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간록(十干綠) . 건록(建祿)
십간록은 십간과 복 록자를 써서 천간의 복이라는 뜻입니다. 십이운성의 건록과 동일합니다.
십이운성의 건록은 음양이 같은 오행, 즉 십신으로는 비견을 일컫는 것입니다 다만 土일간은 화토동법으로 화 일간과 같이 巳또는 午가 건록이 됩니다.
십간록/건록 조견표
일간 | 甲 | 乙 | 丙/戊 | 丁/己 | 庚 | 辛 | 壬 | 癸 |
십간록 | 寅 | 卯 | 巳 | 午 | 申 | 酉 | 亥 | 子 |
십간록/건록 의미
십간록을 현대적으로 간단하게 해석하면 비견의 의미를 적용하여 해석하면 됩니다.
먼저 비견이 가진 독립성, 추진력은 자신의 의지나 뜻을 관철시킬 수 있는 힘입니다. 두 번째 비견의 사람과 협력성은 직장 또는 사업, 업무 등에서 인맥(토 일간은 인성, 학력/학연)을 통해 성공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더불어 각 근묘화실 자리와 시기의 인덕을 함께 봅니다. 해당 시기와 궁의 인맥으로 인한 공직운, 직장운, 사업운이 좋다고 해석하면 됩니다.
하지만 형충파해 되거나 공망이 되면 글자의 특성을 잘 사용하기 힘들어져 해당 궁에 질병이나 손재수, 이별, 이동수가 있다고 봅니다.
일반적인 설명은 위와 같지만 사주의 구성과 십이운성 등을 같이 봐야 하기 때문에 건록이 있다고 해서 그대로 통변하는 것이 아니라 주변 글자 환경을 보아 합국을 이루는지, 충이 나는지 등을 보아 같이 해석해야 합니다.
예시)
----년지 십간록, 국가 또는 큰 사회에서 인맥을 활용
----월지 십간록, 주변 사회활동에서 학연/인맥을 활용
----일지 십간록, 개인 및 주변 사회활동에서 학연/인맥을 활용
----시지 십간록, 개인 활동, 인생 후반기에서 학연/인맥을 활용
십간록/건록 고전 내용
건록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고전 내용을 정리하여 소개합니다. 조금 어렵기 때문에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연해자평에 따르면,
십간록이 있으면 관직에 능히 나갈 수 있고 관의 세력을 얻을 수 있다고 합니다.
십간록은 生(장생)하거나 旺(제왕)하는 기운 또는 양인 위에 놓이면 좋다고 하고 약한 기운(사,묘,절,태) 위에 있으면 나쁘다고 합니다. 하지만 주변 글자의 상황을 봐야하기 때문에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예시)
----건록이 양인을 봄, 목국을 이룸, 좋다고 봄
----건록이 왕지를 봄, 금국을 이룸, 좋다고 봄
----건록이 장생을 봄, 좋다고 봄
----건록이 을목을 보아 사지에 있어 안 좋다고 봄
또한 삼명통회에서는,
건록과 역마, 일지 삼합 반대 기운의 생지를 같이 보아 록마(綠馬)라고 합니다. 록마는 공직과 부귀영화를 누릴 수 있다고 합니다.
건록이지지 생지의 재성이나 관성을 본 것으로 충(沖) 관계 글자입니다.
다만 글자끼리 옆에 붙어 있어 직접적으로 충의 작용이 일어나면 글자 고유의 특성을 제대로 발휘하기 어렵기 때문에 주변 글자의 구성을 잘 봐야 합니다.
* 甲 * *
* 寅 * 申
---인목 건록, 신금 역마
* 甲 * *
* 인 申 *
---인신충 충, 록마의 충
---주변 글자 환경을 봐야 함
* 乙 * *
巳 卯 * *
---묘목 건록, 사화 역마
* 丙 * *
寅 子 巳 *
---사화 건록, 인목 역마
첫댓글 건록과 역마, 일지 삼합 반대 기운의 생지를 같이 보아 록마(綠馬)라고 합니다. 록마는 공직과 부귀영화를 누릴 수 있다. 감사합니다.~
십이운성의 건록은 음양이 같은 오행, 즉 십신으로는 비견을 일컫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십간록 공부합니다.^
글자끼리 옆에 붙어 있어 직접적으로 충의 작용이 일어나면 글자 고유의 특성을 제대로 발휘하기 어렵기 때문에 ~~
辰酉 합이 있는 저는 어쩌라구요? ㅎㅎ
월지 십간록이 있으면 주변 사회활동에서 학연, 인맥을 잘 활용한다~
완전 그럽디다.^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