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 몸에는 콩팥(신장)이 두 개 있습니다. 콩팥의 위쪽에 조그마하게 붙어 있는 것이 있는데 그것이 부신입니다. 신장에 붙어 있어서 부신이라고 부르는 것이지요. 이 부신은 구조적으로, 그리고 기능적으로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안쪽에 들어 있는 수질과 겉에 있는 피질로 말입니다. 부신의 수질과 피질에서는 모두 호르몬을 만들어내는데 피질에서 만들어지는 호르몬이 부신피질호르몬입니다.
부신피질호르몬은 우리 몸에서 여러가지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전해질과 수분의 균형 유지, 당분의 대사, 면역 등 여러 군데 관여하고 있지요. 부신피질호르몬과 비슷한 물질은 자연계에도 많이 존재하고 있고 한약재로 쓰이는 것에도 이런 물질을 포함한 것이 상당수 있다고 하는데 이 호르몬을 흉내낸 약이 '부신피질호르몬제'입니다.
부신피질호르몬제는 우리 몸에 생기는 여러가지 병의 치료에 요긴하게 쓰이는 데 주사제, 먹는 약, 바르는 약, 안약 등 여러가지 형태가 있고 질병의 치료에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모든 약이 그렇듯이 부신피질호르몬제는 잘못 사용하거나 함부로 사용할 경우에 여러가지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는데 부신피질호르몬제의 부작용은 생각보다 심각한 것이 많습니다. 부신피질호르몬제를 먹는 약이나 주사의 형태로 사용할 때 나타날 수 있는 부작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수면장애, 정서장애, 식욕증가, 체중증가, 고혈압, 당뇨병, 소화성 궤양, 여드름, 체형변화, 골괴사, 근육병, 상처치유지연, 감염악화, 골다공증, 피부위축, 동맥경화, 성장장애, 지방간, 정신병, 뇌압증가, 백내장, 녹내장, 췌장염, 고지혈증, 혈관염, 그 외 다수
이런 심각한 부작용이 있으므로 부신피질 호르몬제는 꼭 필요한 경우에만, 효과를 나타내는 최소의 양으로, 가능하면 단기간 동안 의사의 지시에 의해서만 사용하여야 합니다. 그런데 우리나라에서는 이런 심각한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는 약을 누구나 제한없이 구해서 먹을 수 있게 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부신피질호르몬제를 먹고 생기는 합병증으로 고생하거나 병원을 찾는 사람이 많은 것이 현실입니다.
이런 약을 누구나 함부로 사서 먹지 않도록 제도적으로 장치를 만드는 것이 우선해야 할 일이지만 그런 제도가 만들어질 때까지는 국민각자가 자신의 건강을 생각하고 부신피질호르몬제를 함부로 사용하지 않아야 할 것입니다.
부신피질호르몬제를 먹을 때의 식사법
부신피질호르몬제를 장기간 복용하는 경우에는 부작용을 줄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점에 유의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1. 체중이 느는 것을 막기 위하여 음식의 양을 조절하는 것이 좋습니다. 가능하면 저지방 고단백식을 드시는 것이 좋습니다.
2. 몸이 붓거나 혈압이 올라가는 것을 막기 위하여 음식을 짜지 않게 드시는 것이 좋습니다.
3. 골다공증을 막기 위하여 칼슘이 풍부한 음식을 드시는 것이 좋습니다. 하루 1200 mg 이상의 칼슘을 드실 것을 권합니다. 마찬가지 이유로 적절한 운동이 필요합니다.
출처...한빛내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