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식품 정재원(鄭在遠) 명예회장'
서울의 한 의학 강습소에서 허드렛일을 하고있는 급사(給仕) 소년이 있었습니다.
그 아이는 황해도에서 보통학교(초등학교)를 졸업하고 서울로 왔습니다.
없는 형편에 아버지마저 일찍 돌아가시고 어머니와 궁핍하게 생활하던 아이는 서울에 와서 굶지 않으려고 목욕탕 심부름꾼에서 모자가게 점원까지 닥치는 대로 일하다가 그 성실성을 인정받아 의학강습소에서 급사 일을 하게 되었습니다.
급사가 주로 하는 일은 등사기를 밀어 강습소 학생들이 볼 강의 교재를 만드는 것이었습니다.
“인쇄를 하면서 자연스레 교재를 들여다봤죠. 용어가 어려워 옥편을 뒤져가면서 독학을 하다 보니 ‘나도 의사 공부를 한 번 해볼까’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당시에는 의대에 다니지 않아도 시험만으로도 의사 자격증을 딸 수 있었거든요.”
주경야독으로 몇 년동안 의사고시에 매달렸던 아이는 20세 청년이 되어 의사고시에 합격했습니다.
국내 최연소 의사였고, 의사시험에 합격했던 1937년 서울 성모병원에서 의사가운을 입게 됐습니다.
의사로서의 생활은 만족스러웠지만 어느 날 그의 인생을 바꿔놓는 일을 겪게 됩니다.
"뼈가 앙상하고 배만 볼록 솟아오른 갓난아기 환자가 병원에 왔는데, 아이 엄마는 평안북도 신의주에서 아이를 업고 하루 종일 왔다고 했어요. 어렵게 얻은 아들이라며 ‘제발 살려 달라’고 제게 애원했지요. 차트를 보니 병명이 ‘소화불량’이었는데, 아이는 끝내 세상을 떠나고 말았습니다.”
어떤 의사도 그 아이의 병명을 몰랐고, 그 아이 말고도 비숫한 증상으로 병원을 찾은, 많은 신생아들이 설사를 하다 죽어갔습니다.
젋은 의사는 자책과 의문에서 고뇌하다가 어느날 굳게 다짐했습니다.
‘내가 이 원인 모를 병으로 죽어가는 아이들을 고치는 방법을 반드시 찾겠다’
아무리 알아봐도 국내에서는 그 치료법을 찾을 수 없었던 그는 43세에 유학을 떠납니다.
신입의사 시절에 접했던, 소화불량에 걸린 신생아들을 고칠 방법을 찾기 위해 유학을 택한 것입니다.
주변에서 모두 그를 말렸습니다.
이미 아내와 6남매가 있었고, 의사로서의 안정된 삶도 보장되어 있는데 힘든 유학길을 선택할 이유가 없다는 것이었습니다.
수 많은 만류에도 죽어가는 아이들을 살려내야겠다는 의사의 사명감을 떨칠 수 없었던 그는 당시 의학의 선진국이었던 영국으로 유학을 떠났습니다.
“영국 런던대에 공부하러 갔지만 뾰족한 수를 찾지 못했어요. 곧장 미국 샌프란시스코의 UC메디컬센터로 건너가 미국에도 비슷한 증상이 있나 샅샅이 뒤져봤지요.”
1964년, 그는 도서관에서 소아과 교재를 읽다가 환호성을 질렀습니다.
한국의 아이들과 같은 증상을 보이는 병인 ‘유당불내증(乳糖不耐症·lactose intolerance)’을 소개한 내용을 찾았고, 수십년 동안 찾아 헤메던 의문의 실마리가 풀리기 시작했습니다.
‘유당불내증’은 우유나 모유의 유당을 분해하는 효소가 부족한 사람들이 겪는 증상이었고, 이 증상을 가진 신생아들이 모유나 우유를 소화하지 못하여 뱃속에서 유당이 부패하여 복부가 팽창하면서 장기에서 영양분을 흡수하지 못하니 영양실조로 죽어갔던 것입니다.
병의 뿌리를 알게 된 그는 우유 대용식을 만드는 게 급선무라고 판단했습니다.
어린 시절 어머니가 끓여줬던 콩국을 떠올리면서 한국으로 돌아왔습니다.
귀국한 그는 서울 명동에서 ‘정소아과’를 운영하며 간호사였던 아내와 함께 우유의 대용식 개발에 매달렸습니다.
아내가 콩을 맷돌로 갈아 콩국을 만들면 그는 콩국의 영양소를 분석했습니다.
병원 지하에 실험용 흰 쥐를 잔뜩 키우며 콩국을 먹여서 ‘유당불내증’을 실험했습니다.
주변에서 “정원장이 미국에 다녀오더니 이상해졌다”고 술렁거렸지만 그렇게 3년 남짓 쉬지않고 연구한 끝에 두유를 개발했습니다.
그 두유를 설사병에 걸린 신생아들에게 먹이자, 놀랍게도 병상의 아이들이 기력을 차리기 시작했습니다.
콩에는 필수영양소(단백질 40%, 탄수화물 35%, 지방 20%)가 들어 있지만 유당은 들어 있지 않다는 것에서 착안한 것이었고 그 결과는 대성공이었습니다.
그가 회고하는 “인생에서 최고로 기뻤던 순간”이었습니다.
증상이 완치되는 아이들의 부모를 통해서 같은 증상을 앓고있는 아이의 부모들에게 ‘정소아과가 용하다’는 입소문이 금방 났습니다.
이윽고 전국 각지에서 그 증상의 환자들이 구름같이 몰려왔고 두유가 부족해졌습니다.
결국 아픈 아이들에게 부족함 없이 두유를 먹이려는 의도로 1973년 두유회사를 설립하여 두유의 대량 생산에 나섰습니다.
콩국이 식물성 우유라는 점에 착안해 식물(vegetable) 과 우유(milk)의 영문명을 합쳐 제품의 이름을 ‘베지밀’이라고 지었습니다.
정원장은 56세의 나이에 또다시 도전의 길에 접어들었습니다.
“개인 병원만 운영하다 기업을 경영하는 것은 차원이 다른 일이었지만 신생아들을 더 많이 살리려면 창업 말고는 다른 길이 없었어요.”
그가 창업한 회사는 ‘인류 건강을 위해’를 기업의 창업이념으로 정했고 청정 자연과 생명의 숭고함을 중시하며 인류의 건강문화에 기여하려는 건강식품을 보급하는 기업이 되었습니다.
“사회적 역할에 대한 충분한 고민과 성찰이 있어야 기업이 무한 경쟁의 시대에서 진정한 성장을 할 수 있다”는 창업이념이 기업정신의 뿌리를 이루고 있습니다.
현재 100세가 넘은 고령의 나이에도 건강한 의지를 가지고있는 정재원회장은 정식품의 기업로고에 '우주와 대자연의 중심에 사람이 있다'는 천지인(天地人)의 생명존중과 인본주의 사상을 담고있다고 설명하면서 수천명의 학생들에게 장학금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