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식을 지키지 않으면 예고없이 강등될 수 있습니다.
<제목양식>
강의교재 질문: 해당과정, 단원, 페이지, 문제번호 명시 (적중 2000제 17장 전기화학 516페이지 34번)
편입기출문제 질문 : 학교, 연도, 문제번호를 명시(중앙대 2022년도 12번)
<질문글 양식>
1. 질문이 2개 이상일 때 각각의 질문마다 번호를 붙여주세요.
2. 한번에 한 문제에 대해서만 질문 해주세요.
3. 문제의 그림이나 사진을 첨부하시면 답변을 빨리 받으실 수 있습니다.
4. 한번에 정확히 질문해주세요. 답변에 대한 추가댓글 질문 X
5. '이렇게 풀면 왜 답이 안나오나요?' 유형의 질문 X
안녕하세요 교수님!
예제 6.3.3 /6.3.4 질문이 있습니다.
두 질문의 내용은 같아서,
6.3.3 을 예시로만 올려드립니다.
6.3.3은 1M의 HCl 50ml, 1M의 NaOH 50ml 를 혼합시킨 반응의 중화열 (△H) 을 구하는 문제 입니다.
저는 H를 그냥 주어진 비열(4.2J/g.도)로, q= 4.2J/g.도 * 100g * 7도 = 2,940J (혹은 약 2.9KJ) 로 구했는데,
선생님께서는 H의 단위를 KJ/mol 로 보셔서, 제가 세운 식에서 양변에 50/1000 을 곱하여서 -59KJ/mol 로 답을 내셨더라구요.
항상 반응엔탈피의 단위를 KJ/mol 로 하는게 맞는걸까요? 혹은 KJ 로 표현해도 문제 없는걸까요?
어디서는 KJ 로하고, 어디서는 KJ/mol 로 표기하여 헷갈립니다 .
아니면 요 문제에서 굳이 1M 라는 힌트로 몰 수를 구할 수 있었기 때문에 KJ/mol 로 환산하여 구하신건지.. 궁금합니다.
6.3.4 에서도 마찬가지로 △E를 KJ/mol로 구하라고 하면 그렇게 구할 수 있는데, 1mol 당 몇 KJ 인지 안쓰고 그냥 해당 반응에서 몇 KJ이 연소에너지로 나왔다 라고 하면 안되는걸까요?
계속 너무 기초적인 질문을 드리네요^^;;;
감사합니다.
첫댓글 델타H의 단위는 상황에 따라 kJ로 쓸수도, kJ/mol로 쓸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인 반응엔탈피는 kJ로 쓰는 경우가 많고,
표준생성엔탈피, 용해엔탈피, 중화엔탈피 등 특정물질 1몰에 대한 값들은 kJ/mol로 쓰는 경우가 많습니다.
결론: 델타H의 단위는 kJ과 kJ/mol을 자유롭게 바꿔서 생각해도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