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생략-
이 사람은 올해 77세의 고령인 동국제강의 창업자 장경호입니다.
이제 멀지 않아 이 생을 마칠 것을 내다보고,
인생무상의 대도 앞에,
조용히 그리고 엄숙한 마음으로 옷깃을 여미며,
'영원한 진정'을 각하에게 말씀드리게 된 것을
한량없는 영광과 기쁨으로 생각합니다.
본인 장경호는,
평소 소박한 생활신조로서 남자로 태어난 것과,
대한민국에 태어난 것과, 불교를 신봉하게 된 것을
행복으로 생각하고 항상 감사하였습니다.
그리고 소비산업이 아닌 국가의 기간산업을 일으켜
산업보국하려는 데 뜻을 두고 시작한 제강공업이
조그마한 업적으로나마 남기게 되었다면,
그것은 국가ㆍ사회의 은혜에 힘입은 바 큰 것이며,
이 또한 감사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본 소불자는 평생을 통해서 오직 근면과 검약으로 일관해서
기업을 키워 나왔사오며, 그 결과 본인에게 돌아오는
얼마간의 사유재산을 모으게 되었습니다.
이 재산은 저에게는 필생의 피와 땀의 대가라 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대통령 각하,
앞에서 말씀드린 바와 같이 국가와 사회
그리고 부처님의 은혜를 입은 제가 그 은혜에 보답하는 길이 무엇인가
곰곰이 생각한 결과, 본인 명의의 모든 사유재산을
낙후한 한국불교의 중흥사업을 위해 내어놓기로 하였습니다.
각하께서는 저의 뜻을 받아 주시옵고,
국가의 도움 없이는 종교가 존립ㆍ발전할 수 없는 만큼,
불교중흥을 위하여 대통령 각하의 각별하신 하념이 계시옵기 바랍니다.
본 소불자가 이토록 불교중흥을 염원하게 된 것은
그 어떤 정의나 사상보다도 불타의 정신이 건전하며,
인간의 행복과 사회윤리를 진작하고,
국가를 사랑하고 지키는데 불교가 큰 몫을 하리라고 믿기 때문입니다.
그것은 불교가 이 땅에 전래된 지 일천육백여 년 동안,
신라통일의 원동력으로서 찬란한 문화를 창조하였고,
고려 때에는 국가총화정신의 뿌리를 이루었으며,
숭유억불의 이조 때에도 국가누란의 위기를 막기 위해
임진왜란에서 호국종교로서의 진수를 발휘하였고,
일제 탄압 밑에서도 민족주체정신을 지켜온 전통이
입증하고 있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일찍이, 삼계의 대도사시고, 사생의 자부이신 석가모니불께서는
미망에서 방황하는 인류에게 절대적 자아의 발견으로
인간완성과 세계평화의 밝은 길을 교시하셨습니다.
그러나 진리를 아는 사람은 많지 않은 것 같습니다.
이리하여 오늘날 세계는 전쟁의 참화와 불안, 공포에 떨고 있고,
인간성은 점점 상실되어 정신적 갈등 속에 온갖 불순한 사상으로
사회혼란이 조성되고 있습니다.
이같은 세계적 위기현상과
부단히 변화하는 내외의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각하께서는 조국근대화 작업을 전개하며,
한편으로는 국가안보를 튼튼히 하고,
또 한편으로는 국민경제를 발전시키고,
민족적 자각을 통한 국민총화를 이룩하는데 힘쓰고 계십니다.
이러한 때에 어느 종교보다도
우리 민족의 정기와 전통문화에 큰 몫을 한 불교가
오늘날 인간의 정신향도에 무기력해진데 대하여
안타까운 마음 금할 수 없사오며,
이 기회에 다시금 새로운 생기를
한국불교에 불어넣어야할 줄 믿습니다.
참된 종교는 인간의 생각을 가장 건전하게 이끌고,
올바른 생활을 통하여 행복을 누리게 하며,
나아가 사회윤리 진작과 국가발전으로 승화시키는데
그 존재가치가 있지 않겠습니까.
따라서, 이제 우리 불교는 오랜 잠에서 깨어나,
어려운 국가적 현실을 직시하고,
구력(救力)의 정법이념을 드높이 내걸고,
국민의 정신생활에 지표가 되어야 할 것입니다.
이렇게 볼때 오늘의 한국불교는 자각과 반성으로
일대개혁의 시점에 다다른 것으로 생각됩니다.
그리고 산사 중심의 의식과 기복에 치우친
소극적ㆍ관념적ㆍ무사안일주의에서 벗어나
번뇌와 정신적 갈등 속에서 방황하는
현대인들의 올바른 길잡이가 되어야 하며
고질적 병폐인 교리를 빙자한 분열과 분파로
배타, 비난하는 퇴영적 종파불교의 폐습을 불식하고
통불교 이념으로 사부대중은 본질적 평등 속에
화합단결해야 할 줄 압니다.
이렇게 하여 불교가 바로 설 때 국민정신이 올바로 설 것이며
불광이 온 누리에 비칠 때, 이 땅 이 민족이 국태민안 속에
번영ㆍ발전하고, 나아가 전세계는 자유와 평화가 이룩될 것으로 믿습니다.
이 얼마나 아름다운 생각인가요.
이 얼마나 훌륭한 보디사트바의 생각인가요.
능히 세상을 바꾸는 힘이 되고도 남습니다.
깊은 감사를 드리는 시간입니다.
첫댓글 불교의 미래를 위한 귀한 말씀입니다~~~나무석가모니불_()()()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