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선아리랑 무극 공연 | 강릉아트센터 (소공연장) | 18. 3. 15 19:30 | 정선아리랑 무극 공연 - 아리랑과 신화적인 요소를 접목하는 멀티콘텐츠 뮤지컬로 제작 |
연출자의 말
'정선아리랑 대합창'이란 콘셉트로 정선 군민들과 함께 만들어 온 작품이 드디어 극장용으로 각색되어 첫 시연을 하게 되었습니다.
음악을 사랑하고 업으로 살고 있는 한 사람으로서 정선군민들과 함께 '아리랑 무극(無極)'을 만들어 가는 이 과정은 마치 우리들 모두의 가슴 속에 있는 그리움과 꿈을 완성시켜 가는 느낌이었습니다.
함께 땀 흘리며 고생하신 많은 군민들, 출연진, 스텝들의 열정의 결과라고 생각합니다.
세계인의 축제 2018 평창동계올림픽에서 '아리랑 무극(無極)'을 선보이게 되어 개인적으로 너무나 행복하고 고마운 순간입니다.
'아리랑 무극(無極)'은 정선아리랑이 가지고 있는 오랜 역사성과 진정성을 바탕으로 새롭게 창작된 쇼 퍼포먼스 음악극입니다.
한국인의 한恨 아리랑. 그 중에서도 정선아리랑.
정선아리랑을 전세계에 알릴 수 있도록 더욱더 심혈을 기울여 좋은 작품을 선보이겠습니다.
2018. 3. 15.
아리랑 무극 연출 이길영
작곡 이승주, 이길영
조연출 이신애
음향 최동복
의상 김혜민
무대감독 전기광, 정휘경
사진 권영일
안무 장일승
무대, 소품 노주연, 최상백
조명 이현규
분장 김선미
기술감독 박완용
" 태초의 아리랑, 정선 아리랑
이제는 세계인의 노래가 된다
강렬한 락 음악, 다양한 춤과 퍼포먼스
40인조 심포니 오케스트라, 오페라를 방불케하는 대합창
동양과 서양이 만나고, 과거와 미래가 하나 되어
정선 아리랑이 세계인의 노래로 다시 태어난다
한국 최초이자 최대규모의 아라리 락 오페라
[아리랑 무극(無極)] "
기획 아리락컴퍼니
제작 정선군
후원 문화체육관광부
2018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 기념
2018 평창동계패럴림픽
공식초청작 아라리 락 오페라
아리랑 무극 無極
일시 2018. 3. 15 (목) 19:30
장소 강릉 아트센터 소극장
총연출 이길영
극작 한민규
음악감독 이승주
작품 소개
한국인이 정서를 대변하는 '아리랑'
세계인이 공감하는 '뮤지컬'
심포니가 함께 하는 '락 오페라'
강원도 정선아리랑과 한국의 대표적 설화를 바탕으로 '견우와 직녀', '도깨비', '상원 부인', 등 천상계와 지상의 여러 등장인물들이 상생과 평화 이상향인 아리랑 고개로 가기 위한 여정과 희망의 노래를 다양한 장르의 음악과 이야기로 연출한다.
'아리랑 무극(無極)'은 아라리 락 오페라라는 새로운 콘텐츠로서도 의미가 깊다.
한국 정서의 뿌리인 아리랑으로 세계와 소통하기 위해 만든 창작물로 오랜 시간 아리랑을 연구하고 고민해 온 고구려밴드의 리더 '이길영' 감독이 연출을 맡았으며,
M.Factory의 '한민규' 작가가 극작을, 음악감독으로 고구려밴드의 프로듀서 및 키보디스트 '이승주' 가 참여하였다.
출연진
직녀役 남수정
견우役 백승문
단지役 최진실
동이役 김봉주
고구려밴드
태극
도깨비왕, 떼꾼왕役 이길영
외~
시놉시스 & 음악
여는 곡 "아리랑 나라를 찾아서"
천상계에서는 인간 세상으로 1년에 한 번 아리랑 꽃씨를 뿌릴 선녀를 뽑는데, "직녀"가 선택된다.
1장. "축제의 아리랑"
아리랑 나라의 축제 날, 혼인을 앞둔 '단지'와 '동이'가 반갑게 만나고 아리랑 나라 사람들 모두가 축제를 즐기며 행복해 한다.
2장. "항아리 인연"
한 편, 아리랑 나라에 매료된 '직녀'는 사람들과 축제 분위기에 흥을 느끼던 중 장터에 항아리를 팔러 온 '견우'와 서로 설레이며 사랑에 빠지게 된다.
3장. "천 리 길"
그 날 밤, 축제가 끝나고 '견우'와 '직녀'는 아쉬움에 헤어지지 못하고 '직녀'는 하늘의 법도를 어기고 아리랑 나라에 남아 '견우'와 평생을 기약하는데....
4장. "직녀에게 명하리"
하지만 이 사실이 천상계에 퍼지자 천상계의 법도를 다스리는 '상원 부인'은 '직녀'가 하늘나라로 돌아오지 않을 시 폭풍우를 내려 아리랑 나라를 송두리째 잠재우겠다고 선포한다.
5장. "하늘이 노한듯"
그 날부터 아리랑 나라에는 폭풍우가 쏟아지고 이 폭풍우 때문에 아우라지 강물이 넘쳐 흘러 비극이 일어난다. 아리랑 나라 사람들은 겁에 질린다.
6장. "하늘과도 싸우리라"
선녀장은 '직녀'를 데리러 인간 세상으로 오지만 이미 깊어진 그들의 사랑을 막지 못한다. '견우'는 애절함으로 하늘과 맛서고 폭우도 더욱 거세져 간다.
7장. "전산옥의 노래"
강물이 불어 '단지'를 못보게 되자 슬픔에 잠긴 '동이'는 '전산옥'의 주막에 들어가고 '전산옥'의 노래에 취해있던 '뗏꾼들'에게 떼를 빌려 '단지'에게 가기로 결심한다.
8장. "뗏소리" ("간다지 못간다지" / "직녀의 절규")
'둥이'는 홀로 떼를 타고 강물을 건너다 거센 폭풍우와 싸우지만 뗏목은 부서지고 '동이'는 강물에 빠지고 만다. '직녀'는 이 모든 사태가 자신으로 비롯됨을 자책하게 된다.
9장. "벗님이 나리운다"
'직녀'의 희생으로 도깨비는 '직녀'의 목숨을 대가로 사방신을 깨우고 청룡을 불러 '동이'와 '견우'를 구하게 된다. 사람들을 구하고 모두가 기쁨의 재회를 하는데...
10장. "아리랑 고개 넘어" / "아리랑 나라"
이 모든 모습에 감동한 '상원 부인'은 '견우'와 '직녀'가 연을 이어 갈 수 있도록 1년에 한 번 오작교를 놓아 주기로 한다.
아리랑 나라 사람들 모두, 아리랑 고개를 건너며 자신의 꿈과 염원인 '아리랑'을 속삭인다.
< 초등학생이상 입장 가능합니다. > 아리랑 무극
|
내용
아리랑 무극은 다양한 장르 (합창,심포니오케스트라,락밴드,타악그룹,무용,바디페인팅,퍼포먼스등)의 예술이 아리랑으로 하나가 되고 함께 살아 움직인다. |
1장. 아리랑 나라로 (서곡) / 자진 4박 축제 2장. 항아리로 맺은 인연 (아리랑나라 변형 반복) / 장터의 노래 (엮음) 3장. 천리 길 끝에 닿은 사랑 4장. 직녀에게 명하리 5장. 강물이 부풀어 올라 6장. 각성 7장. 긴 아라리 8장. 전산옥의 노래 / 목도소리 / 목타 태극 / 뗏소리 / 직녀의 말 / 마지막 바람 9장. 선소리 (제의식) / 벗님이 나리운다 / 아리랑고개너머 (긴아라리) 10장. 아라랑 나라
참여 단체 정선아리랑문화재단 |
관람안내2018 평창문화올림픽은 대회기간 중, 장애 유무에 상관없이 모두 함께 즐길 수 있는 다양한 문화프로그램을 통해 '화합'의 올림픽 문화축제를 구현하고자 합니다. 총 8개 공연에 대한 시각장애인을 위한 실시간 화면해설, 청각장애인을 위한 실시간 한글자막 서비스를 제공하며, 이는 국가적인 행사에 무선 배리어프리 시스템을 최초 도입하는 사례로, 국내 배리어프리 공연 문화 확산의 시작이 될 것입니다 * 공연시작 10분전 까지 미수령된 티켓은 자동취소됩니다. * 공연시작 후 입장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
|
|
|
http://www.gn.go.kr/artscenter/prog/pblprfrInfo/sub02_02/artCenter/view.do
강릉아트센터
https://blog.naver.com/ariaritour/221188524797
아라리 사람들
|
첫댓글 서울에서도 한번 해주면 좋을듯~~~ ^^
그야말로


죠



@강원도요 하루만이라도 해주면 진짜 좋겠다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