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골프장 관련 정부세제개편안에 따라 가장 격앙된 곳은 다름 아닌 대중골프장들이다.
지난 2008년 10월 도입된 이른바 ‘조특법 폭탄’으로 치명적인 피해를 당했던 대중골프장들은 한시적인 법이었던 것인 만큼 이번에야말로 당연히 폐지될 것으로 생각했다가 정부가 또다시 연장하기로 결정을 하자 ‘망연자실’한 표정이었다.
지난 27일 전국 각지에서 한달음에 달려와 대전 유성리베라 호텔에 모인 대중골프장 대표들은 한결같이 “도대체 정부가 내세운 지방경제 활성화나 일자리창출이라는 것이 현장조사나 한번 해보고 결정한 것 인지 정말 한심하다”고 개탄했다.
대중골프장 대표들은 “지난 2년간 조특법 시행으로 지방회원제 골프장들은 수 십 억원씩의 이익을 내는 등 결국 정부가 나서 일반 골퍼들에 대한 혜택이 아닌 소수골프장들의 이익을 챙겨 준 셈”이라며 “또다시 일부 골프장들만 배불리는 지원정책을 강행한다는 것은 누구도 용납할 수 없을 것”이라고 분개했다.
대중골프장협회 강배권 회장은 인사말에서 “2008년 조특법 제정당시 대중골프장등이 강력반발하자 당시 강만수장관이 한 달 내에 상응하는 대중골프장 지원정책을 마련하겠다고 약속했지만 지금까지 지켜지지 않고 있는데 오히려 아무 성과도 없는 정책을 연장이라니 누가 정부를 믿겠느냐”고 말했다.
강 회장은 특히 “이용자들이 1~2일간 지역에 머물면서 골프를 즐기는 대중제 골프장들은 고객의 30%이상이 수도권에서 여행 온 골퍼들”이라며 “진정한 지방경제를 활성화 시키는 것이 목적이라면 일부 소수를 위한 회원제골프장이 아니라 대중골프장들에 대한 지원이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꼬집었다.
전남의 한 골프장 대표는 “과도한 금융비용으로 가뜩이나 어려운 대중골프장들이 이번 정부발표로 더욱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며 “회원모집을 통해 수 백 억원을 조달한 회원제 골프장은 오히려 정부에서 지원을 하고 오로지 자기자금과 차입으로 금융비용이 과도한 대중골프장은 차별화 하는 것은 이해할 수 없다”고 격분했다.
경남의 골프장 대표도 “정부가 말로만 골프대중화와 대중골프장 조성 등을 이야기 하지 말고 죽어가는 기존 대중골프장들 지원에 나서야 한다”며 “체육진흥기금을 대중골프장들에게 장기저리로 대출해주는 등 과도한 금융비용에 시달리고 있는 대중골프장들을 지원하는 실질적인 대책을 펼쳐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일부 골프장관계자는 “폐지되어야할 한시법을 연장하려면 대중골프장에게도 그에 상응하는 혜택을 주어야 할 것”이라며 “우리에게도 한시적으로 부가세를 감면해 달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대중골프장 관계자들은 특별대책위원회를 구성하고 대정부 항의 1인시위 등 다양한 방법으로 연장법안의 국회통과를 결사저지하기로 결의 하는 등 이번에는 절대로 호락호락 물러서지 않겠다며 한목소리로 성토했다. /골프뉴스 특별취재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