곡우 전에 채취한 찻잎으로 만든 차들을 통상 우전차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그러나 우전차의 찻잎들을 보다 세분하여 구별해본다면 찻잎의 상태나 품질특성의
차이에 따라서 다시 구분하여 나눌 수가 있습니다.
마치 같은 cc의 동일한 자동차에도 몇 개의 등급이 있고 그 가격에 차이가 있듯이 말입니다.
채엽 시기나 채엽 지역, 그리고 무엇보다 채엽 된 찻잎의 상태와 법제 능력의 다름에 따른,
우전차중 에서도 보다 독특하고 뛰어난 품질특성을 가진 최상급 우전차들의 희소성과
특수성은 인정되어야 합니다.
중국의 찻잎들은 아주 세분하여 나누고 또 그 등급에 따라 높이 평가해주면서,
왜 우리의 찻잎은 그저 두리뭉실 쉽게 나누고 쉽게 평가해야합니까?
차는 단지 차일뿐이지만 그러나 그 속에서 각각의 찻잎들이 가진 특성과 가치는 정당하게
평가되고 또, 그런 차를 만들기 위해 차농들이 흘린 땀의 댓가는 쏟아 부은 노력과 정성만큼
인정받고 온전하게 보상되어져야 합니다.
물론 이런저런 이유로 소비자를 기만하고 다른 정직한 차농들 에게 피해를 입히며 자신의
양심을 속이는 일부 영리에만 급급한 비열하고 몰지각한 사람들이 차의 유통질서와 시장을
어지럽히고는 있습니다.
허나, 한 가지 분명한 것은 명전, 특우전, 화전, 화후 같은 특별한 이름을 붙여주는것이 마땅한
최상급의 우전차들은 분명히 존재하고 있으며 그런 최상급 우전차들이 가진 특별한 품질과
그 가치는 당연히 인정되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모든 우전차가 모두 동일한 잎에 동일한 품질과 동일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 것은
결코 아닙니다.
좋은찻잎으로 정성스럽게 만들어진 우수한 최상급 우전차들이
정당한 평가속에서 그 이름에 걸맞는 대접을 받고 또한 인정을 받는
맑고 밝은 차의 세상이 이루어 지기를 ........ <죽천향>
첫댓글네 좋은 말씀입니다 좋은 상품은 좋은 대접을 받아야 마땅하죠 당연한 이야기입니다 ...그래서 상표가 있는것 아니겠습니까? 모든 상품들이 앞다투어서 상표전쟁을 하고있는것 아니겠습니까? .. 말씀대로라면 얼마안있어 특우전 특특우전 특특특우전 이라는 말이 나올것 같습니다 ...누구가만든 우전 이것이 우대받는 세상.
그렇습니다. 같은 우전차라도 토질, 지형, 기후...등의 지역 조건과 재배방식과 재배기술 등에 따라 원료 차엽의 질이 다르고, 제다기술의 우열도 달라서, 1창2기로 만든 같은 우전차라도 집집마다 그 향미가 천차만별입니다. 하물며 침차, 눈아차, 기창차, 모봉, 모첨... 등에 있어서는...?<춘수배상>
"각각의 찻잎들이 가진 특성과 가치는 정당하게 평가되고 또, 그런 차를 만들기 위해 차농들이 흘린 땀의 댓가는 쏟아 부은 노력과 정성만큼 인정받고 온전하게 보상되어져야 합니다. 정당한 평가속에서 그 이름에 걸맞는 대접을 받고 또한 인정을 받는 맑고 밝은 차의 세상이 이루어 지기를 ... " ^-^*
첫댓글 네 좋은 말씀입니다 좋은 상품은 좋은 대접을 받아야 마땅하죠 당연한 이야기입니다 ...그래서 상표가 있는것 아니겠습니까? 모든 상품들이 앞다투어서 상표전쟁을 하고있는것 아니겠습니까? .. 말씀대로라면 얼마안있어 특우전 특특우전 특특특우전 이라는 말이 나올것 같습니다 ...누구가만든 우전 이것이 우대받는 세상.
그렇습니다. 같은 우전차라도 토질, 지형, 기후...등의 지역 조건과 재배방식과 재배기술 등에 따라 원료 차엽의 질이 다르고, 제다기술의 우열도 달라서, 1창2기로 만든 같은 우전차라도 집집마다 그 향미가 천차만별입니다. 하물며 침차, 눈아차, 기창차, 모봉, 모첨... 등에 있어서는...?<춘수배상>
"각각의 찻잎들이 가진 특성과 가치는 정당하게 평가되고 또, 그런 차를 만들기 위해 차농들이 흘린 땀의 댓가는 쏟아 부은 노력과 정성만큼 인정받고 온전하게 보상되어져야 합니다. 정당한 평가속에서 그 이름에 걸맞는 대접을 받고 또한 인정을 받는 맑고 밝은 차의 세상이 이루어 지기를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