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제헌절의 유래
제헌절은 1945년8월15일 일본의 항복으로 우리나라가 해방이 되어 정부를 수립 하려고
1948년5월10일 총선거(국회의원 선거)를 실시하여
이때 선출된 제헌의원이 우리나라의 근간인 헌법을 제정하고 공포한날(1948년7월17일) 입니다
이 제헌의원이 초대 대통령을 선출하여 이승만대통령이 선출 되었고
우리나라는 9차에 걸쳐 개정 하였다
제헌절 노래 가사
비 구름 바람 거느리고인간을 도우셨다는 우리 옛적삼백 예순 남은 일이하늘 뜻 그대로였다삼천 만 한결같이 지킬 언약 이루니옛 길에 새 걸음으로 발 맞추리라이 날은 대한민국 억만 년의 터다대한민국 억만 년의 터
3. 제헌절의 뜻
대한민국 최초의 헌법이 만들어질 날을 기념하는 날
제헌절 (制憲節)[명사] 헌법이 졸포된 것을 기념하는 국경일 [매년 7월 17일]
4. 제헌절의 의미
제헌절은 7월 17일 <헌법>을 공포한 날이랍니다.
자유민주주의를 기본으로 한 헌법은 일본으로부터 해방된지 3년 뒤인 1948년 총선거를 실시하여
국회의원을 뽑고, 여기서 뽑힌 국회의원들이 모여 헌법을 만들어
자주독립의 떳떳한 민주국가임을 세계만방에 공포한 것을 기념하는 날이 제헌절이에요.
5.우리가 할수있는 일.
1)국기를 단다!
2)제헌절에 대하여 공부를 한다.
3)제헌절에 대한 의미와 뜻을 가슴깊이 새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