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백산 자락길
걷다가는 쉬고, 쉬고는 걷고, 그러면서 즐기는 소백산 자락(自樂)길은 봉화를 거쳐 마구령, 고치령을 넘어 국망봉, 비로봉, 연화봉을 지나 풍기, 순흥, 단산, 부석 등 산간 마을을 낳은 평화롭게 보듬은 아늑한 마실이요 촌길이다.
선비촌 승운정 주련에 소백남허고순흥(小白南墟古順興)이라 소백 남쪽은 옛날 순흥이라. 순흥은 여말선초(麗末鮮初)까지 남순북송(南順北松)으로 남은 순흥이요, 북은 송도라 할 만치 번창했다.
그러나 세조는 (1457)에 금성대군 중심으로 단종 복위를 꾀한다는 말에 순흥은 피천지가 되었고, 고을은 산산이 나눠 단양, 영월, 태백, 풍기, 예천, 봉화로 분산시켜 편입해 버렸다. 하기야 혁명은 성공하면 충신이요, 실패하면 삼족이 멸문의 화를 당하지 않았던가. 1683년에 숙종은 순흥은 절의지향(節義之鄕)으로 명예를 회복시켜 주었지만, 일제 침략기에 지방 유생들의 곧은 절의가 가시가 되자 고을 전체를 불살라 버린 아픔을 간직한 곳이 순흥이다.
소백산 자락길 시작은 선비촌 제월교(청 다리)를 지나면 단종복위운동성지인 금성대군 신단이란 안내판이 걸인 여기부터라 한다. 신단은 세조 때 단종 복위를 도모하다 화를 당한 금성대군과 순흥 도호부사 이보흠(李甫欽), 뜻을 같이한 이들의 충절을 기리기 위하여 영조 18년(1742)에 설치한 제단으로 품(品)자 형태로 상석을 설치해 두었다.
내삼문의 금성단(錦城壇)이란 현판의 글씨에 단(壇)자는 금성(錦城)의 글씨하고는 특이한 필체라 흥미롭다. 단의 첫 획이 신단의 의미를 뜻하는지 힘을 놓고 꼬부라져 있었다.
신단에서 나오는 한 여대생을 만났다. 오늘은 영주, 내일은 안동을 거쳐 경북 북부지방의 문화유적을 순례 중이란다. 신단의 단(壇)의 뜻을 아는지 하고 물었다 금시초문이란 표정이다. 겁도 없이 신단의 내력을 듣고도 무서워하지도 않고 배시시 웃는다. 무덤을 칭하는 데 여러 말이 있어요. 단(壇)은 죽은 자의 무덤이 없거나 실묘(失墓)를 했을 경우, 죽은 자를 기리기 위해, 위패나 그의 자취를 묻은 무덤이고, 능은 왕과 왕비의 무덤이며 왕과 왕비의 친족들의 무덤은 원(園)이고 오래된 옛날 무덤은 고분(古墳)이라 한다.
고분은 출토된 유물에 따라 ‘천마총’ ‘호우총’ ‘금관총’ ‘금척총’ 등 총(塚)으로 칭한다. 일반 백성들의 무덤은 묘(墓)라는 설명에 고맙다는 인사가 각별했다.
스마트 폰에 넋이 빠진 세대에 비하면 얼마나 기특하고 대견한가. 다음 가볼 데를 부석사를 추천하자, 보고 오는 길이란다. 그에게 부석사를 본 소감이라도 물어보았으면 좋았을 것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