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큐 고베고속선 각역 시각표 : https://ekitan.com/timetable/railway/line/21000
전 구간 IC카드 및 간사이 스루패스 사용 가능
제3섹터 회사인 고베고속철도 소속의 노선으로, 한큐 산노미야 / 한신 모토마치 / 산요 니시다이 등 3개의 노선을 잇는 역할을 하는 고베시내의 징검다리 지하노선이다. Y자형의 노선으로, 이곳에서는 고베고속철도 도자이선으로 부르는 니시다이~모토마치 구간에 대해 설명한다. 고베고속철도가 제3종철도사업자로 선로를 보유하고, 한신전철이 제2종철도사업자로 운송 및 열차의 운행을 담당한다.
고베시 중심부와 한신본선-산요전기철도 본선의 각 터미널을 잇는 지하노선이다. 신카이치~고소쿠코베 구간의 경우 한큐 고베고속선이 동일하게 제2철도사업자 역할을 하고 있는 중복구간이다. 한신-아와지 대지진의 여파로 니시다이~고소쿠나가타 구간의 일부도 지하노선으로 전환되었다. 철도사업법 시행 전에는 고베고속철도가 한큐-한신-산요의 차량을 빌려 고베고속철도 노선으로 운영했으나, 현재는 한큐-한신의 경영통합, 출자비율 변경 등에 의해, 니시다이~모토마치 구간을 한신전철 소속 노선으로 하여 새롭게 운영주체를 변경하였다. 현재는 열차운행관리 업무 및 역 운영관리를 한신전철이 맡고 있으며, 역명판 디자인도 한신전철의 것을 따르고 있다.
그러나 운임은 고베고속철도 단독으로 설정되었으며 이를 그대로 계승하였고 운임정책 및 직통운행 운임계산의 경우 고베고속철도 특유의 방식을 따르고 있다. 니시다이~고소쿠고베 구간은 신카이치역 발착의 한신 차량의 경우 한신의 승무원이 승무하고 그 외에는 산요전철의 승무원이 승무한다. 고소쿠코베~모토마치 구간의 경우, 고베산노미야 발착의 산요전철 소속차량은 산요의 승무원이 승무하며, 그외 고베산노미야~오오이시 구간의 회송열차를 제외한 전 열차는 모두 한신의 승무원이 승무한다. 직통특급 및 직통열차의 경우 고소쿠코베역에서 한신과 산요의 승무원이 교대한다.
2. 역사
1968/04/07 - 니시다이~모토마치 구간 개업. 한큐-한신-산요의 상호직통운전 개시.
1988/04/01 - 철도사업법 시행에 따라 고베고속철도가 3종철도사업자로 영업 개시.
1995/01/17 - 한신-아와지 대지진으로 전 노선 불통. 8월 13일에 다이카이역 제외 전 노선 복구.
1996/01/17 - 다이카이역 완전 복구.
1998/02/15 - 한신-산요전철이 우메다~산요히메지 구간의 직통특급 운전 개시. 한큐의 직통운전은 신카이치까지만으로 함.
2010/10/01 - 한큐/산요의 니시다이~신카이치 구간의 2종철도사업 폐지. 운영체제 변경으로 고베고속철도가 담당하던 열차운행을 각 회사로 이관.
2012/03/20 - 시각표 개정으로 주말 아침에 신카이치역 시발 쾌속급행 나라행 운행 개시.
2016/03/19 - 시각표 개정으로 종별안내가 각 직통회사의 것으로 통일.
3. 운행 형태
이전에는 고베고속철도가 타 회사의 차량을 빌려서 운행을 했으나 현재는 고베고속철도 소속의 열차는 없고, 한신전철/산요전철 각 회사 소속의 차량으로 운전된다. 직통운행이 되며 열차의 시종착이 많은 노선 특성상, 시각표의 작성이 매우 어렵다. 이 영향으로 고소쿠코베역과 신캉카이치역에서는 시간 조정을 행하는 열차가 있다.
표준 배차간격 - 적색 직통특급 시간당 2편, 황색 직통특급 시간당 2편(모두 산요히메지~한신우메다)
한신특급(스마우라코엔~한신우메다) 시간당 2편, 한신보통(고소쿠코베~한신우메다) 시간당 6편
한큐특급(신카이치~한큐우메다) 시간당 6편, 산요보통(산요히메지~한큐고베산노미야) 시간당 2편
직통특급 - 한신우메다~산요히메지 구간을 직통하여 운전하는 속달열차로, 고베고속선 내에 니시모토마치/다이카이/니시다이역을 통과하는 열차도 있지만 이 3역을 제외하면 모든 역에 정차한다.
한신 특급 - 평일 아침 출근시간대 이외의 시간대에 운전된다. 고베고속선 내에서는 각 역에 정차한다. 기본적으로는 한신우메다~스마우라코엔 구간에서 운전되며, 일부열차는 한신우메다~히가시쓰마 구간에서도 운전되고 있다. 일부 열차는 고베고속선 내에서 종착하여 한신우메다~고소쿠코베/신카이치 구간을 운전하는 열차도 있다. 심야에는 산요전철 차량으로 운전되는 한신우메다발 산요스마행 열차가 고소쿠코베역에서 보통으로 변경되어 운전되는 경우도 있다. 기본적으로 한신전철 소속 차량으로 운전되나 일부 열차는 산요전철 열차로 운전된다.
S특급 - 산요히메지 방향은 심야에, 고소쿠코베 방향은 아침에 각각 운전된다. 고베고속선 내에서는 니시모토마치역에서만 통과한다. 기본적으로 산요전철 소속 차량 4량편성으로 운전된다.
쾌속급행 - 토/휴일 아침에 신카이치발 긴테츠나라행으로 3편 설정되어 있다. 고베고속선 내에서는 각 역에 정차하며, 한신전철 소속의 차량으로 운전된다.
한신보통 - 종일 한신우메다~고소쿠코베 구간으로 운전되고 있으며, 아마가사키/이시야가와~신카이치 구간에서도 운전된다. 또한 한신우메다~신카이치 구간으로도 운전된다. 한신전철 소속의 가감속에 특화된 차량인 제트카로 운전되고 있다. 토휴일을 중심으로 하여 한신 고베산노미야~고소쿠코베, 신카이치, 히가시스마, 스마우라코엔 등으로 구간운전되는 열차가 있다.
산요보통 - 산요히메지~한큐 고베산노미야 구간에서 운전되고 있으며, 아침/저녁과 토휴일 낮시간대에는 산요히메지~한신 고베산노미야 구간에서 운전되고 있다. 일부 고베고속선에서 되돌리는 신카이치/고소쿠코베 발착열차가 설정되어 있다.
4. 운용 차량
한신 9300계 - 6량편성. 직통특급 / 특급 등 열차로 사용.

한신 9000계 - 6량편성. 직통특급 / 특급 등 열차로 사용.

한신 8000계 - 6량편성. 직통특급 / 특급 등 열차로 사용.

한신 1000계 - 6량편성. 직통특급 / 특급 등 열차로 사용.

한신 5700계 - 4량편성. 한신전철 보통열차로 사용.

한신 5550계 - 4량편성. 한신전철 보통열차로 사용.

한신 5500계 - 4량편성. 한신전철 보통열차로 사용.

한신 5131형/5331형 - 4량편성. 한신전철 보통열차로 사용.

한신 5001형 - 4량편성. 한신전철 보통열차로 사용.

산요 6000계 - 3량편성. 산요전철 보통열차로 사용.

산요 5030계 - 6량편성. 산요전철 직통특급열차로 사용.

산요 5000계 - 6량편성. 산요전철 직통특급열차로 사용.

산요 3200계 - 3량편성. 산요전철 보통열차/S특급으로 사용.

산요 3050계 - 3/4량편성. 산요전철 보통열차/S특급으로 사용.

산요 3000계 - 3/4량편성. 산요전철 보통열차/S특급으로 사용.

5. 역 일람
km정표 |
역번호 |
역 이름 |
한자명 |
1일정차회수(정규) |
행정구역 |
유인/무인 |
역 구조 |
플랫폼구조 |
개업일 |
승차인원 |
직통
특급 |
특급 |
S특급 |
보통 |
0.0km |
HS39 |
니시다이 |
西代 |
21 |
21 |
5 |
73 |
효고현
고베시 나가타구 |
유인역 |
2면
2선 |
1||2 |
1910/03/15 |
3,186
|
0.9km |
HS38 |
고소쿠나가타 |
高速長田 |
77 |
21 |
5 |
73 |
유인역 |
2면
2선 |
2||1 |
1968/04/07 |
9,356
|
1.9km |
HS37 |
다이카이 |
大開 |
77 |
21 |
5 |
73 |
효고현
고베시 효고구 |
유인역 |
2면
2선 |
2||1 |
1968/04/07 |
2,800
|
2.9km |
HS36 |
신카이치 |
新開地 |
21 |
21 |
5 |
65 |
유인역 |
2면
3선 |
|4
3|2 1| |
1968/04/07 |
14,690
|
3.5km |
HS35 |
고소쿠코베 |
高速神戸 |
77 |
21 |
5 |
65 |
효고현
고베시 츄오구 |
유인역 |
2면
4선 |
|4
3||2 1| |
1968/04/07 |
15,266
|
4.2km |
HS34 |
니시모토마치 |
西元町 |
77 |
21 |
| |
117 |
유인역 |
2면
2선 |
2||1 |
1968/04/07 |
2,342
|
5.0km |
HS33 |
모토마치 |
元町 |
21 |
21 |
5 |
117 |
유인역 |
1면 2선 |
|2 1| |
1936/03/18 |
14,978
|
6. 역사진 컬렉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