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Bad-dog rooms vs. nice-dog rooms
Weiser’s buildings are a coevolutionary ecology of machines. Each device is an organism that reacts to stimulus and communicates with the others. Cooperation is rewarded. Alone, most of the electronic bits are wimpy and would die of nonuse. Together, they form a community that is attentive and robust. What each microbit lacks in depth is made up by the communal net which casts its collective influence wide over a building, outreaching even a human.
나쁜 개 방 대 착한 개 방
와이저의 건물들은 기계의 공진화적 생태이다. 각각의 장치는 자극에 반응하고 서로 소통하는 유기체이다. 협력은 보상받는다. 혼자서는 대부분의 전자 비트는 약하며 쓸모없이 소멸할 것이다. 함께라면, 주의깊고 굳센 공동체를 형성한다. 각각 마이크로비트의 깊이가 부족한 것은 건물에 걸쳐 광범위하게 집합적 영향을 만들어 인간에게 까지 미치는 공동망에 의해 보완된다.
Not only would rooms and halls have embedded intelligence and ecological fluidity but entire streets, malls, and towns. Weiser uses the example of words. Writing, he says, is a technology that is ubiquitously embedded into our environment. Writing is everywhere, urban and suburban, passively waiting to be read. Now imagine, Weiser suggests, computation and connection embedded into the built environment to the same degree. Street signs would communicate to car navigation systems or a map in your hands (when street names change, all maps change too). Streetlights in a parking lot would flick on ahead of you in anticipation of your walk. Point to a billboard properly, and it would send you more information on its advertised product and let its sponsor know what part of the street most of the queries came from. The environment becomes animated, responsive, and adaptable. It responds not only to you but to all the other agents plugged in at the time.
방과 홀만 지능과 생태적 유동성을 내장한 것이 아니라, 전 도로, 몰, 마을도 그럴 것이다. 와이저는 단어를 예로 든다. 그의 말에 따르면 쓰기는 우리 환경에 편재하도록 심어진 기술이다. 쓰기는 어디에나, 도시와 교외에 있으며 피동적으로 읽혀지길 기다린다. 와이저는 제안한다. 구축된 환경에 동일한 정도로 내장된 계산과 연결을 지금 상상해보자. 도로 표지판은 자동차 네비게이션이나 손에 든 지도와 소통할 것이다.(도로명이 바뀌면, 모든 지도도 바뀐다.) 주차장의 가로등은 발걸음을 예상하고 당신의 앞에서 미리 켜질 것이다. 광고판을 정확히 가리키면, 광고하는 제품에 대한 더 많은 정보를 보내 줄 것이다. 그리고 광고주가 문의의 대부분이 어느 도로에서 나오는 지 알게한다. 환경은 생생하고, 반응하고, 적응가능하게 된다. 당신에게 뿐만아니라 당시 접속된 다른 모든 행위자들에게도 응답한다.
One definition of a coevolutionary ecology is a collection of organisms that serve as their own environment. The flamboyant world of orchid flowers, ant colonies, and seaweed beds overflows with richness and mystery because the movie that each creature stars in features walk-ons and extras who are simultaneously acting as stars in their own movie filmed on the same lot. Every borrowed set is alive and liquid as the star is. Thus, the fate of a mayfly is primarily determined by the histrionics of neighboring frog, trout, alder, water spider, and the rest of stream life, each playing the environment for the other. Machines too will play on a coevolutionary stage.
공진화적 생태의 한 가지 정의는 자신들만의 환경으로서 이용하는 유기체들의 집합이다. 난초, 개미집, 해초 층의 화려한 세계는 풍부함과 신비함으로 넘친다. 왜냐하면 단역과 엑스트라가 동시에 영화에서 스타처럼 연기하고 있는 작품에서 각각의 생물체가 빛나는 영화는 같은 운명으로 촬영됐기 때문이다. 모든 빌려온 세트는 별이 그렇듯이 살아있고 유동적이다. 그래서 하루살이의 운명은 대체로 근처의 개구리, 송어, 갯노린재, 물거미, 기타 시내의 생물의 연기에 의해 결정된다. 각각은 다른 생물에 대한 환경 역할을 한다. 기계도 역시 공진화의 무대에서 활동을 할 것이다.
The refrigerator you can purchase today is an arrogant snob. When you bring it home it assumes that it alone is the only appliance in the house. It has nothing to learn from other machines in the building, and nothing it will tell them. A wall clock will tell you the time of day but not its manufactured brethren. Each utensil haughtily serves only its buyer without regard to how much better it could serve in cooperation with the other items around it.
An ecology of machines, on the other hand, enhances the limited skills of dumb machines. The chips imbedded in book and chair have only the smartness of ants. They’re no supercomputer; they could be manufactured now. But by the alien power of distributed being, sufficient numbers of antlike agents can be lifted into a type of colony intelligence by connecting them in bulk. More is different.
오늘날 당신이 구입할 수 있는 냉장고는 오만한 속물이다. 냉장고를 집에 들여놓으면 그것은 자신만이 집에서 유일한 가전제품이라고 생각한다. 건물내에서 다른 기계로부터 배울것이 없고, 알려 줄 것도 없다. 벽시계는 당신에게 하루의 시간을 알려줄 것이지만, 형제 제품들에게는 알려주지 않는다. 각각의 기구는 거만하게 오로지 구매자를 위해서만 일을 한다. 주위의 다른 기구들과 협력해서 얼마나 더 잘 일할 지에 대한 고려는 없다. 한편, 기계의 생태는 멍청한 기계의 제한된 기술을 향상시킨다. 책과 의자에 내장된 칩들은 개미의 똑똑함만을 갖고 있다. 그것들은 슈퍼컴퓨터가 아니다. 지금은 제조될 수 있지만. 하지만 분산된 개체의 외래적 힘에 의해, 충분한 수의 개미같은 행위자는 뭉텅이로 연결됨으로써 주거지 지능의 유형으로 올라갈 수 있다. 더 많아지면 달라진다.
Collaborative efficiency, however, has a price. An ecological intelligence will penalize anyone new to the room, just as a tundra ecology will penalize anyone new to the arctic. Ecologies demand local knowledge. The only folks who know where the mushrooms bloom in the woods are native sons. To track wallabies through the Australian outback you want a local bush ranger as a guide.
Where there is an ecosystem, there are local experts. An outsider can muddle through an unfamiliar wilderness at some level, but to thrive or to survive a crisis, he’ll require local expertise. Gardeners regularly surprise academic experts by growing things they aren’t supposed to be able to grow because, as local experts, they tune into the neighborhood soil and climate.
그러나 협력적 효율성은 비용이 든다. 생태적 지능은 그 방에 새로 들어온 사람에게는 불리함을 줄 것이다. 툰드라의 생태가 남극에 새로 들어온 사람에게 불리함을 주는 것처럼 말이다. 숲에서 버섯이 자라는 곳을 아는 사람들만이 원주민 자손들이다. 호주의 오지를 누비며 왈라비를 좇기 위해 안내자로 현지의 삼림거주민이 필요하다. 생태계가 있는 곳엔 현지 전문가가 있다. 외부인은 일정 수준으로 낯선 황무지를 그럭저럭 헤쳐나갈 수 있지만, 잘 해내거나 위기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현지의 전문지식이 필요할 것이다. 정원사는 키울 수 있으리라 여겨지지 않은 것들을 키워서 정기적으로 학문적 전문가를 놀래킨다. 왜냐하면 현지 전문가로서 그들은 인근의 토양과 기후에 맞추기 때문이다.
The work of managing a natural environment is inescapably a work of local knowledge. A roomful of mechanical organisms improvising with each other demands a similar local knowledge. The one advantage snooty old Refrigerator had was that he ignored everyone equally, owner and visitor alike. In a room enlivened by a colony intelligence, visitors are at a disadvantage. Every room will be different; indeed, every telephone will be different. Because the new phones will merely be one node of a far larger organism—linking furnace, cars, TVs, computers, chairs, whole buildings—whose own behavior will hinge on the holistic sum of everything else going on in the room. The behavior of each will particularly depend on how its most frequent user employs it. To visitors, the indefinite beast of a room will seem to be out of control.
자연적환경을 관리하는 작업은 피할 수 없이 현지 지식의 작업이 된다. 서로에게 즉흥적으로 반응하는 방 가득한 기계적 유기체들은 유사한 현지 지식을 요구한다. 건방진 고참 냉장고가 가진 한가지 잇점은 주인이나 손님 똑같이 모두를 동등하게 무시했다는 것이었다. 주거지 지능에 의해 활기를 띤 방 안에서 손님은 불리한 위치에 있다. 모든 방은 달라질 것이다. 정말로 모든 전화는 달라질 것이다. 왜냐하면 새로운 전화는 단지 훨씬 큰 유기체의 한 마디에 지나지 않을 것이다. 난방, 자동차, TV, 컴퓨터, 의자, 건물 전체와 연결된, 유기체의 고유한 행위는 방에서 진행되는 여타 모든 것의 총합에 달리게 될 것이다.각각의 행위는 특히 사용자가 얼마나 가장 빈번하게 사용하느냐에 달릴 것이다. 손님에게 방의 막연한 짐승은 통제불능으로 보일 것 같다.
Adaptable technology means that technology that will adapt locally. The logic of the network induces regionalism and localism. Or to put it another way, global behavior entails regional variety. We see evidence of the shift already. Try using someone else’s “smart” phone. It is already either too smart, or not smart enough. Do you dial “9” to get out? Can you punch any button for a line? How do you (gulp!) transfer a call? Only the owner knows for sure. The local knowledge needed to fully operate a VCR is legendary. Just because you can preprogram yours to record The Prisoner reruns doesn’t in any way mean you can handle your friend’s.
적응적 기술이 의미하는 바는 기술이 현지적으로 적응하리라는 것이다. 네트워크의 로직은 지역주의와 지방색을 유인한다. 또는 다른 말로 하자면, 글로벌 행위는 지역적 다양성을 수반한다. 우리는 그 변이의 증거를 이미 보고 있다. 다른 사람의 "똑똑한" 전화를 사용해보자. 그것은 이미 너무 똑똑하거나 충분히 똑똑하지 않다. 나가기 위해 "9"를 돌려야 하나? 연결하기 위해 아무버튼이나 때릴 수 있나? 어떻게 (꿀꺽!) 전화를 돌릴 수 있나? 주인만이 확실히 안다. 현지 지식은 비디오를 완벽하게 작동하는데 필요한 현지지식은 전설적이다. 재방중인 죄수 영화를 녹화하기 위해 당신의 비디오를 사전프로그램할 수 있는 것이 어떤식으로든 당신의 친구 것을 다룰 수 있다고 의미하지 않기 때문이다.
Rooms and buildings will vary in their electronic ecology, as will appliances within a room, since they all will be aggregations of smaller distributed parts. No one will know the idiosyncrasies of my office’s technology as well as I will. Nor will I be able to work another’s technology as easily as my own. As computers become assistants, toasters become pets.
When the designers get it right, the coffee machine that an impatient visitor tries to use will default to “novice mode” when it senses desperate attempts to make it work. Mr. Coffee will cop to the situation by engaging only the five basic universal appliance functions that every school child will know.
방과 건물은 전자적 생태에서 다양하게 될 것이다. 방 안의 기기들처럼. 그것들은 모두 더 작은 분산된 부분의 집합체가 될 것이다. 나뿐만 아니라 누구도 내 사무실의 기술의 특이성에 대해 알지 못할 것이다. 또한 다른 사람의 기술을 작동하는데 내것처럼 쉽게 할 수 없을 것이다. 컴퓨터가 조수가 되는 것처럼, 토스터기는 애완용이 된다. 디자이너가 제대로 하면 인내심없는 방문자가 사용하려는 커피머신은 "초심자 모드"에 대해 임무를 수행하지 않을 것이다/ 그것이 작동시키려는 필사적인 시도를 감지하면. 미스터 커피는 모든 어린 학생들이 알 5개의 기본 보편적인 기기 기능만 관련되어 그 상황에 대해 cop할 것이다.
But I find the emerging ecology in its earliest stages already daunting to strangers. Since computers are the locus where all these devices hail from and head toward, we can see in them now the alienness of unfamiliar complex machines. It doesn’t matter how acquainted you are with a particular brand of computer. When you need to borrow someone else’s, it feels like you’re using their toothbrush. The instant you turn a friend’s computer on, it’s there: that strange arrangement of familiar parts (why do they do it like that?), the whole disorienting logic of a place you thought you knew. You kind of recognize it. There’s an order here. Then, a moment of terror. You are...peering into someone else’s mind!
하지만 나는 낯선자를 이미 기죽게 하는 최초 단계에서 창발하는 생태를 발견한다. 컴퓨터는 모든 이런 장치들이 밀려 나오고 앞으로 나가는 장소다. 우리는 이제 그것들 안에서 낯선 복잡한 기계의 외계성을 볼 수 있다. 특정 상표의 컴퓨터와 얼마나 친숙한지는 문제가 안된다. 다른사람의 것을 빌려야 할 때, 다른 사람의 칫솔을 사용하는 느낌이다. 당신이 친구의 컴퓨터를 켜자마자 그렇다. 익숙한 부분의 낯선 배열(왜 그들은 그렇게 할까?) 당신이 안다고 생각했던 위치의 전체의 혼란스러운 로직. 당신은 그런 식으로 인지한다. 여기에 질서가 있다. 그 다음엔 공포의 순간이다. 당신은... 다른 사람의 마음을 엿보고 있다.
The penetration goes both ways. So personal, so subtle, so minute is everyone’s parochial intelligence of their own computer’s ecology, that any disturbance is alarming. Apebble dislodged, a blade of grass bent, a file moved. “Someone has been in my compu-room! Iknow it!”
There will be nice-dog rooms and bad-dog rooms. Bad-dog rooms will bite intruders. Nice-dog rooms will herd visitors to someplace safe, away from places where real harm can be done. The nice-dog room may entertain guests. People will acquire reputations on how well-trained their computers are and how well-groomed their computational ecology is. And others will gain notoriety for how fiercely wild their machinery is. There are sure to be neglected areas in large corporations someday where no one wants to work or visit because the computational infrastructure has been neglected to the point that it is rude, erratic, swampy (although brilliant), and unforgiving, yet no one has time to tame or retrain it.
Of course there is a strong counterforce to keep the environment uniform. As Danny Hillis pointed out to me, “The reason we create artificial environments instead of accepting natural ones is that we like our environments to be constant and predictable. We used to have a computer editor that let everyone have a different interface. So we all did. Then we discovered it was a bad idea because we couldn’t use each other’s terminals. So we went back to the old way: a shared interface, a common culture. That’s part of what brings us together as humans.”
Machines will never go completely on their own way, but they will become more aware of other machines. To survive in the Darwinian marketplace, their designers must recognize that these machines inhabit an environment of other machines. They gather a history together, and in the manufactured ecology of the future, they will have to share what they know.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