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산파(華山派)
-구파일방중의 하나이며 또한 오악검파(五嶽劍派)의 수장... 구파중에서도 제법 높은
자리를 차지하며, 검공에 조예가 깊어 화산검파(華山劍派)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섬서성(陝西省) 화음현(華陰縣) 화산(華山)의 서쪽에 있는 연화봉 정상.
-옥녀지 - 상궁 앞에 위치. 하늘의 옥녀가 달 밝은 밤이면 강림하여 머리를 감았다
한다.
-고장 - 전설에 의하면 천시인 거령이 자신의 초능력을 과시하기 위해 황하 가운데를
가로막고 있던 화산을 손발로 뒤흔들어 두동강이를 내버렸다. 화산이 갈라지며 그
사이로 황하가 흐르게 되었고 화산에는 그 흔적이 남게 되었다. 이것을 고장이라 한다.
-도림새 - 전설에 의하면 주의 무왕이 천하를 평정할 때 동원하였던 여덟 필의 명마를
유명한 어자(말몰이꾼)인 조부가 잡아 주목왕에게 바쳤다고 한다. 주목왕은 이 명마들을
화산의 북쪽에 있는 수 백리에 달하는 광대한 수풀에 방목하여 길렀는데 이 수풀은 거의
복숭아나무로 뒤덮혀졌다. 이곳이 바로 고대의 유명한 도림새라고 한다.
-화산은 중원오악(中原五嶽)의 하나이고 그 중 서악(西嶽)에 해당되며
진령산맥(秦嶺山脈)의 북쪽지맥으로서 동서(東西)로 달린다. 이 화산의 서쪽에는
화산(小華山)이있기 때문에 이를 구분하여 태화산(太華山)이라고 부르기도 하며,
옛 사람들은 또한 오악을 오경(五經)에 비유하여 화산을 춘추(春秋)라고 부르기도 했다.
산손정 (山蓀亭), 도림평(桃林坪), 희이갑(希夷匣), 사몽평(莎夢萍), 회심석(回心石),
선인봉(仙人峰), 낙안봉(落雁峰), 연화봉(蓮花峰) 등이 있다. 연화궁의 정상에 무림의
정통일파(正統一派)인 화산파의 근원지 상궁(上宮)과 옥녀지(玉女池)라는 한담(寒潭)이
있다.
-본래 천하의 명산인 수려(秀麗)한 서악(西嶽) 화산(華山)의 정기(精氣)를 배경삼아
각 봉우리에 뿌리를 내리고 성장하던 세력들이 세월의 흐름에 따라 자연스럽게 부딪치고
통합되어 하나의 통일된 문파를 이루게 되었고, 주된 흐름은 속가(俗家)와 도가(道家)가
합쳐진 정통적(正統的)인 검파(劍派)라고 할 수 있으며, 검종(劍宗)과 기종(氣宗) 등의
여러 계파가 이어지기도 했다.
-상궁(上宮), 자하각(紫霞閣), 소요동(逍遙洞)
화산파의 구성
문주를 중심으로서 1대제자부터 4대제자까지로 구성되어 있다.
보통 문주가 다음 문주를 지목하면 그대로 따르는 방식으로 되어있어서 문주의 권위는
실로 대단하다고 할수있겠다. 특별히 젊은 화산파의 제자중에서 무공과 인품이 뛰어난
제자를 매화검수라고 부르기도 한다.
매화검수는 전 무림이 미래의 유망주로 알아주기 때문에 매화검수라고 무림에
불리워진다면 화산파내에서의 총애를 독차지하게 되고 대부분 나중에 화산파의
장문인으로 등극하게 된다
화산파의 독자적인 내공심법 "자하신공"
자하신공은 검법만을 주로 다루는 화산파에서 드물게 있는 내공심법으로서 개방의
타구봉법같이 장문인에게만 내려오는 독자적인 심법이다.
이 신공을 일으킬때 온몸에 자색의 기류가 생기는 것이 특징으로 매우 아름답다고
한다. 이 자하신공을 일으키면 검에 검기가 맺히는것은 기본이며 장력도 엄청나게
증가한다. 다만 장문에게만 전수되는거이 아쉬울뿐이다
검법(劍法)
- 매화검(梅花劍), 옥녀검(玉女劍), 양오검(養吾劍), 희이검(希夷劍), 숙녀검(淑女劍),
삼선검(三仙劍), 상청검(上淸劍), 육합검(六合劍), 태을검(太乙劍), 배운검(排雲劍),
소청검(少淸劍), 뇌전검(雷電劍), 대라검(大羅劍), 현천검(玄天劍), 매농검(賣弄劍),
화운검(火雲劍), 천류검(天流劍), 홍주검(紅蛛劍), 일자혜검(一字慧劍),
광풍쾌검(狂風快劍), 오행매화검(五行梅花劍), 무극태을검(無極太乙劍),
매화삼릉검(梅花三凌劍), 매화영롱검(梅花玲瓏劍), 구궁반천검(九宮反天劍),
단천열화검(斷天熱火劍), 유성추월검(流星追月劍), 천류신화검(天流神火劍) 등...
부법(斧法)
- 부(斧)는 도끼를 말한다... 도끼는 보통 부(斧)와 월(鉞)로 나뉘는데, 부는 개중 좀
작은 손도끼 비슷한걸 말하고, 월은 전쟁터나 산을 깎을때 쓰는 커다란 도끼를 말한다...
마운부(摩雲斧) : 도끼가 가지는 패도(覇道)적인 면 때문에 정파의 무공중에 부법은
거의 없지만, 이 화산의 마운부는 좀 특이한 경우로 나무꾼 출신의 한 도인이 손에
익은 도끼를 이용하고저 만들었다 함... 어떤 소설이었는지는 기억안남... -_-;
경공(經功) 및 보법(步法)
- 암향표(暗香飄), 오행매화보(五行梅花步) 등...
내공(內功) 및 심법(心法)
자하신공(紫霞神功), 옥함신공(玉函神功), 냉천한월공(冷天寒月功) 등...
권법(拳法) ◈
매화권(梅花拳),
복호권(伏虎拳)/화산파의 비전 권법의 한 가지. 호랑이를 굴 복시킨다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강맹한 위 력이 일품이다.
장공(掌功)
낙화추영장(落花追影掌), 매화청심장(梅花淸心掌), 태을미리장(太乙迷離掌) 등...
지공(指功)
매화오품지(梅花五品指) 등...
조공(爪功)
응조공(鷹爪功), 천응조(天鷹爪), 호조수(虎爪手) 등...
수공(手功)
난화수(亂花手), 매화산수(梅花散手), 산화무영수(散花無影手) 등...
진법(陳法)
매화검진(梅花劍陳), 옥청검진(玉淸劍陳), 양의합벽검진(兩儀合劈劍陳),
반양의도진(反兩儀刀陳), 육합검진(六合劍陳), 만화천검진(萬花天劍陳),
삼재검진(三才劍陳), 칠성검진(七星劍陳), 십방매화검진(十方梅花劍陳) 등...
★화산의 무공중에 특이한 것이 있다... 그 하나는 위에 언급한 응조공(鷹爪功)으로,
조공(爪功)의 찍고 할퀴는 기능과 금나수(擒拿手)의 잡는 기능을 합쳐놓은 것이다..
또 하나는 생사응사박(生死鷹蛇搏)이라는 것으로 한손엔 응조공을, 다른 한손으로는
선법(扇法)을 펼치는 것인데, 이 선법의 공격로는 뱀이 먹이를 공격하는 모습을
본땋은 것이다...
생사응사박을 펼치면 그 기세가 마치 매와 뱀이 서로 다투는 듯 하다 해서 이런 이름이
붙었다 한다... 의천도룡기에 등장...
화산검법
화산검법은 아름다운것이 특징이고 특히 매화를 모델로 한 초식이 많다. 또한 여타
문파라는 달리 권각법이나 창법보다는 검법을 주로 한다는게 또 하나의 특징이다.
역시 검법만을 주로 가르치다 보니 뛰어난 검법도 많이 나와서 독고구검과
양의추월도법이라는 걸출한 검법을 만들어냈다. 독고구검은 전적으로 적의 헛점을 찾아
분쇄하는 검법이고 양의추월도법은 검법이라기 보다는 검진으로 보는쪽이 옳을듯 싶은데.
특이 한점은 이 검진은 단 두명이 펼친다는 점이다. 이 양의추월도법은 음양설에
그 바탕을 두고 음양의 화합과 보완을 검법에 융화 시켜서 거의 완벽하다시피한
공격과 방어를 한다. 소수의 인원으로 펼치는 진법중에서도 이 양의추월도법은 가장
적은 인원으로 펼치는 진법이면서도 가장 강력한 진법이다.
이십사수매화검법(二十四手梅花劍法)
-매화노방(梅花路傍)
-매화접무(梅花蝶舞)
-매화토염(梅花吐艶)
-매개이도(梅開利導)
-매화낙섬(梅花落暹)
-매화낙락(梅花落落)
-매화빈분(梅花頻紛)
-매화혈우(梅花血雨)
-매화구변(梅花九變)
-매화만개(梅花滿開)
-매화인동(梅花忍冬)
-매화점개(梅花漸開)
-매화점점(梅花漸漸)
-매화난만(梅花爛漫)
-낙매분분(落梅紛紛)
-낙매성우(落梅成雨)
-매영조하(梅影造河)
-매인설한(梅忍雪寒)
-매향성류(梅香成流)
-매향침골(梅香浸骨)
-매향취접(梅香醉蝶)
-매유청죽(梅遊靑竹)
-매향성류(梅香成流)
-매화만리향(梅花萬里香)
십사수매화검법(十四手梅花劍法)
-매류통천(梅流通天)
-매영만천(梅影滿天)
-냉매섬개(冷梅閃開)
-냉매섬락(冷梅閃落)
-한매동개(寒梅冬開)
-한매청고(寒梅淸高)
-설매창연(雪梅蒼然)
-설매제한(雪梅制寒)
-오매쟁속(五梅爭速)
-칠매쟁수(七梅爭秀)
-노매미려(老梅美麗)
-동매잠춘(冬梅潛春)
-선매청고(仙梅淸孤)
-매화란구주(梅花亂九州)
칠절매화검(七絶梅花劒)
-신산지화(辛酸之花)
-향류천리(香流千里)
-향만천지(香滿天地)
-매영난세(梅影亂世)
-낙매여우(落梅如雨)
-만화성막(萬花成幕)
-암향부동화(暗香不凍花)
독보적인 검법 독고구검 (獨孤九劍)
여기서 이글을 보시는 분중에 독고구검을 모르시는 분은 안 계실것입니다. 그 정도로
유명한 독고구검은 풍청양대협에게서 영호충에게 전수되어졌으며 영호충대협은
이 독고구검으로 일세를 풍미하였다고 한다(김용님 소호강호)
모두 9개의 초식으로 되어있는데 각각 한가지씩의 무기를 상대한다고 한다. 즉 상대가
어떤 무기를 쓰더라도 그에 대해서 상대할 초식이 있다는 뜻이된다. 단 강기를 상대할
초식이 없는게 아쉬우나. 강기를 일으킬만한이는 천년에 한번 나올까 말까하기 때문에
검법을 창시한 이는 강기는 염두에 두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참고 : 독고구검(獨孤九劍)
김용의 소설 《소오강호(笑傲江湖)》에 등장하는 검법으로 화산파 대제자인 영호충이
사과애에서 면벽중에 있을 때 검종(劍宗)의 일파인 사숙조 풍청양에게 익히게 된다.
한번도 져 본적이 없었다는 독고구패(獨孤求敗)가 창시한 검법으로 총 9식으로
이루어진다. 독고구검은 앞으로 나아가는 초식만 있을뿐 뒤로 물러나는 초식은 없다.
즉 매초식마다 모두 공격하는 것이고 적으로 하여금 부득불 수비를 하도록 만든다.
제일초 總訣式 (총결식): 심법총강(心法總綱)
제이초 破劍式(파검식): 전문적으로 천하 각 문파의 검법을 파해시키는 데 사용.
제삼초 破刀式(파도식): 단도(單刀), 쌍도(雙刀), 유엽도(柳葉刀), 귀두도(鬼頭刀),
대감도 (大감刀), 참마도(斬馬刀) 등의 각종 도법 파해. 가벼운 것으로 무거운 것을
제어하고 재빠름으로 느림을 제압하는 초식.
제사초 破槍式(파창식): 장창(長槍), 대극(大戟), 사모(蛇矛), 제미곤(齊眉棍),
낭아봉(狼牙棒), 백납간(白蠟桿), 선장(禪杖), 방편산(方便산) 등의 장병 기 파해하는 초식.
제오초 破鞭式(파편식): 해강편(解鋼鞭), 점혈궐(點穴궐), 괴자(拐子),
아미자(峨眉刺), 비수(匕首), 도끼(斧), 철패(鐵牌), 팔각퇴(八角槌), 철추(鐵椎)
등의 단병기 파해
제육초 破索式(파색식): 장삭(長索), 단편 (短鞭), 삼절곤(三節棍), 연자창(鍊子槍),
철련(鐵련), 어망(漁網), 비추류성(飛鎚流星) 등의 연병기 (부드러운 무기) 파해하는
초식.
제칠초 破掌式(파장식): 권각지장(拳脚指掌) 사용무공 상대. 장권단타(長拳短打),
금나점혈(擒拿點穴), 응조호조(鷹爪虎爪), 철사신장(鐵沙神掌) 등의 권각법, 파해하는
초식.
제팔초 破箭式(파전식): 제반암기(諸般暗器) 파해하는 초식으로 먼저 바람소리로 암기를
분간 하는 수법을 터득해야한다. 그래야 한 자루 장검으로 적이 쏘아대는 여러 가지
암기를 쳐서 쓰러뜨릴 뿐 아니라 상대방의 힘을 빌려 오히려 공격할 수 있고 적이
던진 암기를 되돌려 보내 적을 해칠 수가 있다
제구초 破氣式(파기식): 상승내공을 가진 적을 상대하는 초식으로 신(神)이 맑아야
하며 오로지 정신으로 적을 제압해야 한다.
▲ 독고구검 상세히설명 ▲
독고구검은 모두 3초식으로 이루어졌읍니다.
제 일초식은 삼백육십 초식의 변화로 이루어져있기에 만약 일초식이라도 잊게되면 제
삼초식을 펼칠수 없게됩니다
이 삼초식을 독고구검의 총결(總訣)이라 합니다.
그러니까 소설에서 말한 아홉 가지의 변화된초식이란 말이 안되는 이야기입니다.
일초식인 총결식에는
귀매추무망(歸妹趨無妄) 무망추동인(無妄趨同人)
동인추대유(同人趨大有) 갑전병(甲轉病)
병전경(丙轉庚) 경전계(庚轉癸)
자축지교(子丑之交) 오미지교(午未之交)
풍뇌(風雷)가 일변이고 산택(山澤)이 일변이요
수화(水火)가 일변입니다.
따라서 건곤상격(乾坤相激) 진태상격(震兌相激) 이손상격(離巽相激)
삼증이성오(三增而成五) 오증이성구(五增而成九) 가 있읍니다.
제 이초식은 파검식(破劍式)인데 전문적으로 천하각파의 검법을 깨뜨리는데 사용하는
것이어요.
제삼초는 파도식(破刀式)인데 전문적으로 칼이나 쌍칼 유엽도(有葉刀) 귀두도(鬼頭刀)
대감도(大坎刀),참마도(斬馬刀)등 여러가지 도법을 깨뜨리는데 사용하는 겄입니다.
가벼운 것으로 무거운 것을 제어하고 재빠름으로 느림을 제압하는 것이예요.
그리하여 총결식으로 부터 파검식,파도식
파창식(破槍式), 파편식(破鞭式), 파색식(破索式), 파장식(破掌式), 파전식(破煎式),
제구검 파기식(破氣式)으로 나뉘어지고
파창식은 장창, 대극(大戟), 사모(蛇矛), 제미곤(薺眉棍), 낭아봉(狼牙棒), 백락간(白落桿),
선창, 방편산등 여러가지 무기를 깨뜨리는 방법이있죠.
파편식은 철편, 철간(鐵磵), 아미자, 비수, 팔각추, 괴자(拐子)등의 짧은 무기를 깨뜨리는
초식입니다.
파색식은 장색(長索), 연편, 삼철곤, 연자창, 철연, 어망, 비추유성(飛鎚流星)등의
부드러운 무기를 깨뜨리는 초식이고요.
이 초식이 또 무궁무진한 초식을 포함하고 있답니다.
파전식은 여러암기를 파헤치는 초식인데요
바람소리 만으로도 암기의 종류를 분간할수 있어야해요
영호충이 낡은절에서 사모와 사부를 구하기위해 10여명의 흑도의 고수들을 일검에 장님으로
만든 초식이 이 파전식이죠
적이 던진암기를 오히려 되돌려 상대방에게 날아가도록 하는 법도있죠.
이 독고구검은 독고구패가 이삼십여년만에 고심끝에 창안한 검법이고요
이 검법으로 싸워서 저본적이 없는 검의 모든 이치를 담고있읍니다.
그리고 독고구검에는 방어초식이 없읍니다
독고구검엔 방어란 자체가 허용되지 않커든요.
독고구패가 한번 저보는것이 소원이었다는말이 바로 독고구검의 뛰어남을 나타내는 말이
아닐까요
무림의 전설적인 검법인 규화보전만이 독고구검의 상대가 될것같아요.
여러분이 독고구검독고구검 하는이 검법의 의문을 조금이나마 풀었으리라 생각합니다
그리고 제일중요한 무초로 유초를이긴다 라는 말이 바로 독고구검을 읽혔을때의 최고경지의
수법이어요
내초식이 무초가되면 적이 부술수 없는 간단하면서 심후한 이치지요
■신조협려에서의 독고구검에대해
그의 무덤엔 세자루의 칼이 있었읍니다
제일검엔
<<강함과 사나움이 무시무시하여 아무리 강한것이라도 잘리지 않는 것이 없다.
약관(弱冠)이전에 하삭(河朔)의 군웅과 겨룰 때 사용하도다.>>
일검은 약4자정도 되는데 푸른빛이 번뜩여 그야말로 이기(利器)예요.
<자미연검(紫薇軟劍). 30세이전에 사용하던 것으로 불길하게도 의로운 무사를 실수로
헤쳐서 깊은 골짜기에 버리도다.>
이와같이 첫번째 독고구패가 약관의 나이엔 자미연검을 썼다는군요.
이검이 대단히 강할것 같은데 버렸다는군요
제이검은
<<중검(重劍)은 날이 없고(無鋒) 대교(大巧)는 불공(不工)이라, 40세 이전에 이것을 믿고
천하를 횡행하도다.>>
위글자를 <중검무봉 대교불공(重劍無鋒 大巧不工)>이라합니다.
이 현철중검(鉉鐵重劍)은 검푸른 빛을 띠고 있으며 3자 정도되고 중량은 70~80근이상이
되는 검 양쪽날은 무디고 검끝은 둥글둥글하게 생겼죠.
제삼검은
<<40세 이후에는 사물에 얽매이지 않아 초목죽석(草木竹石)을 모두 검으로 삼을수 있었다.
이로부터 수련을 거듭하여 점차 검이 없이 검을 이기는 경지에까지 도달하도다.>>
이삼검은 목검이라 검의경지가 최강이되면 목검으로도 검의 위력을 낼수있다는 거여요.
화산파무공종류
자하신공(紫霞神功)
육합신장법(六合神掌法)
칠십이초응사생사박
신행백변(神行百變)
옥녀금침십삼검
옥녀심공(玉女心功)
매화장법(梅花掌法)
난화불혈수(蘭花拂穴手)
구궁보(九宮步)
백팔식광풍쾌검
자하강기(紫霞鋼氣)
낙영장법(落英掌法)
소엽퇴법(掃葉腿法)
매화삼십육신검형
구궁검법(九宮劍法)
죽엽수(竹葉手:장법)
자하지(紫霞指)
표미각(豹尾脚)
육합신검법
낙영검법(落英劍法)
옥수십이식(玉手十二式)
점의십팔질(點衣十八秩)
십단금(十段錦:신법)
옥녀소심검법
숙녀검(淑女劍)
이십사수매화검법
육합검
이형권
비형권
화형권
죽엽수
명령장법
태청강기
육합구소신공
칠앵검진
금은십삼탈
청운신법
이십사수나혈비기
목상진
태을전진미리장
복호권
십사수매화검법
반양의도법(反兩儀刀法)
희이검(希夷劍)
양오검(養吾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