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황 | |
면적 |
692.8 km² |
세대 |
51,812가구 (2011) |
총인구 |
123,512명 (2011) |
읍 |
1개 |
면 |
14개 |
8개 | |
27개 | |
시장 |
김생기 |
국회의원 |
|
시청 | |
소재지 |
충정로 234 (수성동 440-1) |
홈페이지 |
|
상징 | |
시목 |
|
시화 |
백련꽃 |
시조 |
정읍시(井邑市)는 대한민국 전라북도 남서부에 있는 시이다. 전주와 광주의 중간지점에 자리잡고 있다.
목차 [숨기기] |
[편집] 역사
행정구역의 역사는 정읍시의 행정 구역#역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마한의 고비리국, 초산도비리국이 위치해 있었다고 한다. 백제 때 정촌현, 대시산군, 고사부리군이 설치되어 있었다. 757년 신라 경덕왕이 정촌현을 정읍현으로 개칭하고 태산군(현재 태인면)의 영현으로 삼았다. 이때 고사부리군은 고부군으로 개칭되었다. 936년 정읍현을 고부군의 속현으로 삼고 감무를 설치했다. 951년 고부군에 안남도호부를 설치하였고, 1019년에는 안남도호부를 폐지하고 고부군으로 환원하였다. 조선 시대 1409년 고려 시대의 태산군과 인의현이 합쳐져 태인군이 되었다. 1421년 태인향교가 신축되었다. 1593년 입암산성이 수축되었다. 1894년 고부군수 조병갑의 압정에 반발하여 고부의 농민들이 봉기하였다. 이 민란은 이후 동학농민운동으로 확산되었다.
- 1895년 음력 윤5월 1일 전라도 정읍현을 전주부 정읍군으로 개편하였다.[1]
- 1896년 8월 4일 전라북도 정읍군으로 개편하였다.[2]
- 1914년 4월 1일 정읍군, 태인군, 고부군(백산면, 거마면, 덕림면 제외)을 정읍군으로 통폐합하였다. [3] (19면)
- 1930년 12월 26일 정읍면을 정주면으로 개칭하였다.[4]
- 1931년 4월 1일 정주면이 정주읍으로 승격하였다.[5] (1읍 18면)
- 1935년 3월 1일 정토면·우순면을 정우면으로 합면하고, 보림면을 북면·태인면에 분할 편입하고, 용북면을 신태인면으로 개칭하였다.[6]
- 1940년 11월 1일 신태인면이 신태인읍으로 승격하였다.[7] (2읍 15면)
- 1976년 정주읍에 동부·서부·남부출장소가 설치되었다.
- 1981년 7월 1일 정주읍 일원을 관할로 하여 정주시가 설치되었다.[8] (1읍 15면)
- 1983년 2월 15일 정읍군 내장면 일원과 소성면 흑암리·용계리·공평리, 덕천면 망제리, 북면 영파리·구룡리·하북리가 정주시에 편입되었고, 정읍군 소성면 봉양리가 정읍군 입암면에 편입되었고, 정읍군 태인면 백산리가 정읍군 신태인읍에 편입되었다.[9] (1읍 14면)
- 1995년 1월 1일 정주시 일원과 정읍군 일원을 관할로 도농복합형태의 정읍시가 설치되었다.[10]
- 2011년 5월 1일 시기3동을 초산동으로 개칭하였다.[11]
[편집] 지리
[편집] 위치
정읍시는 동남쪽 노령산맥의 줄기로 산세가 수려한 내장산 국립공원과 입암산이 연결되어 있다. 서북쪽 농소동과 상평동, 연지동을 관통하는 호남선과 고속도로 및 국도 3개 노선이 연결되어 서해안 지방 교통의 요지이다. 또한 서북은 평야가 광활하여 유명한 동진평야를 이루고 하천은 지세를 따라 서북으로 흐르고 있다. 옥정호를 수원지로 한 동진강이 동남단인 내장산으로부터 흐르고 있는 정읍천과 합류하여 부안군과 경계를 이어 황해에 유입하고 그 유역에는 관개지로써 토지가 비옥하여 농업에 적합하다.[12]
동경 127도 07분 ~ 126도 43분, 북위 35도 27분 ~ 북위 35도 45분에 걸쳐있고 총 면적은 692.8㎢로 전라북도내의 시 중 2번째로 넓은 도시이며 2005년 기준 인구는 129,868명이다.[출처 필요] 동남쪽으로는 노령산맥의 줄기로 내장산 국립공원과 입암산이 연결되어 있다.
[편집] 기후
연평균 기온은 13.1도 최고온도는 90년 8월 37.5도 최저기온은 74년 12월 -14.4도로 기록되어 있다. 연평균 강수량은 약 1,317.3mm 연평균 풍속은 1.1m/sec이다.
[숨기기]정읍시 (1981−2010)의 기후 | |||||||||||||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년 |
평균최고기온℃ (℉) |
4.3 (39.7) |
6.7 (44.1) |
12.3 (54.1) |
19.4 (66.9) |
24.3 (75.7) |
27.8 (82) |
30.2 (86.4) |
31.1 (88) |
26.9 (80.4) |
21.4 (70.5) |
14.0 (57.2) |
7.2 (45) |
18.8 (65.8) |
일평균기온 ℃ (℉) |
−0.5 (31.1) |
1.3 (34.3) |
6.0 (42.8) |
12.3 (54.1) |
17.8 (64) |
22.0 (71.6) |
25.5 (77.9) |
25.9 (78.6) |
21.2 (70.2) |
14.9 (58.8) |
8.2 (46.8) |
2.1 (35.8) |
13.1 (55.6) |
평균최저기온 ℃ (℉) |
−4.8 (23.4) |
−3.3 (26.1) |
0.6 (33.1) |
6.0 (42.8) |
11.8 (53.2) |
17.1 (62.8) |
21.8 (71.2) |
21.9 (71.4) |
16.6 (61.9) |
9.4 (48.9) |
3.2 (37.8) |
−2.3 (27.9) |
8.2 (46.8) |
강수량 mm (inches) |
40.2 |
41.3 |
55.2 |
75.3 |
94.6 |
156.1 |
279.7 |
270.3 |
151.0 |
54.3 |
57.8 |
41.6 |
1,317.3 |
% 습도 |
74.4 |
70.7 |
66.3 |
62.7 |
65.5 |
71.4 |
77.3 |
76.6 |
75.5 |
71.8 |
72.2 |
74.4 |
71.6 |
평균강수일수(≥ 0.1 mm) |
10.1 |
8.0 |
8.9 |
7.4 |
8.2 |
9.1 |
13.7 |
14.1 |
8.9 |
6.4 |
8.6 |
9.9 |
113.3 |
일조시간 |
149.0 |
161.0 |
195.7 |
225.4 |
235.8 |
193.5 |
174.6 |
195.6 |
191.0 |
206.3 |
157.2 |
141.5 |
2,229.0 |
출전: 기상청[13] |
[편집] 행정 구역
이 부분의 본문은 정읍시의 행정 구역입니다.
정읍시 행정구역
정읍시의 행정 구역은 1읍 14면 8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정읍시의 면적은 692.93㎢이며, 인구는 2009년 12월 31일을 기준으로 50,664 세대 122,935명이다.[14]
읍면동 |
한자 |
세대 |
인구 |
면적 |
新泰仁邑 |
3,298 |
7,195 |
29.83 | |
北面 |
2,293 |
5,581 |
35.64 | |
笠岩面 |
1,684 |
3,743 |
35.80 | |
所聲面 |
1,284 |
2,676 |
29.06 | |
古阜面 |
1,666 |
3,696 |
40.02 | |
永元面 |
1,089 |
2,279 |
24.96 | |
德川面 |
1,009 |
2,366 |
20.66 | |
梨坪面 |
1,405 |
2,884 |
25.73 | |
淨雨面 |
1,533 |
3,215 |
30.34 | |
泰仁面 |
2,083 |
4,598 |
34.20 | |
甘谷面 |
1,689 |
3,494 |
41.57 | |
瓮東面 |
1,046 |
2,163 |
39.88 | |
七寶面 |
1,317 |
2,896 |
49.60 | |
山內面 |
754 |
1,548 |
64.98 | |
山外面 |
1,361 |
2,713 |
62.74 | |
水城洞 |
6,599 |
17,900 |
5.90 | |
長明洞 |
1,587 |
4,132 |
6.55 | |
內藏上洞 |
7,044 |
20,012 |
45.17 | |
市基洞 |
2,005 |
4,864 |
0.45 | |
楚山洞 |
3,214 |
8,993 |
2.90 | |
蓮池洞 |
2,564 |
6,000 |
1.71 |
農所洞 |
2,166 |
5,391 |
18.81 | |
上橋洞 |
1,974 |
4,596 |
46.16 | |
정읍시 |
市 |
50,664 |
122,935 |
692.65 |
[편집] 교통
국도 제1호선, 22호선, 29호선이 시내를 통과하며, 국도 제21호선이 시내에 인접하여 놓여 있다. 호남고속도로가 정읍시의 남북을 관통하며, 농소동에 위치한 정읍 나들목과 태인면에 위치한 태인 나들목을 이용하여 진출입할 수 있다. 2000년 초반에는 내장산 관광객의 이용 편의를 증진시키기 위해 내장산 나들목을 개통하였다.
호남선(湖南線) 역시 정읍시를 남북으로 관통하며, 그 중 정읍역은 그룹대표역으로, KTX의 선택정차역이며 무궁화호와 새마을호의 필수정차역이기도 하다. 이 역을 이용하여 정읍시와 인접 시군인 고창군, 부안군, 순창군 주변관광을 하기 위해 많은 관광객이 찾고 있다. 신태인읍에 자리한 신태인역은 신태인읍, 감곡면, 태인면 등 정읍시 북부의 교통 수요를 충족시켜주고 있다. 이 밖의 철도역으로는 천원역과 노령역이 존재한다.
대중교통 수단으로는 공영제로 운영되는 시내버스가 있으며, 내장산과 황토현을 포함한 정읍시의 각 지역과 정읍시와 인접한 고창군, 부안군, 김제시 일부 지역을 연결한다. 해당 시군에서 운영되는 시내버스 및 농어촌버스중 일부가 역으로 정읍시를 최종 목적지로 삼기도 한다. 연지동에는 정읍공용터미널이 위치한다. 시외버스 터미널과 고속버스 터미널이 분리되어 운영되고 있어서 전자는 전주, 광주, 고창, 내장산, 부안 등의 정읍 인근의 지역과 성남, 부천, 안양 등의 수도권이, 후자는 서울(센트럴시티)와 동서울이 주요 행선지이다.
[편집] 산업
논농사를 주로 하고 있으나 동부 노령산맥 서사면에서는 밭농사가 많다. 주곡 농업 외에 채소 등의 원예작물의 재배가 활발하며, 특용작물로 사과·감 등이 많이 생산된다. 축산업으로 양계·양돈업도 영위된다. 제조업은 견직·면직 등의 섬유공업, 배합사료가공·양송이통조림·식용유·전분제조 등의 식료품 공업, 백열전구제조업 등이 성하다. 1981년 정읍공업단지가 조성되고 서해안 개발 추진에 따라 1988년 이후 농소동·북면에 공업단지 및 농공단지가 건설되어 공업화가 진전되고 있다.중소 시범공단 조성은 농소동 공단부지 201.654㎢을 조성하여 완전 분양으로 식용유, 세탁비누, 박스원료, 미원사료, 장판지 및 제지, 안경테, 레미콘 등이 입주해 있고 입안면에는 면직물 제조업체가 집중되어 있다.
[편집] 문화유적/명소
정읍시 영원면 은선리 43소재. 백제시대 고사부리군(고부의 옛 명)의 고을터였던 은선리에 있는 백제의 삼층석탑이다. 탑의 구조를 보면 높이 7.2m, 기단은 2.7m 두께 27cm, 정방형에 제1층의 높이는 2.28m, 넓이 1.38m의 판석 두 장을 양측에 세우고 앞뒤에 또 면석 2장 등 모두 4매의 판석으로 세워졌다. 제2층탑신은 높이가 아주 낮아져서 85cm에 넓이 90cm이며, 또 제3층 탑신은 높이 55cm에 넓이 60cm 가량이다. 각 층의 옥개는 두 장의 판석을 방형으로 맞추었다.이 탑의 특징은 제1층의 탑신이 장신인 동시에 제2층에 감실을 만들고 두 개의 석비를 달아 붙인 점이다. 익산의 왕궁 오층석탑과 비슷하나 감실에 석비를 달아 붙인 점이 다르다.
정읍시 망제동 10소재. 망제봉의 서쪽 기슭 천곡리 골짜기에 있어 통칭 천곡사지 석탑이라고 한다. 원래는 오층석탑이 또 하나 있었는데 1925년경 일본인들이 어디론지 옮겼다. 이때 해체한 탑속에서 고려 태조 21년(938)이라는 명문이 나와 이를 탑의 축조연대로 보고 있다. 전설에 의하면 현존하는 칠층석탑은 남승의 탑이고 옮겨간 탑은 여승의 탑이라 한다.탑의 형태는 신라의 형태를 벗어난 고려탑의 형태로써 그 구조는 탑의 규모에 비하여 기단의 규모가 작은 편이며, 1층의 탑신은 네 개의 판석을 서로 엇물려 세웠다. 제2층의 탑신은 높이가 제1층보다 훨씬 낮은 동시에 크기가 다른 두 개의 판석으로 구성되었다. 그리고 3층 이상의 탑신은 모두 장방형태로 다듬어진 한 덩이의 돌로 세워져 있는데 좁은 편이나 두꺼워서 둔중한 감을 주기도 한다.
정읍시 칠보면 무성리 500 소재. 신라 말의 유현인 고운 최치원과 조선 중종 때 태인현감이던 신잠을 향사하기 위해 세운 서원이다. 원래는 태산서원이라 하던 것을 숙종 22년(1696)에 사액됨으로써 무성서원이라 하였다. 사우는 최치원을 비롯하여 신잠·정극인·송세림·정언충·김약묵·김관 등의 향현을 배향하였다. 현존 건물로는 현가루를 비롯하여 강당·동서재·사우·비각 등이 있다.사우는 성종 15년(1484)에 중수되었고, 강당은 순조 25년(1825)에 불타 없어진 것을 순조 28년(1828)에 중건하였다. 이 서원에는 성종 17년 이후의 봉심안·강안·심원록·원규 등의 귀중한 서원 연구자료가 보존되어 있다.
정읍시 이평면 장내리 458소재. 녹두장군 전봉준이 동학운동을 일으킬 당시 거주하였던 집. 전봉준은 조선왕조 철종 6년(1855)에 이 지방의 양반 가문에서 출생, 고종 27년(1890) 동학에 입도하였으며 서당 훈장으로 있었다. 당시 전국의 농촌은 일부 탐관오리의 학정으로 농민들의 원성이 높아지고 있었으며 이곳 고부군 역시 군수 조병갑의 만석보 수세 강제징수 등 학정에 시달린 농민들의 생활은 피폐하고 원성이 높았다. 이때 선생은 고부군의 동학 접주로 분노에 찬 농민들과 동학교도의 조직을 이용 제폭구민, 보국안민의 구호를 내세우고 동학운동을 주도하였다.
호남지방의 5대 명산(지리산·월출산·천원산·방장산) 중 하나이며 한국 팔경의 하나로 500여 년 전부터 우리나라 유일한 단풍 명소로서 널리 알려졌으며 명찰 내장사가 있다.1969년 1월 21일 관광지로 널리 지정되었으며 1971년 11월 17일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어 1975년 봉룡지구에 집단시설을 조성하고 공원주변과 경내 조경을 새롭게 정비하였으며 박정희 대통령의 휘호를 받아 공원탑을 세웠다.공원면적은 76.03㎢로 정읍시·순창군·전남 장성군과 인접해 있고 단풍 성수기에는 1일 10만의 인파가 단풍을 보기 위해 내장산을 찾는 외에 연중 100만 이상의 관광객이 내장산을 찾고 있다. 봄에는 푸른 산록 사이로 피어나는 벚꽃의 아름다움과 여름에는 푸른 녹음, 가을은 불타는 단풍, 겨울에는 설경의 아름다움으로 4계절 관광명소이다.
[편집] 교육 기관
- 사립전문대학
|
- 전북과학대학교 |
- 고등학교
|
- 공립정읍고등학교 - 정읍여자고등학교 - 정읍제일고등학교 - 칠보고등학교 |
- 사립호남고등학교 - 배영고등학교 - 정주고등학교 - 서영여자고등학교 |
- 왕신여자고등학교 - 신태인고등학교 - 인상고등학교 - 태인고등학교 |
- 중학교
|
- 공립감곡중학교 - 고부중학교 - 산외중학교 |
- 소성중학교 - 입암중학교 - 정산중학교 - 정우중학교 |
- 정읍여자중학교 - 정읍중학교 - 정일여자중학교 - 칠보중학교 |
- 사립배영중학교 - 신태인중학교 - 왕신여자중학교 |
- 이평중학교 - 태인중학교 - 학산중학교 - 호남중학교 |
- 초등학교
|
- 감곡초등학교 - 고부초등학교 - 관청초등학교 - 교암초등학교 - 내장초등학교 - 능교초등학교 - 대흥초등학교 - 덕천초등학교 - 도학초등학교 - 동신초등학교 |
- 백암초등학교 - 보성초등학교 - 북면초등학교 - 산외초등학교 - 서신초등학교 - 소성초등학교 - 수곡초등학교 - 신태인초등학교 - 영산초등학교 - 영원초등학교 |
- 옹동초등학교 - 용곽초등학교 - 이평초등학교 - 입암초등학교 - 정남초등학교 - 정우초등학교 - 정읍남초등학교 - 정읍동초등학교 - 정읍북초등학교 - 정읍서초등학교 |
- 정읍수성초등학교 - 정일초등학교 - 칠보초등학교 - 태인초등학교 - 회룡초등학교 - 정읍초등학교 - 한솔초등학교 |
[편집] 자매 도시
[편집] 주석
1. ↑ 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1895년 음력 5월 26일)
3. ↑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년 12월 29일)
4. ↑ 전라북도령 제26호 (1930년 12월 26일)
5. ↑ 조선총독부령 제103호 (1930년 12월 29일)
6. ↑ 전라북도령 제1호 (1935년 1월 30일) (1읍 16면)
7. ↑ 조선총독부령 제221호 (1940년 10월 23일)
8. ↑ 법률 제3425호 광명시등시설치와군관할구역변경에관한법률 (1981년 4월 13일)
9. ↑ 대통령령 제11027호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및면설치등에관한규정 (1983년 1월 10일) 제5조
10. ↑ 법률 제4774호 경기도남양주시등33개도농복합형태의시설치등에관한법률 (1994년 8월 3일)
11. ↑ 정읍시 조례 제972호 행정운영동의 설치 및 동장정수 조례 (2011년 4월 22일)
12. ↑ 정읍의 지형 및 지세
13. ↑ 평년값자료(1981−2010) 정읍(245). 기상청. 2011년 5월 4일에 확인.
14. ↑ 정읍시의 주요 통계, 2011년 8월 6일 확인
[편집] 바깥 고리
- (한국어/영어/일본어/중국어) 정읍시청 (공식)
[보이기] • • • 전라북도정읍시의행정 구역 |
[숨기기] • • • 전라북도의 행정 구역 | |
도청소재지: 전주시 | |
원본 주소 "http://ko.wikipedia.org/w/index.php?title=정읍시&oldid=9471248"
- 대한민국의 도시
- 1995년 설치
- 숨은 분류: 날짜 매개변수 없이 출처 틀이 쓰인 글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 계정 만들기
- 로그인
- 연습장
이름공간
- 문서
- 토론
변수
보기
- 읽기
- 편집
- 역사
행위
찾기
둘러보기
- 대문
- 사용자 모임
- 요즘 화제
- 최근 바뀜
- 모든 문서 보기
- 임의 문서로
- 도움말
- 기부
도구모음
- 공용에 올리기
- 특수 문서 목록
- 고유링크
- 문서 정보
인쇄/내보내기
- 책 만들기
- 인쇄용 문서
다른 언어
- Català
- English
- Español
- فارسی
- Français
- Italiano
- 日本語
- Lumbaart
- Polski
- Русский
- Scots
- Svenska
- Tagalog
- Winaray
- 中文
- 이 문서는 2012년 10월 3일 (수) 23:58에 마지막으로 바뀌었습니다.
-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규약을 참고하십시오.
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정읍시
[ 井邑市 , Jeongeup-si ]
정읍시 행정구역과 지명
- 구분 행정지명 > 시
- 위치 전라북도 정읍시
- 옛지명 삼국시대 : 대시산군(大尸山郡), 빈굴현(賓屈縣), 정촌현(井村縣), 고사부리군(古沙夫里郡)→고사주(古四州)
통일신라시대 : 태산군(泰山郡), 빈성현(斌城縣), 정읍현(井邑縣), 고부군(古阜郡)
고려시대 : 태산군(泰山郡), 인의현(仁義縣), 정읍현(井邑縣), 고부군(古阜郡)
조선시대 : 태인현(泰仁縣), 정읍현(井邑縣), 고부군(古阜郡)
대한제국 : 태인군(泰仁郡), 정읍군(井邑郡), 고부군(古阜郡)
1945년 : 정읍군(井邑郡)
전라북도 정읍시의 남서부에 위치한 시이다. 호남 서해안 지역을 연결하는 교통의 요지로 동쪽은 임실군과 완주군, 서쪽은 부안군과 고창군, 남쪽은 순창군과 전남 장성군, 북쪽은 김제시에 접하고 있다. 노령산맥 서쪽 사면에 자리 잡고 있는데, 서북 지역은 낮은 구릉과 평야가 넓게 분포하고 있고, 동부와 남부는 노령산맥 줄기인 묵방산, 내장산, 방장산 등의 산지들이 연속되어 있다. 현재 수성동 · 내장상동 · 신태인읍 · 고부면 등 8개 동 1개 읍 14개 면을 관할하고 있다.
정읍 지명은 『삼국사기지리지』에 "정읍현은 본시 백제의 정촌(井村)으로, 경덕왕이 이름을 바꿔 지금도 그대로 한다."라고 하는 관련 기록에 처음 나타난다. 『신증동국여지승람』(정읍)에는 "망부석(望夫石)은 현의 북쪽 10리에 있다. 현의 사람이 장사하러 떠나서 오랫동안 돌아오지 않으니, 그 아내가 산 돌 위에 올라가서 (중략) 진흙탕 물의 더러움을 의탁하여 노래를 지으니 그 곡을 정읍이라 한다."라고 하여 백제 가요로 알려진 정읍사(井邑詞)와 관련된 내용에서 정읍이란 용어가 등장하고 있다.
본래 조선 시대 정읍현(井邑縣) · 고부군(古阜郡) · 태인현(泰仁縣) 지역으로 1895년 지방관제 개편 때 전주부의 정읍군 · 고부군 · 태인군이 되었고, 1896년 전라북도에 속하게 되었다. 1914년 이들 세 지역을 중심으로 흥덕군 이동면 · 금구군 수류면 · 김제군 남면 · 임실군 하운면 · 부안군 입상면과 건선면의 일부 동리를 합쳐 정읍군으로 하여 19개 면을 관할하게 하였다. 1940년 신태인면이 신태인읍으로 승격되었다. 1981년 정주읍이 시로 승격되면서 정읍군과 분리되어 정주시가 되었다. 1995년 정주시와 정읍군을 합쳐 정읍시가 되어 오늘에 이른다.
참고자료 한국지명유래집 전라 · 제주편 일러두기 및 '전라 · 제주권의 지명' 총론 목차동의어 정촌(井村), 초산(楚山), 정주(井州) 참조어 정읍시의 행정지명별 관할 법정지명
출처 한국지명유래집 전라 · 제주편, 2010.12, 국토지리정보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NHN의
정읍시
[ Jeongeup-si , 井邑市 ]
- 연관목차보기 0. 정읍시
- 1. 연혁
- 2. 산업
- 1) 농림축산업
- 2) 광공업
- 3. 교통관광
- 4. 사회문화
전라북도 남서부에 있는 시.
정읍시 전경전라북도 정읍시 전경
- 면적 692.65
- 행정구분 1읍 14면 8동
- 행정관청소재지 전라북도 정읍시 충정로 234 (수성동 440-1)
- 꽃 구절초
- 나무 단풍나무
- 새 원앙
- 홈페이지 http://www.jeongeup.go.kr
동경 127°07′∼126°43′, 북위 35°27′∼35°45′에 위치하고 있다. 대도시 전주와 광주의 중간지점에 자리잡고 있으며, 호남 서해안 지방을 연결하는 교통의 요지이다. 동쪽은 임실군·완주군, 서쪽은 부안군·고창군, 북쪽은 김제시, 남쪽은 순창군과 전라남도 장성군과 접한다. 시청 소재지는 정읍시 수성동에 있다.
노령산맥 서쪽 사면에 자리잡고 있다. 시 서부의 기반암은 중생대 쥐라기의 대보화강암으로서 해발고도 약 100m 미만의 구릉이 넓게 분포하며, 이 사이에 동진강·고부천 등이 흘러서 신태인읍·태인면·고부면·영원면·이평면 등지에 충적평야가 넓게 전개된다. 동부는 노령산맥지대로서 편마암·편마상화강암·신기화산분출암이 북동·남서 방향으로 나타나며, 남동부에는 중생대 백악기 상부에 속하는 신라층군의 퇴적암류가 분포하여 해발고도 400∼600m의 산지를 이루어 섬진강과 동진강의 분수계가 된다.
이런 지형적 특징을 이용하여 칠보발전소에서 유역변경식 발전이 이루어지며, 이 물은 동진강 수로를 통해 계화도 간척지에 공급된다. 동부의 산외면·산내면 등 노령산맥지대는 해발고도 500∼600m의 산간지대여서 고랭지가 된다. 토양은 서부의 대보화강암지역은 화강암의 심층풍화에 의해서 이루어진 적황색토가 구릉을 덮고 있으며 충적평야는 충적토 및 회색토이다.
동남쪽 노령산맥의 줄기인 산세가 수려한 내장산국립공원과 입암산이 연결되어 있고, 서북쪽 농소동과 상평동 연지동을 관통하는 호남선철도와 고속도로 및 국도 3개 노선이 연결되어 서해안지방 교통의 중심지를 이룬다. 북서쪽은 평야가 광활하여 유명한 동진평야를 이루고 하천은 지세를 따라 북서로 흐르고 있다. 운암저수지를 수원지로 한 동진강이 동남단인 내장산으로부터 흐르는 정읍천과 합류하여 부안군과 경계를 이어 황해에 유입하고 그 유역에는 관개지로서 토지가 비옥하여 농업에 적합한 지역을 이룬다.
대륙성 기후권에 속하나 겨울에 삼한사온이 명확한 것이 특색이다. 연평균기온 12.8℃, 연평균강수량은 약 1,286.2mm, 1월 평균기온 -0.7℃, 7월 평균기온 25.5℃(평년값 기준) 로서 남부내륙형 기후에 속한다. 동부의 노령산맥지대는 겨울에 눈이 많고, 여름에는 서늘하여 고랭기후를 나타낸다. 풍향풍속은 계절풍의 영향을 받으며, 대체적으로 주풍향은 남풍 및 북서풍이고 연평균 풍속은 1.1m/sec이다.
관련이미지 (7)
정읍시 전경 전북 정읍시. 원본보기 출처: ys
1/7
위 이미지에 대한 권리는 출처사이트 게시자에게 있으며, 이를 무단 사용할 경우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참조항목
고부천, 김제평야, 노령, 동진강, 변산반도, 전라북도, 추령천
역참조항목
갈담저수지, 감곡면, 고부군, 고부면, 고암서원, 구소국, 내장산국립공원, 덕천면
연관목차
- 0. 정읍시
- 1. 연혁
- 2. 산업
- 1) 농림축산업
- 2) 광공업
- 3. 교통관광
- 4. 사회문화
출처
[출처] 정읍시 | 두산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