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국립한국방송통신대학교 중어중문학과 학생회 원문보기 글쓴이: 김경희(서울/15)
우리 중문과 오문의 교수님의 홈페이지에 있는 내용을 글자 폰트나 배열하여 정리한 것입니다.
漢字 部首 解說
한자의 부수는 대부분 의미를 나타내는 요소이다. 따라서 부수의 의미를 알고 있으면 보다 더 용이하게 한자에 접근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현재 우리나라에서 통용되고 있는 214개의 부수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여기에서 설명할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각 부수의 명칭이다. 우리나라나 중국에는 각 부수에 대한 정해진 讀法이 있다. 예를 들면‘人(亻)’은 우리나라에서 ‘사람 인변’이라고 하고 중국어에서는 ‘單人旁/單立人’이라고 한다. 본 학습지에서는 이러한 독법을 표제자(人) 뒤에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人(亻) : 사람 인변; 單人旁/單立人
이때 ‘ / ’은 두 가지 모두 가능하다는 뜻이다. 부수에 대한 중국어 독법은 정해져 있다. 특히 부수의 위치에 따라 불리우는 명칭을 알아두면 편리하다. 부수의 위치가 글자의 좌, 우, 상, 하에 따라旁, 邊, 頭, 底로 칭한다. 예를 들면 ‘仁’ 좌측의 ‘亻’을 單人旁이라고 하며 ‘動’ 우측의 ‘力’은 力字邊이라고 한다. ‘分’ 상단의 ‘八’은 八字頭라고 하며, ‘公’ 하단의 ‘厶’는 私字底라고 한다. 또한 ‘同’의 윤곽 부분인 ‘冂’은 同字框이라고 한다.
둘째, 그 부수의 본래의 의미와 그 부수에 속하는 한자들의 공통점을 설명하였다. ‘사람 인’(人)을 예로 들면, 표제자와 讀法 하단에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측면에서 본 사람의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人’인 글자들은 대부분 인체, 사람의 품성, 사회조직, 사회지위와 관련이 있다.
셋째, 마지막으로 그 부수와 관련이 있는 한자를 제시하였다.
☞ 관련자 : 他(다를 타; tā), 仕(벼슬할 사; shì), 仙(신선 선; xiān)
또한 필요한 경우에는 한자의 ‘우리 음’과 ‘중국 음’, 뜻을 제시하였다.
1. 一 한 일부(yī); 橫(héng)
☞ 관련자 : 一, 二, 三, 上, 下
2. 丨 뚫을 곤(gŭn); 竪(shù)
☞ 관련자 : 中, 丰(예쁠 봉; fēng), 串(꿸 천; chuàn)
3. 丶 : 점 주, 점부(zhŭ); 點
☞ 관련자 : 丸(알 환; wán), 丹(붉을 단; dān), 主
4. 丿 : 삐칠 별, 삐침부; 撇(piĕ)
☞ 관련자 : 乃(이에 내; nǎi), 久(오랠 구; jiǔ), 乏(가난할 핍; fá)
5. 乙 : 새 을(yĭ); 乙字
이 글자의 본래의 의미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
(1) 초목이 땅을 뚫고 나오는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2) 초목의 생장이 어려운 상태를 본뜬 지사자이다.
(3) 본래의 의미는 ‘자주제비(紫燕)’이며, ‘鳦(제비 을)’이라고 쓰기도 한다. 자형은 쉬고 있는 새의 모양이다.
☞ 관련자 : 九(아홉 구; jiǔ), 乞(빌 걸; qǐ), 乳(젖 유; rǔ)
6. 亅 : 갈고리 궐 (jué)
현재 중국에서는 이 부수를 설정하고 있지 않다.
7. 二 : 두 이; 二橫/兩橫
☞ 관련자 : 于(어조사 우; yú), 云(이를 운; yún), 互(서로 호; hù), 五(다섯 오; wǔ)
☞
8. 亠 : 돼지해밑, 돼지머리 두(음 두, tóu); 一點(diǎn)一橫(héng,hèng)
단독으로 쓰이지 못한다.
☞ 관련자 : 亡(망할 망; wáng), 亢(목 항; kàng), 亨(형통할 형; hēng)
9. 人(亻) : 사람 인변; 單人(rén)旁(páng)/單立人兒
측면에서 본 사람의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형부가 ‘人’인 글자들은 대부분 인체, 사람의 품성,사회조직, 사회지위와 관련이 있다.
☞ 관련자 : 囚(가둘 수; qiú), 從(從)(좇을 종; cóng), 衆(衆)(무리 중; zhòng), 仁(어질 인; rén) 人+二. 親也. 信(믿을 신; xìn) 人+言. 誠也, 價(값 가;jià, jiè, jie) 장수, 장사하는 사람, 他(다를 타; tā),仕(벼슬할 사; shì), 仙(신선 선; xiān)
10. 儿 : 어진사람 인변; 兒(ér,ní)字(zì)底(dǐ,dė)
사람이 걸어가는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兒’인 글자들은 대부분 사람과 관련이 있다.
☞ 관련자 : 元(으뜸 원; yuán): 사람의 머리, 兄(맏 형; xiōng): 큰 입, 연장자 명령, 光(빛 광; guāng): 火+儿
11. 入 : 들 입
현재 중국에서는 이 부수를 설정하고 있지 않고, ‘人’부에 통합시켰다. 초목의 뿌리가 땅속에 들어가 있는 모양을 본뜬 지사자라는 설이 있다.
☞ 관련자 : 內(안 내; nèi), 全(온전할 전; quán)
12. 八 : 여덟 팔; 八(bā,bá)字頭
의미요소가 ‘八’인 글자들은 대부분 나누다라는 뜻과 관련이 있다.
☞ 관련자 : 分(나눌 분; fēn, fèn), 半(반 반; bàn), 公(공변될 공; gōng)
13. 冂 : 멀 경(jiōng); 同(tóng,tòng)字框(kuàng,kuāng)
갑골문을 보면 가장자리를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冂’인 글자들은 대부분 구역과 관련이 있다.
☞ 관련자 : 內(구역 안으로 들어가다), 央(가운데 앙[사람(大)이 구역이나 방의 중앙에 있는 것]; yāng)
14. 冖 : 민갓머리(음 멱, mì); 禿(tū)寶(bǎo)蓋(gài,gě)
양 옆이 밑으로 쳐진 채 물체를 덮고 있는 모양을 본뜬 상형자로, 지금은 편방으로만 쓰인다. 의미요소가 ‘冖’인 글자들은 대부분 덮혀져 가리워진 것과 관련이 있다.
☞ 관련자 : 冠(갓 관; guān, guàn), 冥(어두울 명; míng)
15. 冫 : 이수변(음 빙, bīng); 兩點水(旁)
고문의 모양은 모두 얼음의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후에는 ‘冰’으로 쓰이게 되자 원래의 글자는 변방으로 쓰였으며, 후에 ‘冫’으로 그 형태가 변했다. ‘冫’이 의미요소로 쓰인 글자는 대부분 얼음이나 추위와 관련이 있다.
☞ 관련자: 冬(겨울 동; dōng), 冷(찰 랭; lěng), 凍(얼 동; dòng), 寒(찰 한; hán)
16. 几 : 안석 궤(jī); 風字框
측면에서 본 작은 탁자의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几’인 글자들은 대부분 앉는 가구나 ‘기대다’는 동작과 관련이 있다.
☞ 관련자 : 凳(걸상 등; dèng), 凭(기댈 빙; píng, 憑의 간체자)
17. 凵 : 위터진 입 구(입벌릴 감, kǎn); 凶(xiōng)字框 / 下框
땅의 패인 구덩이이 본뜬 상형자이다. 또한 ‘qū’로 읽혀 등나무로 만든 용기를 나타내기도 한다.의미요소가 ‘凵’인 글자들은 대부분 우덩이나 용기와 관련이 있다.
☞ 관련자 : 凶(흉할 흉; xiōng), 函(함 함; hán)
18. 刀(刂): 칼 도 (dāo); 立(lì)刀邊/刀字旁
칼의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刀’인 글자들은 대부분 칼이나 자르는 동작과 관련이 있다.
☞ 관련자 : 切(끊을 절; qiē, qiè), 刊(책 펴낼 간; kān), 刑(형벌 형; xíng), 別(나눌 별; bié), 割(나눌 할; gē), 刎(목벨 문; wěn, 刎頸之交)
19. 力 : 힘 력; 力(lì)字邊/側(cè,zè,zhāi)刀邊
‘力’은 본래 땅을 가는 쟁기이다. 밭을 가는 데 힘이 필요하기 때문에 ‘역량’이라는 뜻으로 가차되어 쓰였다. 의미요소가 ‘力’인 글자는 ‘勇’(용기 용), ‘勉’(힘쓸 면) 등과 같이 대부분은 ‘힘’과 관련이 있다.
☞ 관련자 : 動(움직일 동; dòng), 勤(부지런할 근; qín), 勉(힘쓸 면; miǎn), 劣(못할 렬; liè), 勢(기세 세; shì), 勸(권할 권; quàn), 勞(일할 로; láo), 助(도울 조; zhù), 努(힘쓸 노; nǔ)
20. 勹 : 쌀 포(bāo); 包字頭
‘勹’는 사람의 굽은 신체를 무엇인가가 싸고 있는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勹’인 글자들은 대부분 사람의 굽은 신체의 모양과 관련이 있다.
☞ 관련자 : 匍(길 포; pú) 匐(길 복; fú)
21. 匕 : 비수 비(bĭ); 匕首的匕
(1) 숟가락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형부가 ‘匕’인 글자들은 대부분 국자(匙:숟가락 시)와 관련이 있거나 동물 암컷(牝:암컷 빈)과 관련이 있다.
(2) ‘人’의 좌우를 바꿔 그린 자형이다.(예: 比 -> 부수81)(☞ 관련자: 北)
(3) ‘칼’(刀)을 본뜬 글자이다. (예: 匕首)
(4) ‘人’자를 거꾸로 쓴 자형이다.(☞ 관련자: 化)
☞ 관련자 : 匙(숟가락 시; chí, sh ), 牝(암컷 빈; pìn)
22. 匚 : 터진 입 구(상자 방, 모진그릇 방, fàng); 匠(jiàng)字框 / 左框
‘匚’은 장방형의 광주리를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匚’인 글자들은 대부분 ‘상자’를 의미한다.
☞ 관련자 : 匣(갑 갑; xiá), 匱(함 궤; kuì, guì), 匡(바를 광, 광주리 광; kuāng)
23. 匸 : 터진에운 담(감출 혜, xì)
현재 중국에서는 이 부수를 설정하고 있지 않다.
24. 十 : 열 십; 十字旁[博(bó)]
의미요소가 ‘十’인 글자들은 숫자와 관련이 있거나 ‘많다’는 뜻과 관련이 있다
☞ 관련자 : 卄(스물 입; niàn), 卅(서른 삽; sà), 博(넓을 박; bó)
25. 卜 : 점 복; 卜(bŭ)字頭[占], 卜字邊[卦(guà)]
불에 달궈진 갑골의 갈라진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卜’인 글자들은 대부분 점과 관련이 있다.
☞ 관련자 : 占(차지할 점; zhān, zhàn) 卦(걸 괘; guà)
26. 卩/㔾 : 병부 절(jié); 單耳旁 /單耳刀
사람의 꿇어 앉은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卩’이 아래쪽에 놓이면 ‘㔾’로 형태가 바뀐다. 의미요소가 ‘卩’인 글자들은 대부분 무릎이나 굽히는 동작과 관련이 있다. 중국어에서는 ‘阝’을 ‘雙耳旁’혹은 ‘雙耳刀 ’라고 한다.
☞ 관련자 : 印(도장 인, 누를 인; yìn; 한 손으로 위에서 꿇어앉은 사람을 누르고 있는 모양), 叩(두드릴 고, 조아릴 고; kòu), 卽(곧 즉; jí)(<->旣)
27. 厂 : 민엄호(기슭 엄); 偏(piān)厂(chǎng)兒
산의 낭떠러지를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厂’인 글자들은 대부분 산, 바위, 낭떠러지와 관련이 있다.
☞ 관련자 : 厚(투터울 후; hòu; 산에 큰 바위 두개가 있는 형상), 原(근원 원; yuán; 厂과 泉의 회의자, 바위 사이로 솟아나는 샘물)
28. 厶 : 마늘 모(사사로울 사, mǒu/sī); 私字兒, 私字底[去, 公], 私字邊[弘]
29. 又 : 또 우; 又(yòu)字旁
옛날 글자체에서는 오른손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又’인 글자들은 대부분 손이나 손동작과 관련이 있다.
☞ 관련자 : 及(미칠 급; jí; 人과 又로 이루어진 글자, 사람에 손이 따라붙을 정도로 따라붙다), 双(쌍 쌍; shuāng; 雙[손 위의 새 두 마리]의 속자)
30. 口 : 입 구; 口(kǒu)字旁
‘口’은 입의 모양을 본뜬 글자이다. 의미요소가 ‘口’가 글자들은 입과 관련이 있는 부위, 동작, 발음을 나타낸다.
☞ 관련자 : 呼(부를 호; hū), 吸(숨 들이쉴 흡; xī), 含(머금을 함; hán), 味(맛 미; wèi), 唱(노래 창; chàng)
31. 囗 : 에운담, 큰 입구(국/위, wéi); 大口框 / 方框儿
사방이 둘러싸여져 있는 형태이다. 의미요소가 ‘囗’인 글자들은 대부분 주위가 막혀 있거나 원과 관련이 있다.
☞ 관련자 : 回(돌 회; huí), 國(나라 국; guó), 因(인할 인; yīn; 사람이 요에 누워있는 모양을 본뜬 회의자로, 본래의 의미는 사람이 깔고 자는 요임)
32. 土 : 흙 토; 提(tí,dī)土(tǔ)旁/剔(tī)土旁
흙덩이의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土’인 글자들은 대부분 흙이나 땅과 관련이 있다.
☞ 관련자 : 地(땅 지; dì: 地球), 坤(땅 곤; kūn), 城(성 성; chéng: 城郭), 培(북돋울 배; péi: 培養)
33. 士 : 선비 사; 士(shì)字頭
남성 생식기를 본뜬 상형자라는 설과 도끼를 본뜬 상형자라는 설이 있다. 의미요소가 ‘士’인 글자들은 남성과 관련이 있는 글자들이 많다. 그렇기 때문에 ‘牡’(모)와 ‘牝’(빈)의 ‘匕’와 ‘士’는 상대되는 의미를 갖는다.
☞ 관련자 : 壯(씩씩할 장; zhuàng)
34. 夂 : 뒤져올 치(zhĭ); 折(zhé,shé,zhē)文兒/折文頭[各]/折文底[夏(xià)]
‘止’자를 거꾸로 놓은 형태로, ‘후퇴하다’, ‘하강하다’는 뜻이다. ‘止’는 발의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35. 夊 : 천천히 걸을 쇠 夊(chuī,suī)
현재 중국에서는 이 부수를 설정하고 있지 않다.
36. 夕 : 저녁 석; 夕(xī)字旁
반달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夕’인 글자들은 대부분 저녁이나 저녁과 관련된 동작과 관련이 있다.
☞ 관련자 : 名(이름 명; míng: 저녁에 사람의 얼굴을 확인할 수 없어 이름을 부를 수밖에 없음.),夢(꿈 몽; mèng)
37. 大 : 큰 대; 大字頭
우뚝 선 사람의 모양을 정면에서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大’인 글자들은 대부분 사람이나‘크다’는 뜻과 관련이 있다.
☞ 관련자 : 夷(오랑캐 이; yí; 큰활을 쓰는 오랑캐), 夾(낄 협; jiā, jiá, 大+人), 奔(달릴 분; bēn, bèn;大와 세 개의 止로 이루어진 회의자), 天(하늘 천; tiān), 夫(지아비 부; fū), 交(사귈 교; jiāo)
38. 女 : 계집 녀; 女(nǔ,nǜ,rǔ)字旁
여자가 두 손을 앞으로 하고 끓어앉아 있는 모양을 상형한 글자이다. 의미요소가 ‘女’인 글자들은 여자와 관련이 성질이나 사물, 동작 등을 나타낸다.
☞ 관련자 : 姦(간사할 간; jiān), 姐(누이 저; jiě), 妻(아내 처; qī, qì), 嬲(희학질할 뇨; niǎo), 婦(며느리 부; fù: 여자(女)가 빗자루(帚(비 추; zhǒu))를 들고 있는 모양), 安(편안할 안; ān), 好(좋을 호; hǎo, hào: 부녀자+아이)
39. 子 : 아들 자; 子(zǐ,zi)字旁
본래의 의미는 ‘아이’이며, 두 가지 글자 형태가 있다. 하나는 머리와 손이 있고 양 다리는 강보에 싸인 모양이 있고, 또 하나는 큰머리와 머리카락, 그리고 두 다리를 치켜들고 있는 모양이다. 의미요소가 ‘子’인 글자들은 대부분 아이나 ‘낳고 기르다’는 뜻과 관련이 있다.
☞ 관련자 : 孩(어린아이 해; hái), 孕(아이 밸 잉; yùn)
40. 宀 : 갓머리(움집 면, miǎn); 寶蓋兒/寶蓋頭
갑골문과 금문의 자형을 보면 가옥의 측면을 본뜬 상형자이다. ‘宀’은 일반적으로 집을 의미한다.
☞ 관련자 : 安(편안할 안; ān), 宅(댁 댁/집 택; zhái), 宗(마루 종; zōng), 宮(집 궁; gōng)
41. 寸 : 마디 촌; 寸(cùn)字邊/底
손의 1촌 되는 지점의 맥 짚는 곳을 횡선으로 표시한 글자 형태이다. 의미요소가 ‘寸’인 글자들은 대부분 손이나 손과 관련이 있는 동작, 길이나 법도와 관련이 있다.
☞ 관련자 : 奪(빼앗을 탈; duó), 射(궁술 사; shè), 尊(높을 존; zūn: 酉와 廾의 회의자인데 글자체가 바뀌었음)
42. 小 : 작을 소; 小字旁
의미요소가 ‘小’인 글자들은 대부분 ‘작다’는 의미와 관련이 있다.
☞ 관련자 : 尖(뾰족할 첨; jiān; 위로 갈수록 작아짐)
43. 尢/兀/尣 : 절름발이 왕(wāng); 尤yóu字旁
금문과 갑골문을 보면, 사람의 다리를 절름발이로 그린 형태이다. 의미요소가 ‘尢’인 글자들은 대부분 다리나 구부러진 것과 관련이 있다.
☞ 관련자 : 尫(절름발이 왕; wāng), 尶尬(gāngà; 난처하다, 어색하다)
44. 尸 : 주검 시; 尸(shī)字頭
본래의 의미는 ‘고대에 제사지낼 때 죽은 자를 대신해 제사를 받는 사람’이다. 자형은 앉아 있는 사람의 옆모습을 본뜬 상형자이다. 인신되어 ‘시체’의 뜻으로도 쓰이는데. 이 경우 후에 주로‘屍(시체 시)’자로 썼다. 의미요소가 ‘尸’인 글자들은 인체나 집과 관련이 있다.
☞ 관련자 : 尿(오줌 뇨; niào), 尾(꼬리 미; wěi), 屋(집 옥; wū), 屛(병풍/울 병; píng), 局(방/판 국 국; jú), 居(있을 거; jū)
45. 屮 : 싹날 철(chè); 出(chū)字頭
땅에서 풀이 돋아나는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屮’이 두 개 합해진 글자가 ‘艸’(艹; 풀 초)이다. 현재 중국에서는 이 부수를 설정하고 있지 않다.
46. 山 : 뫼 산; 山(shān)字頭
의미요소가 ‘山’인 글자들은 산이나 언덕과 관련있는 명칭에 쓰인다.
☞ 관련자 : 峰(산봉우리 봉; fēng), 岳(큰산 악; yuè), 岸(언덕 안; àn), 崇(높을 숭; chóng: 崇尙), 嶺(재 령; lǐng)
47. 巛/川 : 개미허리(chuān); 三拐(guǎi)兒(頭/邊), 川(chuān)字旁
의미요소가 ‘川’인 글자들은 대부분 물과 관련이 있다.
☞ 관련자 : 州(고을 주, 섬 주; zhōu)
48. 工 : 장인 공; 工(gōng)字旁
절삭공구의 모양을 상형한 글자라고 하기도 하고, 직각을 그릴 때 쓰는 曲尺이라 하기도 한다. 의미요소가 ‘工’인 글자들은 대부분 匠人이나 공구와 관련이 있다.
☞ 관련자 : 左(왼 좌; zuǒ; =佐; 손에 工을 들고 돕다), 式(법 식; shì; 의미요소인 工과 발음요소인弋(yì)의 형성자)
49. 己 : 몸 기; 己(jǐ)字旁
본래의 의미에 대한 정설이 없는 상태이다. 어떤 학자는 실패의 상형(紀의 본자)한 글자라고도 하고, 주살의 실의 모양을 상형한 글자라고 한다.
50. 巾 : 수건 건; 巾(jīn)字底
천이 걸려있는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巾’인 글자들은 대부분 천, 깃발, 천막과 관련이 있다.
☞ 관련자 : 帆(돛 범), 帖(휘장 첩), 帛(비단 백)
51. 干 : 방패 간; 干(gān,gàn)字旁
본래의 의미는 ‘원시시대 무기의 일종’이다. 나무로 만든 갈퀴모양의 무기로, 야수나 적의 목부분을 찔러 꼼짝 못하게 누를 수 있다. 고서에서 ‘干’은 방패를 말하기도 한다.
52. 幺 : 작을 요(yāo); 幺(yāo)字旁
빙빙 돌아가면서 감긴 실묶음을 본뜬 상형자이다. ‘糸’의 初文이다.
☞ 관련자 : 幻(변할 환; huàn; 염색한 실을 나뭇가지에 건 형상)
53. 广 : 엄호밑(엄, yǎn); 廣(guǎng)字頭
금문의 자형을 보면, 낭떠러지에 있는 오두막집을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广’인 글자들은 대부분 집과 관련이 있다.
☞ 관련자 : 序(차례 서, 학교 서(은나라 때의 학교); xù), 店(가게 점; diàn), 府(곳집 부; fǔ), 庫(곳집 고; kù), 廬(오두막집 려; lú), 廳(관청 청; tīng)
54. 廴 : 민책받침(길게 걸을 인, yĭn); 建(jiàn)之(zhī)旁
‘彳’(chì, ‘行’의 좌변)을 따르고 있으며, ‘걷다’는 의미를 나타낸다. 마지막 획을 우측으로 길게 뽑아‘오래 걷다’는 뜻을 나타내는 지사자이다. 의미요소가 ‘廴’인 글자들은 대부분 다리나 ‘길게 하다’(延; 끌 연)는 뜻과 관련이 있다.
☞ 관련자 : 廻(돌 회; huí), 延(끌 연; yán)
55. 廾 : 밑 스물 입(들 공, gŏng); 弄(nòng,lòng)字底
‘廾’은 두 손으로 무엇인가를 받들고 있는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廾’인 글자들은 대부분 ‘拱’(두 손 맞잡을 공; gǒng), ‘捧’(받들 봉; pěng), ‘抬’(들 태; tāi)의 동작과 관련이 있다.
☞ 관련자 : 弄(희롱할 농; nòng; 두손에 玉을 들고 즐기는 모양), 兵(군사 병; bīng; 손에 斤을 들고 있는 모양)
56. 弋 : 주살 익; 弋(yì)字邊
땅에 꽂혀 있는 나무(대나무) 위에 물건을 걸 수 있게 나무가지가 있는 모양을 본떴다. ‘杙’(말뚝 익)의 본자이다.
57. 弓 : 활 궁; 弓(gōng)字旁
줄이 끼여져 있는 활의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弓’인 글자들은 대부분 활이나 화살과 관련이 있다.
☞ 관련자 : 引(끌 인; yǐn; 활에서 줄이 풀려 있는 모양), 弛(늦출 이; chí; 활줄을 풀다)
58. 彐(彑) : 터진 가로왈(돼지머리 계, jì); 雪(xuě,xuè)字底
입이 쭉 나온 돼지머리를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彐’인 글자들은 대부분 돼지 등의 동물과 관련이 있다. 이 부수는 ‘彐(⺕)’(yòu; 오른손)과 다른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 관련자 : 彘(돼지 체; zhì; 활을 쏘지 않고는 잡을 수 없는 야생돼지)
59. 彡 : 터럭 삼, 비친석삼(shān); 三撇(piĕ)兒/三撇旁[須]/三撇邊 [形]
물건에 장식을 한 새깃털, 혹은 길게 흐르는 윤기 나는 머리카락을 상형한 글자이다. 의미요소가‘彡’인 글자들은 대부분 모발, 圖畵, 文樣과 관련이 있다.
☞ 관련자 : 彬(빛날 빈; bīn; 文彩가 뛰어나다), 彩(무늬 채; cǎi), 形(모양 형; xíng), 彪(무늬 표; biaō)
60. 彳 : 두 인변(자축거릴 척, chì); 雙(shuāng)人旁/雙立人
발, 종아리, 허벅지가 연결된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彳’인 글자들은 대부분 걷는 동작, 길, 발동작과 관련이 있다.
61. 心/忄/㣺 : 마음 심; 心(xīn)字旁/竪(shù)心旁(底)
심장의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心’이 偏旁으로 쓰이면 형태가 ‘忄’으로 그 모양이 바뀐다. 또‘恭’의 아랫 부분에 있는 ‘㣺’(심방부; 竪心底)도 ‘心’을 뜻한다. 일반적으로 ‘思想’, ‘情感’, ‘恭敬’처럼‘心’이 의미요소인 글자는 모두 정신, 심리, 마음, 희노애락과 관련이 있다.
☞ 관련자 : 怒(성낼 노; nù), 怨(원망할 원; yuàn), 怪(기이할 괴; guài), 恨(한할 한; hèn), 悅(기쁠 열; yuè)
62. 戈 : 창 과; 戈(ge)̄字邊
고대 무기의 일종이다. 긴 자루가 있고 상단에는 가로 놓인 칼이 있는 모양이다. 의미요소가‘戈’인 글자들은 대부분 무기, 전쟁과 관련이 있다.
☞ 관련자 : 戚(겨레 척, 슬플 척, 도끼 척; qī), 戰(싸울 전; zhàn), 我(나 아; wǒ; 날이 들쑥날쑥한 창), 戊(다섯째 천간 무, 창 무; wù), 戌(개 술; xū; 창으로 찌르다), 戍(지킬 수; shù; 人과 戈의 회의자), 戒(경계할 계; jiè; 廾과 戈의 회의자), 武(굳셀 무; wǔ: 止와 戈의 회의자), 戎(오랑캐 융; róng),國(나라 국; guó), 伐(칠 벌; fá)
63. 戶 : 지게 호; 戶(hù)字頭
문짝 하나만을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戶’인 글자들은 대부분 문이나 집과 관련이 있다.
☞ 관련자 : 啓(열 계; qǐ; 문을 손으로 열다), 房(방 방; fáng), 扉(문짝 비; fēi), 扇(사립문 선, 부채 선; shān, shàn), 扁(넓적할 편, 액자 편; biǎn, piān)
64. 手/扌 : 재방변(才와 자형이 같다는 뜻); 提(tí,dī)手(shǒu)旁
손의 모양을 본뜬 ‘手’의 변형체인 의미요소 ‘扌’인 글자는 대부분 손과 관련이 있다.
☞ 관련자 : 指(손가락 지; zhǐ), 探(찾을 탐, 더듬을 탐; tàn), 打(칠 타; dǎ, dá), 擊(칠 격, 부딪칠 격; jī), 把(잡을 파; bǎ), 握(쥘 악; wò), 技(재주 기; jì), 掌(손바닥 장; zhǎng)
65. 支 : 지탱할 지(zhī)
현재 중국에서는 이 부수를 설정하고 있지 않다. 손에 나무가지를 들고 있는 모양의 회의자이며, ‘枝’의 본자이다.
66. 攴/攵 : 등 글월 문(칠 복; pū) ; 反(fǎn)文(wén)旁/反文兒
‘攴’은 ‘攵’으로 표기되기도 하는데, 손에 몽둥이를 든 형태이다. ‘攴’이 의미요소인 글자들은 손으로 치는 동작, 공격하다는 뜻과 관련이 있다.
☞ 관련자 : 敝(해질 폐; bì́), 敎(가르침 교; jiào, jiāo), 攻(칠 공; gōng), 改(고칠 개; gǎi)
67. 文 : 글월 문; 文字旁/文字邊/文字心
본래의 의미는 ‘문신’으로 사람의 몸에 새겨진 도안을 의미한다. 의미요소가 ‘文’인 글자들은 대부분 무늬나 彩飾과 관련이 있다.
☞ 관련자 : 斐(오락가락할 비, 아롱질 비; fěi), 斑(얼룩 반; bān)
68. 斗 : 말 두; 斗dǒu字旁
긴 자루가 달린 국자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斗’인 글자들은 대부분 容器나 용기와 관련된 동작과 연관이 있다.
☞ 관련자 : 料(되질할 료; liào; 斗로 쌀을 재다), 斟(술 따를 짐; zhēn)
69. 斤 : 날 근; 斤(jīn)字旁
돌도끼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斤’인 글자들은 대부분 도끼류나 도끼로 자르거나 깍아내는 동작과 연관이 있다.
☞ 관련자 : 斧(도끼 부; fǔ), 斷(끊을 단; duàn) 折(꺾을 절; zhé, shé, zhē), 新(새 신; xīn; 나무를 베어 땔감으로 하다)
70. 方 : 모 방; 方(fāng)字旁(páng)[旗(qí)], 方字底[旁]
본래의 의미는 ‘칼자루’라고 하기도 하고 ‘농기구’라고 하기도 한다. 부수 ‘方’에 속해 있는 글자들은 대부분 ‘施’에서 ‘也’가 생략된 성분이 모두 포함되어 있다. 이 글자는 깃발이 나부끼는 모양을 상형한 것이다. 따라서 의미요소가 ‘方’인 글자는 대부분 ‘깃발’과 관련이 있다.
☞ 관련자 : 旗(기 기; qí), 旅(군사 려; lǚ), 族(겨레 족; zú), 旋(돌 선; xuán, xuàn)
71. 无 : 없을 무
부수를 처음 창안한 허신의 <<說文>>에도 설정되어 있지 않은 부수이며, 현재 중국에서도 여전히 부수로 설정하고 있지 않다.
72. 日 : 날 일변; 日(rì)字旁/底
해의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日’인 글자들은 대부분 태양, 빛, 시간, 건조와 연관이 있다.
☞ 관련자 : 旦(아침 단), 明(밝을 명; míng) 暗(어두울 암; àn), 晩(저물 만; wǎn), 暮(저물 모; mù),昔(예 석; xī), 星(별 성; xīng), 習(익힐 습; xí), 時(때 시; shí), 春(봄 춘; chūn), 昃(기울 측; zè)
73. 曰: 가로 왈(yuē) ; 扁(biǎn)日頭[量], 扁日底[昌], 扁日心[莫]
‘口’위에 횡선을 더한 지사자이다.
74. 月 : 달 월변; 月字旁
굽은 초승달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月’인 글자들은 대부분 달, 저녁, 빛, 시간과 연관이 있다. 달월변인 ‘月’과 고기육변인 ‘月’(肉)을 잘 구분해야만 한다.
☞ 관련자 : 朔(초하루 삭; shuò), 朗(밝을 랑; lǎng; 달이 차면 밝다)
75. 木 : 나무 목; 木(mù) 字旁
나무의 모야을 본뜬 상형자이다. ‘梅’, ‘松’, ‘梧桐’처럼 ‘木’이 의미요소인 글자는 모두 나무와 관련이 있다.
☞ 관련자 : 松(소나무 송; sōng), 本(밑 본; běn), 末(끝 말; mò), 果(실과 과; guǒ), 朿(가시 자; cì),束(묶을 속; shù), 析(가를 석; xī), 折(꺾을 절; zhé, zhē, shé), 林(수풀 림; lín) 森(나무 빽빽할 삼; sēn)
76. 欠 : 하품 흠; 欠(qiàn)字旁
‘欠’의 갑골문 자형은 한 사람이 꿇어앉아 입을 벌리고 하품을 하는 모습으로, 본래의 의미는 ‘하품하다’이다. 의미요소가 ‘欠’이 글자들은 대부분 입에서 무언인가 나오는 동작과 관련이 있다.
☞ 관련자 : 歌(노래 가; gē), 吹(불 취; chuī)
77. 止 : 그칠 지; 止(zhǐ)字旁
발의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止’인 글자들은 대부분 발이나 발과 유관한 동작과 관련이 있다.
☞ 관련자 : 步(걸음 보; bù; 좌우의 발을 상형한 글자), 武(굳셀 무; wǔ; 창[戈]을 들고 전쟁에 나가다), 之(갈 지; zhī: 止와 一의 회의자), 徒(무리 도; tu: 辵과 土의 형성자. 걷다)
78. 歹/歺 : 죽을 사변(부서진 뼈 알, dǎi/è); 歹(dǎi,è)字旁
살을 발라내고 남은 뼈를 말한다. 의미요소가 ‘歹’인 글자들은 대부분 죽음, 喪事, 나쁜 일과 관련이 있다.
☞ 관련자 : 死(죽을 사; sǐ: 死亡. ‘歺’과 ‘人’의 회의자), 殃(재앙 앙; yāng: 災殃), 殆(위태할 태; dài:危殆), 殘(해칠 잔, 죽일 잔; cán: 殘惡), 殯(염할 빈; bìn: 殯所)
79. 殳 : 갖은 등글월문(칠 수); 殳(shū)字邊
‘殳’는 고대에 쓰던 손잡이가 긴 병기이다. 의미요소로 쓰인 ‘殳’는 손에 몽둥이를 든 형태로 많이 쓰이므로 의미요소가 ‘殳’인 글자들은 대부분 손에 물건을 들고 때리거나 공격하는 동작과 관련이 있다. 또한 ‘殳’는 ‘股’(넓적다리 고)‧‘投’(던질 투)처럼 발음요소로 쓰이기도 한다.
☞ 관련자 : 殺(죽일 살; shā; 우측은 ‘老’에 피자국을 나타내는 점으로 되어 있음; 노인을 쳐서 죽이다는 뜻), 毆(때릴 구; ōu: 毆打(구타))
80. 毋/母 : 말 무; 母(mǔ)字底
‘母’는 여자가 끓어 앉아 있고, 가슴 앞에는 한 쌍의 유방을 나타내며, 모성의 상징이다. ‘毋’(wú)는貝殼, 龜甲의 형상을 본떴으며, ‘一’은 그것을 꿰뚫은 형상을 본떴다. ‘貫’의 초문이라고 설명하기도 한다. ‘母’와 연관된 한자로는 ‘每’가 있는데, 이 글자는 본래 ‘곱게 단장한 여자’, ‘머리 장식’ 뜻으로 쓰였었다.
81. 比 : 견줄 비; 比(bǐ,bì)字旁
두 사람이 앞뒤로 서있는 모양이다.
☞ 관련자: 皆(다 개; jiē, 회의: 俱詞也. 함께 말하다)
82. 毛 : 터럭 모; 毛(máo)字旁[毯(tǎn)], 毛字底[毫(háo)]
수염이나 머리털, 동물의 털을 본뜬 상형자이다. 즉 털이 수북하게 자란 모양이다. 의미요소가‘毛’인 글자들은 대부분 머리카락, 수염, 동물의 털과 연관이 있다.
☞ 관련자 : 毯(담요 담; tǎn), 毫(가는 털 호; háo)
83. 氏 : 각시 씨 氏(shì,zhī)
전국문자에서 ‘氏’자는 위에 괴이한 모습을 한 용이나 뱀 모양의 토템이 걸려있는 나무막대의 모양으로서, 이는 종족의 표지이다. 따라서 ‘氏’자의 본래의 의미는 ‘종족의 호칭’이다. 이런 호칭은 옛날에는 귀족에게만 있었다. 현재 중국에서는 이 부수를 설정하고 있지 않다.
84. 气 : 기운 기; 气(qì)字頭
갑골문의 형태에 의거하여 구름 기운(雲氣)을 상형한 글자라고 설명하기도 하고, 공중의 기류를 나타낸 상형자라고 설명하기도 한다. 의미요소가 ‘气’인 글자들은 대부분 기체와 연관이 있다.
☞ 관련자 : 氣(기운 기; qì: 氣運), 氛(기운 분; fēn: 氣分), 氫(수소 경; qīng: 氫彈(qīngdàn; 수소폭탄)), 氧(산소 양; yǎng: 二氧化碳(èryǎng huàtàn: 이산화탄소))
85. 水/氺/氵 : 물 수, 아래물 수, 삼수변; 三點水
흐르는 물을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水’의 변형체인 ‘氵’(삼수변; 三點水)인 글자들은 강이나 하천의 이름을 나타내거나 물과 관련이 있는 사물이나 동작을 나타낸다.
☞ 관련자 : 江(강 강; jiāng), 河(강 이름 하; hé), 沒(가라앉을 몰; méi, mò)
86. 火(火字旁), 灬(四點底) : 불 화 (huǒ)
‘火’는 불의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火’(불화부; 火字旁)인 글자들은 ‘불’과 관련이 있는 사물, 성질, 동작 등을 나타낸다. ‘火’자가 ‘然’, ‘烈’, ‘熱’, ‘照’처럼 ‘灬’(四點底)로 쓰이기도 한다.
☞ 관련자 : 炎(불탈 염; yán), 灰(재 회; huī), 炭(숯 탄; tàn), 煙(연기 연; yān)
87. 爪/爫 : 손톱 조; 爪(zhǎo)字頭
《설문해자》에서는 “손을 뒤집은 것이 爪이다”라고 설명하였다. 자형은 물건을 움켜 쥐려는 손을 단지 손가락 세 개만으로 나타내었다. 의미요소가 ‘爪’인 글자들은 대부분 손동작과 연관이 있다.
☞ 관련자 : 采(캘 채; cǎi, cài), 爲(할 위; wéi, wèi), 爰(줄 원, 이에 원; yuán; 막대기를 양쪽에서 손으로 잡고 있는 모양. =援), 受(받을 수; shòu: 접시를 건네줌), 妥(온당할 타; tuǒ), 爬(긁을 파; pá)
88. 父 : 아비 부; 父(fù,fǔ)字頭
원래 한 손에 돌도끼를 쥐고 있는 모양으로, 노동에 종사하는 남자를 나타낸다. 의미요소가 ‘父’인 글자들은 대부분 아버지 등 나이가 있는 남자와 연관이 있다.
☞ 관련자 : 爺(아비 야; yé), 爸(아비 파; bà), 爹(아비 다; diē)
89. 爻 : 점괘 효, yáo
《설문해자》에 ‘교차하다’는 뜻으로 풀이하고 있다. 현재 중국에서는 이 부수를 설정하고 있지 않다.
90. 爿 : 장수 장변(조각 널 장 chuáng)
침대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현재 중국에서는 이 부수를 설정하고 있지 않다.
91. 片 : 조각 편; 片(piàn,piān)字旁
웜목의 중간을 자른 형태를 묘사한 지사자로, 잘라낸 나무조각을 의미한다. 의미요소가 ‘片’인 글자들은 대부분 나무판이나 대나무처럼 길고 ?은 모양의 물체와 연관이 있다.
☞ 관련자 : 版(널 판; bǎn), 牌(패 패; pái)
92. 牙 : 어금니 아; 牙(yá)字旁
어금니의 위아래가 맞물린 모양을 본뜬 상형자로, ‘어금니’를 뜻한다.
93. 牛 : 소 우; 牛(niú)字旁
소의 머리부분을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牛’인 글자들은 대부분 소 등의 가축과 연관이 있다.
☞ 관련자 : 牡(수컷 모; mǔ), 牝(암컷 빈; pìn), 物(만물 물; wù; 본래의 의미는 ‘雜色牛’임)
94. 犬/犭 : 개 견; 犬(quǎn)字旁/反犬旁
세로로 서있는 개의 형상을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犬’인 글자들은 대부분 개 등의 동물류나 그것의 속성과 관련이 있다.
☞ 관련자 : 狐(여우 호; hú), 狗(개 구; gǒu), 狡(교활할 교; jiǎo), 猾(교활할 활; huá)
95. 玄 : 겸을 현; 玄(xuán)字旁
작은 물건(幺)이 덮혀 있는 모양을 본떴다는 설, 검은 실 묶인 모양을 본떴다는 설 등이 있다.
96. 玉/王 : 구슬 옥변; 斜(xié)玉(yù)旁/王(wáng,wàng)字旁
글자의 형태를 보면 ‘王’자이지만 의미를 나타내는 의미요소는 사실상 ‘玉’자이다. ‘王’字가 포함되어 있는 많은 글자들은 대부분 이처럼 ‘玉’의 의미와 관련이 있다. 의미요소가 ‘玉’인 글자들은 대부분 옥의 종류를 나타낸다.
‘王’자의 최초의 자형은 큰 도끼의 모양으로, 윗부분은 도끼자루이고, 아랫부분은 넓은 날이다. 이것은 바로 실력과 권위의 상징이다. 그러므로 고대의 최고 통치자를 ‘王’이라고 부른다.
☞ 관련자 : 球(공 구, 아름다운 옥 구; qiú), 玩(희롱할 완; wán), 理(다스릴 리, 옥을 갈 리; lǐ), 珊(산호 산; shān), 瑚(산호 호; hú: 珊瑚)
97. 瓜 : 오이 과; 瓜(guā)字旁
달려 있는 오이의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瓜’인 글자들은 대부분 박과 식물과 관련이 있다.
☞ 관련자 : 瓢(박 표; piáo), 瓠(표주박 호; hù)
98. 瓦 : 기와 와; 瓦(wǎ)字旁
두 기와가 위아래로 엇갈려 덮여 있는 모양이다. 의미요소가 ‘瓦’인 글자들은 대부분 흙으로 만든 제품과 관련이 있다.
☞ 관련자 : 瓷(사기그릇 자; cí), 甁(병 병; píng)
99. 甘 : 달 감; 甘(gān)字旁
입모양(口) 중간에 횡선을 그어 입속에서 음식물에 대하여 달다는 느낌이 있음을 나타낸다.
☞ 관련자 : 甛(달 첨; tiān)
100. 生 : 날 생; 生(shēng)字旁
땅 위에 연한 싹이 자라나는 모습을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生’인 글자들은 대부분 성장,증가와 관련이 있다.
☞ 관련자 : 産(낳을 산; 生-총11획; chǎn), 隆(성할 륭; lóng)
출처 : 경남지역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