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辛丑年 立春 2月 3日 11時59分. (입춘첩 문구 모음)
■ 입춘첩(立春帖)
立春(입춘)은 한 해의 첫 節日(절일, 節候절후, 節氣절기) 로 봄으로 들어서는 문턱 즉 곧 봄이 시작됨(봄 기운이 막 돋아남)을 뜻하며, 예부터 입춘을 맞아 새해의 安寧(안녕)과 幸運(행운), 除厄招福(제액초복), 大吉(대길), 多財(다재), 多慶(다경), 長壽 (장수), 無病無脫(무병무탈), 豊農(풍농), 辟邪(벽사) 등을 기원하는 갖가지 의례풍속이 행해졌으나 근래에 들어서는 가끔 立春祝(입춘축)을 붙이는 가정이 있을 정도이고 節日(절일)로서의 기능은 거의 찾아 볼 수 없는 실정이다.
立春祝(입춘축)은 春祝(춘축), 立春書(입춘서), 立春榜(입춘방), 春榜(춘방), 立春帖(입춘첩), 春帖(춘첩), 春帖字(춘첩자)라고도 합니다만 對句(대구)를 붙이기에 春聯(춘련) 또는 對聯(대련), 立春(입춘)에 붙이기에 立春帖(입춘첩), 門(문)에 붙이기에 門聯(문련), 문기둥에 붙이기에 楹聯 (영련), 일정한 크기에 標題(표제)를 찍기에 帖子(첩자)라고도 하는데, 일반적으로 立春帖(입춘첩), 春帖(춘첩)으로많이 불린다.
앞에서도 언급했지만 내용도 다양하고 글자 수도 다른데, 대개 賀禮(하례), 한해의 無事太平(무사태평)과 豊農(풍농), 安寧(안녕)과 幸運(행운)을 기원하는 내용과 어둡고 긴 겨울이 끝나고 봄이 시작되었음을 自祝(자축)하는 뜻을 담고 있으며, 龍(용), 虎(호) 등 單字(단자)에서부터 무려 19首(수)에 이르는 긴 춘첩〔魚 有鳳(어 유봉)의 〈十九日立春戱題春帖(십구일 입춘 희제 춘첩)〉〕도 있었다.
韓紙(한지)에 알맞은 내용을 써서 대궐에서는 門楣(문미), 대전의 문이나 기둥, 벽에 붙였으며, 양반가에서는 간혹 침실에도 붙였다고도 하며, 여염집에서는 대문이나 문설주, 기둥, 방문, 벽 이외에도 집안 곳곳(부엌, 중문, 사잇 문, 곳간, 광, 정자문, 사당문, 마루 창살문, 창고문 등)에 써 붙이고, 주로 對句(대구), 對聯(대련)으로 되어 있으며 單帖(단첩, 單句단구로 된 첩자)도 많은데, 다만 喪中(상중)인 가정에서는 써 붙이지 않는다.
참고로 중국에서는 立春(입춘)이 아니라 설에 써서 붙이는데, 문에 붙이기에 門帖(문첩), 문장이 對句(대구)를 이루기에 對聯(대련)이라고 용어를 주로 사용한다.
내용의 인용 출처를 보면 우리나라에선 崔 永年(최 영년)의『海東竹枝(해동죽지)』,柳 得恭(유 득공)의 京都雜志(경도잡지), 李 德懋 (이 득무)의 詩「歲時雜詠(세시잡영), 『推句集(추구집)』에서도 인용하고, 『論語(논어)』,『詩經(시경)』,『周易(주역)』등에서도인용하나 洪 錫謨(홍 석모)의『東國歲時記(동국세시기)』의 내용 중에서 가장 많이 인용한다.
중국에서는『夢梁錄(몽양록)』,『淮南子(회남자)』,『全唐書(전당서)』,『六韜(육도)』, 杜甫(두보)의 詩를 포함한 「唐詩」등에서 내용을 많이 인용하고 있으나 우리나라나 중국이나 전부 인용, 일부 인용, 글자나 단어, 對句(대구)를 자리바꿈 하거나 수정해 인용하면서 이래저래 재편집된 경우가 많고 집안의 家風(가풍)과 願望(원망) 등에 따라 내용이 달라지는 등 내용의 출처를 밝히기가 애매하고 상당히 어려운 실정이다.
입춘축은 붙이는 곳에 따라 내용이 각기 다르며, 많이 쓰는 글귀를 소개해 본다.
※立<설 립(입), 자리 위):① 서다.
㉠(멈추어, 똑바로, 일어, 확고히)서다.
㉡정해지다. ㉢이루어지다. ㉣존립하다. ㉥임하다.
㉦즉위하다. ㉧확립하다. ㉨출사하다.
②자리
③세우다.
㉠일으키다. ㉡수립하다. ㉢설립하다.
④곧, 즉시
• 立春大吉(입춘대길)
建陽多慶(건양다경)
입춘이 되니 크게 길하고
밝고 따스한 기운이 도니 경사스러운 일이 많이 생기기를 빈다는 뜻
• 立春大吉(입춘대길)
立志必成(입지필성)
봄이 되니 크게 길(吉)하고
뜻을 세우면 반드시 이루어진다는 뜻
• 立春大吉去千災(입춘대길거천재)
建陽多慶來百福(건양다경내백복)
봄이 오니 모든 일이 잘 되고 온갖 재앙은 가고 따스한 기운이 도니 경사스러운 일이 많아지고 만복이 오기를 빈다는 뜻
• 千災雪消(천재설소)
萬福雲興(만복운흥)
모든 재앙은 눈처럼 녹아 없어지고(사라지고)
만복이 구름처럼 일어나기를 빈다는 뜻
• 千災春雪消(천재춘설소)
萬福雲集起(만복운집기)
온갖 재앙은 봄눈처럼 사라지고
만복은 구름처럼 모여들기를 빈다는 뜻
• 去千災(거천재)
來百福(내백복)
온갖 재앙은 가고
만복이 오기를 빈다는 뜻
• 龍輸五福(용수오복)
虎逐三災(호축삼재)
용은 오복을 들여오고
호랑이는 재앙을 쫓아낸다(물리친다)는 뜻
• 千禍皆消滅(천화개소멸)
四時大吉祥(사시대길상)
모든 재앙은 다 소멸되고
늘 길하고 상서로운 날이 되기를 빈다는 뜻
• 百事大吉(백사대길)
萬事亨通(만사형통)
모든 일이 잘 되고
만사가 잘 되기를 빈다는 뜻
• 掃地黃金出(소지황금출)
開門萬福來(개문만복래)
땅(마당)을 쓰니 황금이 나오고
문을 여니 만복이 온다는 뜻으로,
부지런하면 금전이 넉넉하고
열린 문으로 많은 복이 들어오기를 빈다는 뜻
• 笑門萬福來(소문만복래)
家和萬事成(가화만사성)
웃음소리에 문으로 만복이 들어오고
집안이 화목하니 모든 일이 잘 되기를 빈다는 뜻
• 國泰民安(국태민안)
家給人足(가급인족)
나라가 태평하고 국민이 평안해지고 어느 집 사람이나 모두 살림이 넉넉하고 풍족하기를 빈다는 뜻
• 歲和年豊(세화연풍)
國泰民安(국태민안)
해마다 화평하고 풍년이 들고
나라는 태평하고 백성은 평안해지기를 빈다는 뜻
• 國有風雲慶(국유풍운경)
家無桂玉愁(가무계옥수)
나라에는 크게 번성하는 경사가 있고 가정에는 땔감과 먹을 거리 걱정 즉 큰 근심이 없기를 빈다는 뜻
※桂玉(계옥)
땔나무는 계수나무보다 더 귀하고 쌀은 玉(옥)보다 귀하단 뜻으로, 물가가 비쌈을 비유적으로 이르거나 연료와 양식을 귀하게 이르는 말
• 堯之日月 (요지일월)
舜之乾坤(순지건곤)
요임금 때의 세월과 순임금 때의 하늘과 땅으로 요순시대처럼 평화롭고 살기 좋은 세상이 되기를 빈다는 뜻
• 富貴安樂(부귀안락)
壽比金石(수비금석)
집은 부유하고 몸은 귀하여 편안하고 즐거우며, 수명은 쇠나 돌처럼 변함없이 장수하기를 빈다는 뜻
• 壽如山(수여산)
富如海(부여해)
수명은 산처럼 변함없이 오래며 재물은 바다처럼 풍족하고 쌓이라는 뜻
• 壽如山(수여산)
福如海(복여해)
산처럼 변함없이 오래 사시고 바다처럼 복을 많이 받으시라는 뜻
• 壽無堂(수무당)
福無極(복무극)
만세를 누리고 복은 끝이 없기를 빈다는 뜻
• 壽山福海(수산복해)
無患有福(무환유복)
수명은 산처럼 오래고 복은 바다처럼 많이 받고근심 걱정 없이 복많이 받기를 빈다는 뜻
• 壽比南山(수비남산)
福如東海(복여동해)
수명은 남산과 같고 복은 동해바다와 같다.
즉 수명은 산처럼 변함없이 오래고, 복은 바다처럼 많이 받으라는 뜻
• 禍福無門(화복무문)
惟人所召(유인소소)
화와 복은 따로 문이 있는 것이 아니라 모두 사람이 스스로 불러들이는 것이라는 뜻
• 與天無極(여천무극)
延年萬壽(연년만수)
하늘과 같이 끝이 없고 더욱 만수무강하시기를 빈다는 뜻
• 萬壽無疆(만수무강)
財數大通(재수대통)
만세를 누리고 좋은 일을 만나 운수가 크게 트이기를 빈다는 뜻
• 富貴榮華(부귀영화)
長樂百年(장락백년)
부귀영화로우며 평생 동안 즐겁기를 빈다는 뜻
• 父母千年壽(부모천년수)
子孫萬代榮(자손만대영)
부모님은 오래오래 장수하시고, 자손들은 오래도록 영화를 누리라는 뜻
▸『推句集(추구집)』<推句(추구) 12.>에서 따온 것임(1,2구)
◆『推句集(추구집)』: 유명한 시구(詩句)를 모아놓은 오언절구(五言絶句) 시집(60수)으로 작자는 미상이고 옛 속담, 풍자, 해학, 명언 등을 담고 있으며 누구나 즐거운 마음으로 가볍게 애송할 수 있는 초학서(初學書)인데, 부언하면 오언(五言)으로 된 좋은 대구(對句)를 뽑아 엮은 책으로 좋은 시구를 익힘으로써 아동들의 정서 함양과 사고력 발달 및시부(詩賦)의 이해와 문장력(文章力) 향상에 목적을 두고 오언명구(五言名句)를 가려 편찬한 조선시대(朝鮮時代) 초학 교재(初學敎材)였음
• 父母千年壽 子孫萬世榮(부모천년수 자손만세영)
父母千年壽 子孫萬代榮(부모천년수 자손만대영)의 뜻과 같음
• 堂上鶴髮千年壽(당상학발천년수)
膝下子孫萬世榮(슬하자손만세영)
집안 부모님은 오래 오래 사시고 슬하의 자손들은 만대에 영화롭기를 빈다는 뜻
※鶴髮(학발): 학의 깃털 또는 학처럼 하얗게 센 머리 또는 그런 사람을 말하는데 노인의 백발을 의미하는 바 堂上鶴髮(당상학발)은 나이 드신 부모님을 가리킴
• 與天同壽(여천동수)
萬代榮華(만대영화)
하늘처럼 수명이 길고 오래도록 영화를 누리라는 뜻
• 和神養素(화신양소)
光風動春(광풍동춘)
정신은 부드럽고 뜻은 꾸밈없이 기르니 비온 뒤의 맑 은 날에 부드럽게 부는 바람이 봄을 부른다는 뜻
• 和氣致祥(화기치상)
長樂無極(장락무극)
음양이 고를 때 반드시 상서로운 일을 이루고,( 온화한 기운은 상서로움에 이르고, )즐거움이 끝없이 지속되기를 빈다는 뜻
• 春和駘蕩(춘화태탕)
發祥致福(발상치복)
봄은 화창하고 따뜻하니, 상서로움이 생겨 행복을 부른다는 뜻
※駘蕩(태탕)
①넓고 크다.
②맑고 따뜻하다.
• 瑞日祥雲(서일상운)
和風甘雨(화풍감우)
상서로운 해와 구름, 솔솔 부는 바람과 알맞은 비로시절이 평온하고 순조로워 풍요롭기를 빈다는 뜻
• 瑞氣集門(서기집문)
和風瑞雲(화풍서운)
상서로운 기운이 문으로 모이고 따스한 바람에 상서로운 구름이 온다는 뜻
• 三陽泰回(삼양태회)
百福鼎臻(백복정진)
봄이 되니 모든 일이 잘 되고 모든 복이 모이기를 빈다는 뜻
• 一家和氣滿門楣(일가화기만문미)
春色江山漸看新(춘색강산점간신)
가정에 온화한 기운이 문전 난간 즉 집안까지 가득하고 강산에 비친 봄빛은 점점 새롭게 보인다는 뜻
• 和氣自生君子宅(화기자생군자택)
春光先到吉人家(춘광선도길인가)
온화한 기운이 군자의 집에 저절로 생기고 봄빛은 좋은 일 하는 사람의 집에 먼저 닿는다. 즉 온화한 기운이 저절로 생기니 군자의 집이요, 봄빛이 먼저 오니 길인의 집이라는 뜻
• 春滿乾坤 福滿家(춘만건곤 복만가)
和氣自生 君子宅(화기자생 군자택)
봄이 천지에 가득하니 집안에 복도 가득하고 온화한 기운이 저절로 생기니 군자의 집이라는 뜻
• 吉人行德相隨積增(길인행덕 상수적증)
甘心爲之福應自然(감심위지 복응자연)
좋은 일하는 사람이 덕을 행하고 서로 더 쌓음에 감사하는 마음으로 그것을 하면 복이 자연히 따른다는 뜻
• 瑞繞重門增百福(서요중문증백복)
春回甲第集千祥(춘회갑제집천상)
상서로운 기운이 重門(중문)에 걸리어 백복을 더하고, 봄이 집에 돌아오니 온갖 상서로움이 모인다. 즉 집안에 봄이 오니 온갖 상서로운 일들이 모이기를 빈다는 뜻
※重門(중문): 일반적으로 행랑채와 사랑채, 안채 등의 영역이 환연히 구분될 정도의 규모 있는 집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았다. 마당과 마당이 연결되는 지점에 위치하며 남녀 내외의 구분과 계급의 상하를 담장 또는 사잇문이라는 요소로 경계 짓는 것이다.
대문을 들어서면 사랑채가 보이고 안채는 따로 중문이있으며, 중문을 들어서서도 외부의 시선을 차단하기 위해 내·외담이나 벽으로 가려 안채 영역을 엄폐·보호하는역할을 하기도 했다.
※甲第(갑제): 크고 넓게 잘 지은 집을 말함
• 千祥雲集家聲遠(천상운집가성원)
百福年增世業長(백복연증세업장)
상서로움이 구름처럼 모여 집안 잘되는 소리 멀리 퍼지고, 온갖 복이 해마다 더해 대대로 하는 일이 잘 되기를 빈다는 뜻
• 天下太平春(천하태평춘)
四方無一事(사방무일사)
온 세상이 태평한 봄이요 사방에 아무 일 즉 탈이 없기를 빈다는 뜻
• 北陸擬陰盡(북육의음진)
千門淑色新(천문숙색신)
북쪽 땅의 음지가 다 녹으니 문마다(집집마다) 맑은 기운이 새롭다는 뜻
• 愛君希道泰(애군희도태)
憂國願年豊(우국원년풍)
임금을 섬겨 큰 정치를 희망하고 나라를 염려하여 풍년을 빈다는 뜻
▸『推句集(추구집)』<推句(추구) 12.>에서 따온 것임(3,4구)
• 柳色黃金嫩(유색황금눈)
梨花白雪香(이화백설향)
버드나무는 황금같이 곱고 배꽃은 흰 눈처럼 향기롭다는 뜻
▸『推句集(추구집)』<推句(추구) 44.>에서 따온 것(1,2구)인데,
원래 李白(이백)의 <宮中行樂詞八首(궁중행락사 8수)> 중 其二(기이, 제2수)의 일부(1,2구)임
※嫩(어리고 연약할 눈)
• 北堂萱草綠(북당훤초록)
南極壽星明( 남극수성명)
북당(內堂내당)에 원추리 푸르고 남극수성이 밝아라. 즉 어머님 근력 푸른 풀처럼 좋으시고, 아버님 오래오래 사시기를 빈다는 뜻
※北堂(북당)은 집안 깊숙이 자리 잡은 內堂(내당), 萱草(훤초)는 원추리를 말하는바 北堂萱草(북당훤초)는 곧 나이 드신 어머니를 상징함
※南極星(남극성)은 본래 龍骨(용골)자리의 으뜸 恒星(항성)인 Canopus를 지칭하지만 고대 중국 신화에서는 福星(복성), 祿星(녹성)과 福祿(복록)을 상징하는 ‘三星’의 하나로 숭배되었으며 壽星(수성), 南極老人(남극노인), 南極仙翁(남극선옹)이라고 불린다. 이 별은 진시황 때부터 사당에 모셔져서 숭배를 받았는데, 일반적인 그림에서는 하얀 수염에 지팡이를 짚고 이마가 높이 솟은 노인으로 묘사되는 바 南極壽星(남극수성)은 아버지를 상징함
• 鷄鳴新歲德(계명신세덕)
犬吠舊年災(견폐구년재)
닭은 울어 새해의 덕을 가져오고 개는 짖어 지난해의 재앙을 쫓아 버린다. 즉 닭 울음소리에 새해 덕이 들어오고 개 짖는 소리에 묵은해의 재앙이 물러간다는 뜻
• 天上三陽近(천상삼양근)
人間五福來(인간오복래)
하늘은 정월 봄이 되었으니 인간 세상에 오복이 온다는 뜻
• 雨順風調(우순풍조)
時和年豊(시화년풍)
비와 바람이 제때에 순조롭고, 시절은 평화롭고 해마다 풍요롭기를 빈다는 뜻.
• 鳳鳴南山月(봉황남산월)
麟遊北岳風(인유북악풍)
봉황은 남산의 달을 보고 울고 기린은 북쪽의 산바람을 쐬며 노닌다는 뜻으로 지극히 평화롭고 여유가 있으며 살기 좋은 상태를 이름
• 龍遊鳳舞(용유봉무)
歲樂民喜(세락민희)
용은 노닐고 봉황은 춤추고 세월은 즐겁고 백성은 기뻐한다는 뜻으로 태평성대를 이름
• 災從春雪消(재종춘설소)
福逐夏雲興(복축하운흥)
재난은 봄눈처럼 사라지고 행복은 여름철 구름처럼 일어나고 쌓여지라는 뜻
• 門迎春夏秋冬福(문영춘하추동복)
戶納東西南北財(호납동서남북재)
문으로는 1년 내내 복을 맞이하고 집에는 사방에서 재물을 받아들이니 집집마다 행복하고 부유하기를 빈다는 뜻
• 門迎春夏秋冬福(문영춘하추동복)
靜滿吉星映此堂(정만길성영차당)
사시사철 즉 1년 내내 복을 맞이하고고요함 가득하고 길성의 빛이 이집(우리 집)에 비친다는 뜻
※吉星(길성)은 길하고 상서로운 별로, 이 별이 비치는 곳은 좋은 일이 있다고 함
• 門迎曉日財源廣(문영효일재원광)
戶納春風吉多慶(호납춘풍길다경)
문으로는 새벽부터 많은 재물을 맞이하고 집안으로 봄바람 부니 길하고 좋은 일이 많기를 빈다는 뜻
• 人間五福 壽爲先(인간오복수위선)
天上四時 春作首(천상사시 춘작수)
인간의 오복 중에 장수가 으뜸이고 하늘의 사계절은 봄이 첫머리라는 뜻
• 雁負三災歸海外(안부삼재귀해외)
燕含五福入堂中(연함오복입당중)
기러기는 삼재를 지고 바다 밖으로 돌아가고 제비는 오복을 물고 집 가운데로 들어온다는 뜻
• 應天地之開闔(응천지지개합)
納日月之光明(납일월지광명)
대문을 열 때마다 천지(우주 삼라만상)가 감응하고 굉장한 명예가 들어오기를 빈다는 뜻
• 山靑水綠春常在(산청수록춘상재)
人壽年豊福無邊(인수연풍복무변)
산과 물이 푸르니 봄은 항상 머물고 사람은 장수하고 풍년이 되니 복덕이 한이 없다는 뜻
• 箕疇五福(기주오복)
華封三祝(화봉삼축)
임금 또는 성인의 장수를 경축하는 인사말
※箕疇五福(기주오복)은 箕疇五福之曲(기주오복지곡)으로 조선 후기와 대한제국시절 宴禮樂(연례악) 및 반주 음악의 한 곡명으로 주로 왕족들의 장수를 경축할 때 연주함
※華封三祝(화봉삼축)은 고대 중국 華(화)지방의 封人(봉인)이 堯(요)임금의 德(덕)을 기리어 ‘聖人(성인)은 장수(壽수)하시고, 聖人은 富(부)하시고, 聖人은 多男(다남)하시라’고 축복했다는 고사가 있는데, 이후 이 고사에 근거하여 임금에게 경축의 인사말을 올릴 때 자주 사용함
• 內神戶靈(내신호령)
呵禁不祥(가금불상)
집안의 神靈(신령)이 상서롭지 못한 것(불길한 것)을 꾸짖어 금한다(물리친다)는 뜻
• 六鰲拜獻南山壽(육오배헌남산수)
九龍載輸四海珍(구룡재수사해진)
여섯 마리의 자라는 만수를 바치고 아홉 마리의 용은 사해의 재물을 실어온다는 뜻
• 五色祥雲 增景福(오색상운 증경복)
一輪春日 放紅光(일륜춘일 방홍광)
~오색의 상서로운 구름은 큰 복을 더하고 봄날 밝은 달은 홍광(붉은 빛)을 뿜는다는 뜻
※景福(경복)-큰 복
※一輪(일륜)-밝은 달
• 天增歲月 人增壽(천증세월 인증수)
春滿乾坤 福滿家(춘만건곤 복만가)
하늘이 세월을 더함에 인간은 수명을 더하고 봄기운이 천지에 가득하니 복이 가정에 충만하기를 빈다는 뜻
• 否往泰來(부왕태래)
去舊就新(거구취신)
막힘은 가고 태평함은 오고 옛것을 버리고 새것을 취한다는 뜻
• 龍虎守城(용호수성)
風雲護營(풍운호영)
용과 호랑이가 城(성)을 지키고 바람과 구름이 진영을 지킨다는 뜻
※城(성)과 營(영)은 집에 비유한 것임
• 而樵而汲(이초이급)
日用飮食(일용음식)
나무를 하고 물을 길어 매일 먹을 음식을 만든다는 뜻
※樵汲(초급)-나무를 하고 물을 길음, 매우 곤경한 생활, 薪水(신수)도 같은 의미
• 綽有餘裕(작유여유)
量入爲出(양입위출)
여유가 있거든 너그럽고 수입에 맞게 지출하라는 뜻
※量入爲出(양입위출)은 수입에 맞게 지출하라는 뜻으로 원래 量入以爲出(양입이위출)이며 量入計出(양입계출), 量入制出(양입제출)과 같은 뜻임
• 以齊以整(이제이정)
百具在是(백구재시)
가지런하게 정리하고 모든 것은 제자리에 두라는 뜻
• 漢之太倉(한지태창)
秦之太倉(진지태창)
漢(한)나라와 秦(진)나라의 큰 곳간처럼 곡식이 가득하기를 빈다는 뜻
• 心不懺(심불참)
面不愧(면불괴)
마음은 후회가 없어야 하고 얼굴은 부끄럽지 않아야 한다는 뜻
• 畏聖人(외성인)
聞長者(문장자)
성인을 敬畏(경외)하고 어른의 말씀에 귀를 기울이라는 뜻
• 會之有元(회지유원)
統之有宗(통지유종)
으뜸이 있는 곳이요 근본이 있는 곳이라는 뜻으로 조상님들을 모시는 곳이라는 뜻
• 以文會友(이문회우)
以友補仁(이우보인)
(군자는)학문으로 벗을 모으고 벗으로 인을 돕는다.즉 학문으로 벗을 사귀고 벗의 장점을 배워 자기의 단점을 보완하라(絶長補短절장보단)는 뜻
• 以文會友(이문회우)
學優登仕(학우등사)
군자는 학문으로 벗을 사귀고 학문을 하고 여유가 있으면 벼슬한다(관직에 나간다)는 뜻
■ 기타(單帖, 單字, 長帖)
• 一振高名滿帝都(일진고명만제도)
이름을 높이 떨쳐 長安(장안, 首都수도)에 가득하다(모르는 사람이 없다)는 뜻
• 上有好鳥相和鳴(상유호조상화명)
하늘에는 길한 새들이 서로 조화롭게 운다는 뜻
• 春到門前 增富貴(춘도문전 증부귀)
봄이 문 앞에 도래하니 부귀가 증가한다는 뜻
• 春光先到 吉人家(춘광선도 길인가)
봄빛은 길인의 집에 먼저 온다는 뜻
• 一春和氣 滿門楣(일춘화기 만문미)
한결같은 봄날의 온화한 기운이 문 위 즉 집안에 가득 하기를 빈다는 뜻
• 酒肴陳陳(주효진진)
술과 안주가 가득하다는 뜻
• 用之不竭(용지불갈)
써도(사용해도) 다함이 없다는 뜻
• 奉天理(봉천리) 啓民生(계민생)
천리 즉 하늘의 이치를 받들어 백성을 계도한다는 뜻
• 正自啓自(정자계자)
스스로 바르게 함으로 자신을 깨우치라는 뜻
• 乃積乃倉(내적내창)
자꾸 창고에 (곡식이) 쌓이고 쌓인다는 뜻
• 溫故而知新(온고이지신, 溫故知新온고지신)
옛것을 익혀 새로운 것을 안다는 뜻
• 萬事如意(만사여의)
온갖 일이 뜻대로 이루어지기를 빈다는 뜻으로 百事如意(백사여의)도 같은 말
• 納百祥(납백상)
온갖 상서로움을 들인다(상서로움이 들어온다)는 뜻
• 呵禁不祥(가금불상)
상서롭지 못한 것(불길한 것)을 꾸짖어 금한다는 뜻
• 奉天理(봉천리) 啓吾生(계오생)
천리를 받들고 스스로 깨달아 연다는 뜻
• 財數大通(재수대통)
좋은 일을 만나 운수가 크게 트인다는 뜻
• 薪水自足(신수자족)
나무를 하고 물을 길음 즉 매우 곤궁한 생활이지만 스스로 만족한다(스스로 넉넉함을 느낀다)는 뜻
※薪水(신수)-나무를 하고 물을 길음, 매우 곤경한 생활, 樵汲(초급)도 같은 의미
• 降福洋洋(강복양양)
복을 내림이 바다와 같이 많다는 뜻
• 充隘露積(충애노적)
곡식이 가득 쌓이기를 빈다는 뜻
※露積(노적)-한데 쌓아둔 곡식
• 取之無禁(취지무금)
취하되 금하는 이가 없다는 뜻
• 三陽泰回(삼양태회)
모든 일이 뜻과 같이 잘 되기를 빈다는 뜻
• 敬天愛人(경천애인)
하늘을 공경하고 사람을 사랑하라는 뜻으로 항상 겸손하게 자신을 낮출 줄 아는
사람으로서 가지고 있는 마음, 上敬下愛(상경하애)도 같은 의미
※하늘(天 천) - 우주나 삼라만상, 자연의 근본 이치 또는 바른 이치
• 充於內(충어내)
집안에 가득하기를 빈다는 뜻
• 靜坐看書一昧長(정좌간서일매장)
조용히 앉아 오랜 시간 책을 본다는 뜻
• 忠孝之外無事業(충효지애무사업)
충과 효 이외에 사업은 따로 없다는 뜻
• 金帛陳陳(금백진진)
금과 비단, 즉 재물이 가득하다는 뜻
• 滿堂和氣(만당화기)
온 집안에 온화한 기운이 가득하다는 뜻
• 甘且旨(감차지)
맛 좋은 것, 맛있는 음식
• 勝友來雲(승우내운)
훌륭한 벗(좋은 벗)이 구름같이 온다(모인다)는 뜻으로 勝友如雲(승우여운, 좋은 벗이 구름같이 모이다)과 같음
• 苟日新(구일신) 日日新(일일신) 又日新(우일신)
진실로 날로 새롭고 날마다 새롭고 또 날마다 새롭기를 빈다 는 뜻
• 世德長祥(세덕장상)
덕으로 처세하면 오래 동안 상서롭다는 뜻
• 出聽仁政(출청인정)
밖에 나가면 바른 정치만 듣는다는 뜻
• 日乾夕惕(일건석척)
밤낮으로 쉼 없이 노력하고 노력하라는 뜻
• 見賢思齊(견현사제)
어진 이를 보면 자신도 그와 같아지기를 생각하라는 뜻으로 자신을 항상 바르게 변화시키려는 노력이 있어야 함을 강조함
• 門照老人星(문조노인성)
문(집)에 노인성이 비친다는 뜻
※老人星(노인성)은 南極星(남극성)이며 壽星(수성)으로 존중되는데, 道家(도가)에서는 이 별을 보면 長壽(장수)한다고 믿었으며, 민가에서는 “노인성을 세번 보면 白壽(백수)를 누린다.”는 말이 전해져 올 정도이다. 道敎(도교)에서는 춘분 저녁과 추분 새벽에 남쪽에서 그 출현을 기다려 祭祀(제사)를 지내며, 우리나라에서는 농삿일이 한가한 동지 무렵인 12월 하순과 1월 사이(주로 12월 말)에 이 별을 보러 다녔다.
• 龍(용), 虎(호)
• 龍(용), 鳳(봉)
• 桐千年老恒藏曲(동천년노항장곡)
梅一生寒不賣春(매일생한불매춘)
月到千虧餘本質(월도천휴여본질)
柳經百別又新持(유경백별우신지)
오동나무는 천년을 묵어도 제 가락을 간직하고 매화는 일생을 춥게 살아도 자신의 향기를 팔지 않는다.
달은 천 번을 이지러져도 그 본질은 남아있고버드나무는 백 번 꺾여도 새가지가 돋아난다.
<申 欽(신 흠, 1566∼1628)의 詩>
• 麗日初升鳳閣東(여일초승봉각동)
爐煙細細散晴空(노연세세산청공)
春風政似君王意(춘풍정사군왕의)
應遍窮村白屋中(응편궁촌백옥중)
어여쁜 해 봉각 동쪽으로 막 오르자 향로 연기 아른아른 맑은 하늘에 흩어진다.
봄바람은 정말 임금님 뜻과 같아곤궁한 마을 가난한 집에도 고루 불어주리.
〚『白湖集(백호집)』권3, 林 悌(임 제, 1549-1587)의 詩, <立春 帖子 大殿 입춘첩자 대전> 중〕
• 無災無病飽榮華(무재무병포영화)
天賜君恩萃一家(천사군은췌일가)
兼得優閑娛晩境(겸득우한오만경)
更無餘望侈生涯(갱무여망치생애)
재앙도 병도 없이 영화로움만 가득하늘이 내리신 임금 은혜 집안에 모였다.
게다가 느긋하고 한가롭게 늘그막 즐기니분에 넘치는 이내 생애 더 바랄게 없어라.
〚『慕齋先生集(모재선생집)』권3, 金 安國(김 안국), 午立春兒輩請門帖句書與(오입춘아배청문첩구서여, 임오년 입춘에 아이들이 문에 붙일 입춘구절을 요청하기에 써서 주었다.)〛
• 物色知生意(물색지생의)
陽和布至仁(양화포지인)
惟新開萬花(유신개만화)
餘澤及流人(여택급류인)
사물 때깔은 생생한 뜻 알아조화로운 봄기운은 지극히 어진 마음 펼친다.
새롭게 삼라만상이 열리고 남은 은택 흘러서 사람들에게 미치기를.
〚金 絿(김 구), 題立春帖戶(제입춘첩호, 집에 붙일 입춘 글귀를 쓰다.)〛
■ (편자작 입춘첩)
• 勤儉節約 財福到來(근검절약 재복도래)
근면 검소하고 절약하면 재복이 들어온다.
• 勤儉節約 有益於家(근검절약 유익어가)
技術革新 有益於國(기술혁신 유익어국)
근검절약은 집안에 유익하고 기술혁신은 나라에 유익하다.
■ (자작 한글 입춘첩)
• 청결하고 밝은 집엔 질병은 물러가고 웃음꽃이 피는 집엔 만복이 들어온다.
|
첫댓글 웃음꽃이 피는 집안엔 만북이 깃듣다 하였으니, 올 한 해 늘 웃음꽃 피우며 즐거운 날 되시기를 바랍니다.^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