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정집(月汀集) 윤근수(尹根壽)생년1537년(중종 32)몰년1616년(광해군 8)자자고(子固)호월정(月汀)본관해평(海平)봉호해평부원군(海平府院君)시호문정(文貞)특기사항이황(李滉)의 문인
月汀先生別集卷之四 / 漫錄
南冥以河宗嶽妻失行事。與龜巖論議不同。至於絶交。蘇齋聞之曰。南冥平生不愛官職。高蹈物外。一婦人失行。有何所關。而乃與朋友絶交。此不可曉。南冥 門人柳宗智。以蘇齋之言告南冥。南冥曰蘇齋只聽傳聞之言。不深知我之本情。故有是言云。
蘇齋以爲返虞雖古禮。我國廬墓一節。自是好風俗。返虞則居家。與妻子混處。忘哀之時多。喪紀毁敗。大不可也。嘗侍經席。力陳居喪返虞之非。
昔年余承敬差之命。奉使嶺南。題僧軸云。鄕心迢遞白雲端。南國秋風道路難。馬上逢僧還一笑。滿山蒼翠要人看。南冥甚賞之云。又有贈山人一絶。三峰不見已三年。逢着山僧一悵然。獨鶴孤雲無限意。硯池何日弄潺湲。硯一作影
.......................
南冥先生集卷之四 / 補遺 / 挽章[尹根壽]
殄悴驚連歲。天心莽未窮。山頹人孰仰。學絶道誰東。汾水餘寒月。雙溪響晩風。摳衣平昔願。今日竟成空。
南冥先生集卷之二 / [書] / 與子強子精書 子精。鄭琢字。
前月。獲承子强修復。想邇來仕履平康。未認子精起居何如。且作何官耶。只增黯懷。僕則荷賜不死。來月初一日。發還故棲。但晉山有淫婦獄大起。發之者在中道。而發時指我爲㨿者。爲淫婦之夫河宗岳。其先妻乃吾亡兄之女也。門戶相連。而擧我爲辭。新監司之來。已放出矣。罪人三四軰囚係。死而復生。其爲怨毒。宜無所不至。潛懷兇計。必欲射殺云。非但丙丁而已。一日禍起。將及合族遇害。安知天作之禍。遽發於人事之外乎。之海則一家喪哭。之山則一室抱憫。身濱於死。雖欲自反而無地。唯自待天而已。十年之前。曾對剛而。李楨字 憤說淫婦之事曰。公爲一室之人。何不縛取行媒婢子。投之於江乎。剛而默然不肯答破。僕心甚不滿。及後聞之。則已受河宗岳漢江邊畓地及畓守奴數口於淫婦。今之事發也。極力伸救於監司及推官曰。此事曾聞於南冥。南冥乃聽之誤也。一家之事。吾自親見。孰與耳聞者乎。吾雖不能討賊。豈黨惡者乎。其言如此。故罪人全指我釋憾。是剛而置我於族滅之地也。其通書於我也曰。人言騰播已久。必先殺其婢與其夫。將此意已通于監司推官云。其實不然。崔見叔 崔應龍字。時爲晉牧。 訪我。問之則全無是言云。極力伸觧之。朴監司將欲盡放。而在中道改牒曰。有識者之言。亦未出於正。更推十年前婢子。剛而於是。知不能掩蓋。忽致書於我曰。燈下不明。知之太晩。無面目進見於左右。又首其不明之罪於朴監司。追及京中。又謝於推官曰。吾初爲人所瞞。公等爲我所瞞云。猶且委馳人於礪城尉。極陳其曖昧。都尉與吉元。情分自童穉深篤。到界卽欲放去。剛而復相對終日。無所不救。用是卽解放。剛而於此。三次反覆。初曰昧昧。中曰果然。終曰虛事。此果談聖賢書。嘗說敬義者事乎。曾諂彦久 尹椿年字 後事公擧。李樑字 更陷友人於禍中。受賂於淫婦。背棄亡友。義所當絶也。吾已謝絶。僉意如何。患難吉慶。朋友在所相知者。敢及之。曾聞士論方明。而公道黯黯。乃至此極。尙可以仕乎。
尹子固去秋訪我。言及此事。聊陳之。公等雖欲舒禍。已無下手地矣。奈何奈何。十月二十七日。先生嘗作李父碑銘。集中削去。
草溪李黃江。喪室未再娶。有一娼女治棲。旣再娶而逐之。黃江沒。繼室李氏孀居。猶妬娼女。使不得踵門。久後。李氏有閨門不謹之說。人或疑娼女與不逞人構捏也。
隆慶戊辰年間。朴公啓賢爲監司。
訪李楨於泗川。李密言黃江門中事。使捕繫窮治。朴欲發之。以近邑守令無堪任者爲病。時婦翁梁喜知金海府事。朴到府密囑。仍定草溪一路捕盗差使員。婦翁初不知此事顚末。禀請于監司曰。此事甚重大。恐不可容易。女壻鄭仁弘。頗知此間事。當與啇量處之云云。朴許之。婦翁經到咸陽本業。走趕足速我。馳赴之。具言此事。仍曰。深恐失捕。聞全君致遠義士也。幸密與之謀也。余告曰。此事非外人所能知。南冥先生與李黃江。非徒有世分。事同一家。乃平生道義之交也。必禀白然後無後悔也。曰。然。須爲我速行。余自咸陽。直入頭流。具以告先生。先生憤然曰。剛而其一門中。有綱常大故。一向掩蓋。乃欲發人家黯昧事。禍愚翁 黃江之字 一家乎。仍言進士河宗岳後妻淫行昭著之狀曰。河之孽妹。乃李楨之妾也。監司之欲發愚翁家不明之獄者。特以未知河家已著之事故也。愚翁家事。決不可輕擧也。仁弘歸。具以告婦翁。婦翁追到監司所在。一以吾言告之。監司果捕河宗岳一家侍側婢及奴元石等。河婦從兄弟在要路。有權勢。李附之爲唇齒。卒解其事。不獨終不問其罪。時軰至欲推問先生。先生書中發自中道者。蓋有所指也。先生嘗與李及士子若干人。會于斷俗寺。李問士族婦人有淫行。士子可以發其事治其罪乎。先生答曰。士族婦人失行。自有有司可治。士子治己不暇。治婦人淫行。干己何事而敢爲之。初非先生有意於發河婦事也。特欲解黃江家事。因以語及之耳。知其事而發之者。監司也。人皆言李楨之遽發李黃江家事者。其意蓋欲窮問言根所出。恐動人耳目。以爲河家淫婦地也。朴監司之先發河婦之事。乃渠之意外而實自致也云。故擧其首尾梗㮣焉。仁弘。誌。
......................
월정만필(月汀漫筆)
윤근수(尹根壽) 저
昔年余承敬差官之命。奉使嶺南。題僧軸云。鄕心迢遞白雲端 南國秋風道路難。馬上逢僧還一笑。滿山蒼翠要人看。南溟甚賞之云。
○ 옛날에 내가 경차관(敬差官)으로 영남(嶺南)에 내려갔을 때다. 중에게 준 시축에,
고향생각 아득해 흰구름 바라보니 / 鄕心迢遞白雲端
남국의 가을 바람 나그네길 어렵구나 / 南國秋風道路難
말 위에서 중 만나 도리어 한 번 웃으니 / 馬上逢僧還一笑
산에 가득한 푸른 숲은 날 좀 보소 하는구나 / 滿山蒼翠要人看
하였더니, 남명(南溟)은 이를 매우 칭찬하였다 한다,
退溪未釋褐時往還京路。嘗歷驪江之泛槎亭。以謁慕齋。退溪集中有自見慕齋。始知正人君子之道。呂州山僧。持詩軸而往謁退溪於嶺南。中有慕齋企齋二老絶句。退溪次韵其絶曰。二老仙遊知幾年。僧來見我臘梅天。自嗟疇昔登門客。淚洒遺篇雪滿顚。柳而見爲應敎時。將往議李判書潤慶謚。歷拜蘇齋。謂柳曰。判書是有名宰相。且南征時有功且多淸德。須以美謚謚之。柳曰諾。乃以懿肅翼莊懿度。備望報于政府。朴思菴時爲首相。合坐勘啓時。謂先生行狀未盡其實。欲發而不敢。此論極當。與右相林塘。同辭以告云。
○ 퇴계는 벼슬하기 전에 서울을 오가는 길에 여강(驪江)의 범사정(泛槎亭)에 들러서 모재를 뵌 일이 있었다. 《퇴계집》 속에,
“모재를 뵈온 뒤부터 비로소 정인 군자(正人君子)의 도를 알았다.”
는 말이 있다. 여주의 산승(山僧)이 시축을 가지고 영남으로 퇴계를 찾아가 뵈었는데, 시축 속에 모재ㆍ기재(企齋) 두 노선생(老先生)의 절구가 있었다. 퇴계는 그 절구에 다음과 같이 차운하였다.
두 노인 서거한 지 몇 해나 지났던고 / 二老仙遊知幾年
매화 피는 섣달에 중이 와서 나를 찾네 / 僧來見我臘梅天
예전에 찾아갔던 이 사람은 / 自嗟疇昔登門客
남긴 시에 눈물 뿌리며 백발을 슬퍼한다오 / 淚洒遺篇雪滿顚
유이현(柳而見 유성룡(柳成龍)의 자)이 응교로 있을 적에 판서 이윤경(李潤慶)의 시호를 의논하기 위하여 가는 길에 좌의정 소재(蘇齋)에게 들러 뵈었다. 소재는 유이현에게 이르기를,
“판서는 유명한 재상이며, 또 남정(南征) 때 공로가 있었고, 또 청덕(淸德)이 많으니, 모름지기 좋은 시호로 정해야 할 것이다.”
라고 하니, 유이현은,
“그렇게 하겠습니다.”
하고, 곧 의숙(懿肅)ㆍ익장(翼莊)ㆍ의도(懿度)로 망단(望單)을 갖추어 의정부에 보고하였다. 그 때 박사암(朴思菴 박순의 호)은 수상이었는데, 합석하여 계(啓)를 감정(勘定)할 때 시호가 그의 실정을 다 그려내지 못하였다 하여 고치라고 도로 내려 보냈다. 소 정승은 말하기를,
“이 논이 극히 합당하다.”
하고, 우상 임당(林塘 정유길(鄭惟吉)의 호)과 함께 같은 말로 고하였다 한다.
..........................
월정집(月汀集) 윤근수(尹根壽)생년1537년(중종 32)몰년1616년(광해군 8)자자고(子固)호월정(月汀)본관해평(海平)봉호해평부원군(海平府院君)시호문정(文貞)특기사항이황(李滉)의 문인
月汀集 別集 卷四 / 漫錄
103. 退溪未釋褐時,往還京洛,嘗歷驪江之泛槎亭謁慕齋。《退溪集》中有云:“自見慕齋,始知正人君子之道。” 驪州山僧持詩軸,往謁退溪於嶺南,中有慕齋、企齋二老絶句。退溪次韻曰:“二老仙遊知幾年,僧來見我臘梅天。自嗟疇昔登門客,淚灑遺篇雪滿顚。”
.........................
월정집 제2권 / 칠언절구(七言絶句) / 스님에게 주다〔贈山人〕
고향 생각은 아스라이 흰 구름 끝에 맴도는데 / 鄕心迢遞白雲端
남국에 추풍 불어 갈 길이 어려워라 / 南國秋風道路難
말 위에서 스님 만나 한바탕 웃고 나니 / 馬上逢僧還一笑
온 산에 푸른 숲이 눈길을 잡아끄네 / 滿山蒼翠要人看
[주-D001] 스님에게 주다 : 이 시는 윤근수가 영남에 경차관(敬差官)으로 내려갔을 때 지은 작품이다. 《月汀集 別集 卷4 漫錄》
ⓒ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 김영봉 (역) |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