주는 보살이다.
그리고 다라니는 진언 또는 주문이라는 뜻으로, 경전의 내용은 이것을 외우는 공덕이 넓고 크며 모난 곳이 없이 너그러우며 걸림이 없고 자비로운 마음을 가질 수 있게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천수경》은 밀교적 성격이 강한 경전으로 오늘날 일반 신자들에게 가장 많이 독송되는 경전 중의 하나이다.
《천수경》은 관자재보살이 모든 중생을 안락케 하고 병을 없애 주고, 장수와 풍요를 얻게 하고 일체 악업 중죄와 모든 장애를 여의며, 일체 청정한 법과 모든 공덕을 증장시키고 일체 모든 일을 성취시키며, 모든 두려움을 멀리하고 구하는 바를 만족시키고자 설법한 것이라고 한다.
이 법문은 널리 일체 중생을 이롭게 하고 천인(天人)·아수라(阿修羅)를 안락하게 하고자 설하며, 과거·현재·미래의 모든 부처가 이 법문으로 인해 정등정각을 얻는다고 한다. 그러므로 《천수경》을 염송함으로 인해 관세음보살의 가피력으로 크게 깨닫거나 소원을 성취한 사람이 많았다고 전해진다.
부처님의 가르침을 많이 아는 것보다 하나를 알아도 그것을 바르게 실천하여 우리 생활에 유익하게 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다. 그래서 《천수다라니경》은 경전에 대한 믿음을 도와주며 일념으로 정진할 수 있도록 설해진 것이다.
<참고: ‘알기쉬운 불교’>
[출처] ‘천수경(千手經)’은 어떤 경전인가|작성자 일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