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적응증 :
1) 식도 정맥류 파열로 확인된 지속적 출혈이 있을때
2) 제어할 수 없는 상부소화관 대량 출혈로 식도 정맥류 파열이 의심될 때
2. 체위 : 앉히거나, 쇼크상태일때는 눕힌채 머리쪽을 높인다.
3. 준비물 : Sterile Sengstaken-Blakemore tube, 50ml syringe, water soluble 윤활제, 접착테입, Gloves
(견인시 : Pressure gauge, weight for traction-보통 수액 bottle사용)
Drainage bag, 곡반, 휴지, 청진기, 가위
4. Sengstaken blakemore tube 구성
-위장 흡인용
-위풍선
-식도 풍선
5. 방법
1) 비위관과 블랙모아관에 마크를 단다.-NG 튜브 끝부분이 SB튜브의 식도용 풍선 바로 위에 있도록 양쪽을 맞춰서 마크를 단다.

2) 위장용이나 식도용 풍선의 상태를 정검.
3) SB 튜브에 윤활제를 바르고 양쪽 공기를 뺀다
4) SB 튜브 삽입 - 넓은 콧구멍을 통해서 삽입
- 튜브가 너무 크면 입으로 삽입
- 코속 날개를 피해서 코바닥으로 SB튜브를 밀어 넣음.
- 튜브가 코 속안에 닿으면 환자에게 물을 마시게 하여 튜브가 식도속안으로 들어가게 한다.

5) 위장용 풍선의 위치가 위속에 있는 지 확인.
- 성인에게는 50cm표지가 넘도록 튜브 삽입
- SB 튜브 위장 흡인용 관을 통해 공기 삽입
- 튜브 앞끝의 위치확인위해 위가 있는 곳에 청진기로 거품 끊는 소리 들어본다.
- 위장용 풍선이 식도안에서 펴지는것을 방지 위해 가능하면 X-ray 확인.
6)위장용 풍선을 부풀린다.
-200~250
ml 공기 주입
- 위장용 풍선 튜브를 겸자로 두번 잡는다.
- 풍선이 위장 식도 접합부에 닿도록 튜브를 되물린다.
7) 튜브가 코에서 나온 자리에서 튜브를 거품 고무속안에 끼워 넣는다.
8) 튜브를 가볍게 당기면서 튜브를 반창고로 고정.
9) 위장 흡인 시작 : 위속의 응혈덩어리가 남아 있지 않도록 가끔씩 세척
10) 비위관을 식도에 삽입하여 흡인 - 앞서 표시해둔 길이 만큼 코속으로 삽입
11) 식도용 풍선을 부풀린다.
-Y자 연결관을 식도용 풍선 연결구에 연결
-Y자 연결관의한쪽에 주사기를. 다른 한쪽에 압력계를 연결하여, 식도용 풍선을 30mmhg압력만큼 부풀린다.
-지혈 목적시 45mmHg 까지 부풀린다.
- 식도용 풍선의 입구 튜브를 두개의겸자로 2중 잡는다.
-매시간 압력을 체크한다.
12) 식도용 풍선이 인두 아래로 끌려 올라오면 숨기링 막힐 수 있으므로 응급처치로 SB 투브 절단하여 모든 풍선을 꺼뜨리고 튜브를 빼버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