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천절[開天節] -두산백과/한민족문화대백과 참조
-우리민족(民族)의 시조(始祖) 단군(檀君)이 개국(開國)한 날을 기념하는 국경일(國慶日)
10월 3일은 1949년 10월 1일 <國慶日에 관한 法律>을 제정·공포해 이 날을 開天節로 정하고
國慶日로 했다. <開天>의 본래 뜻은 檀君朝鮮의 建國日을 뜻하기 보다는, 환웅(桓雄)이 천신(天神)인
환인(桓因)의 뜻을 받아 처음으로 하늘문을 열고 태백산(太白山) 신단수(神壇樹) 아래에 내려와
홍익인간(弘益人間)·이화세계(理化世界)의 대업(大業)을 시작한 BC(紀元前) 2333년(戊辰年)
음력 10월 3일을 뜻한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이 날을 기리는 거족적(擧族的)인 제천의식(祭天儀式)은 먼 옛날부터 전래(傳來)되었으니,
부여(夫餘)의 영고(迎鼓), 예맥(濊貊)의 무천(舞天), 마한(馬韓)과 변한(弁韓)의 계음(契飮),
고구려(高句麗)의 동맹(東盟), 백제(百濟)의 교천(郊天), 신라(新羅)와 고려(高麗)의 팔관회(八關會)등에서
행해진 제천행사(祭天行事)에서 예(例)를 찾을 수 있다.
민족의 전통적 명절을 기리는 행사는 먼 옛날부터 제천행사(祭天行事)를 통하여 거행되었으니,
고구려(高句麗)의 동맹(東盟), 부여(夫餘)의 영고(迎鼓), 예맥(濊貊)의 무천(舞天)등의 행사는 물론,
강화(江華) 마니산(摩尼山)의 제천단(祭天壇), 황해도(黃海道) 신천(信川)-은율(殷栗)
구월산(九月山)의 삼성사(三聖祠), 평양(平壤)의 숭령전(崇靈殿)등에서 각각 행해진
제천행사(祭天行事)에서 좋은 사례(事例)를 볼 수 있다.
개천절(開天節)은 1909년 나철(羅喆)에 의해 대종교(大倧敎)가 중광(中光: 다시 敎門을 엶)되면서
경축일(慶祝日)로 제정하고 해마다 행사를 거행하였다. 특히 대한민국임시정부(大韓民國臨時政府)는
음력 10월 3일을 개천절(開天節)로 정하고 중국(中國)으로 망명(亡命)한 대종교(大倧敎)와 합동으로
경축(慶祝)했다.
대한민국(大韓民國) 정부수립후(政府樹立後)에도 이를 계승(繼承)해 개천절(開天節)을 공휴일로 정하고
그때까지 경축식전(慶祝式典)에서 부른 대종교의 <개천절 노래>를 현행(現行)의 노래로 바꾸었다.
그러나 음력(陰曆) 10월 3일을 양력(陽曆)으로 환산하기가 어렵고, ‘10월 3일’이라는 기록이
소중(所重)하다는 의견을 받아들여 1949년부터 양력 10월 3일로 바꾸어 거행(擧行)했다.
이 날은 정부를 비롯하여 일반 官公署 및 公共團體에서 거행되는 경하식(慶賀式)과 달리,
실제로
여러 단군숭모단체(檀君崇慕團體)들이 주체(主體)가 되어 강화 마니산(江華 摩尼山)의 제천단(祭天壇),
강원 태백산(江原 太白山)의 단군전(檀君殿), 서울 鍾路區 社稷壇의 檀君殿등에서 경건한 祭天儀式을
올리고 있다.
따라서 개천절(開天節)은 민족국가(民族國家)의 건국(建國)을 경축하는 국가적 경축일(慶祝日)인 동시에,
문화민족(文化民族)으로 새로운 탄생(誕生)을 경축(慶祝)하며 하늘에 감사하는 우리 민족고유(民族固有)의
전통적(傳統的) 명절(名節)이라고 할 수 있다.
- 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