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번에 2023 지방직 서울교행 합격하게 되어서 조심스럽게 합격수기 올리려고합니다. 일단 이번 서울교행 최종컷이 평균 87정도로 알고있고, 평균 89점을 맞았기 때문에 최소한 저처럼만 공부하시면 합격하실 수 있다는 확신을 드리고 싶어 글 남기기로 했습니다.
일단 교행직을 준비하시는 분들은 고득점을 맞아야 한다고 알고 계실텐데요, 저도 작년에 공부하며 여러 직렬의 합격수기들을 보았지만 교행 준비자 분들의 컷 점수가 가장 높았고, 그래서 공부를 하면서도 과연 내가 시험을 봐도 저 점수를 맞을 수 있을까? 라는 불안감이 시험 전날까지 있었습니다. 따라서 제가 겪은 시행착오들을 최대한 기억나는 대로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문법>
저는 2013년에 본 수능기준 3등급을 맞았습니다. 국어공부를 열심히 한 기억도 없고, 그냥 학원에서 시키는것만 하면서 문학/비문학/시 좀 재밌는거 나왔으면 좋겠다~ 하면서 잘보든 못보든 3등급정도를 유지한 기억 그 상태로 아무 공부도 하지 않은 채 2022년 지방직 시험을 봤을 때 75점이 나왔습니다. 저는 막연히 국어가 우리가 일상에서 쓰는 단어고, 아무것도 안했는데 75점이 나왔으니 적당히 1년간 공부하면 그래도 95~100점은 맞겠다는 자신감에 가득 차있었습니다. 바로 문법에서 와르르 무너졌지만요.
저만 그런지 모르겠는데, 문법을 배우면서 뭐 음운론, 형태론, 띄어쓰기, 용언 어쩌구.. 저는 다 처음보는 것들이었고, 자음 모음이 몇개인지 순서는 또 뭔지 온통 외울 것 투성이였습니다. 7~8월 현강 기본강의를 들었는데, 유독 국어만 진도를 못따라다녀서 학원시작한지 2~3주만에 국어수업때는 빠지고 고시원에서 인강으로 따라갔습니다.
음운론을 못외우니 형태론 수업할 땐 딴세상 소리같고, 어찌저찌 외워서 형태론 따라갔더니 통사론?에서 무너졌던 것 같습니다. 그래서 문법전체 파트에서 1/2정도를 따라갔을 땐 정규수업이 끝난 상태였고, 기출로 넘어가는 상황이었습니다. 저는 7-8월 현강이 끝나고 9월부터는 집에서 스터디카페를 다니며 공부를 시작했고, 마음을 다잡고 거의 일주일에 4-5일을 국어'만'했습니다. 기본강의를 처음부터 다시 듣고, 복습하고, 까먹기 전 일주일 안에 한번 더 복습하고 이런식으로 따라가니 1회독을 했고 그다음에 기출을 들어갔습니다. 기출도 강의만 2회독은 한 것 같습니다. 제가 다른 과목들도 1타강사님들 카페에 합격수기를 올려놨지만, 항상 기출회독을 강조합니다. 꼭 회독해주세요. 저처럼 못따라가시는 분들은 복습, 회독만이 살길입니다.
다른 분들도 마찬가지시겠지만 기출회독을 할 때는 진짜 절대 안틀릴 것 같은 문제, 선지 등은 지우고, 틀리거나 모르는거는 체크해두고, 다시 처음부터 회독하며 또 틀리거나 모르는 부분은 한번 더 체크하고 이런 방식을 사용하실텐데요, 저도 물론 이런방식을 사용했지만 시간이 지나고 1,2,3...456회독을 하면서 1회독 때 '다시는 안틀릴 것 같아서' 지운 선지들이나 문제들이 거의 6~7회독이 넘어가면서 다시 보게되면 순간적으로 낯선 기분이 듭니다. 그러니 선지는 가능하면 '중복되는'선지들을 지우시고, 절대 안틀릴 것 같은 선지나 문제들은 시험 2~3개월 전부터 천천히 지워주세요.
※물론 처음 공부시작 할 때는 빠르게 1,2,3...회독을 해야하기 때문에 시험기간이 많이 남았다면 절대 안틀릴 것 같은 선지들은 샤프로라도 지우면서 하셔도 됩니다. 제가 말씀드리고 싶은건 시험 2~3개월 전에는 그래도 그 샤프로 지웠던 선지들을 한번이라도 봐달라는 겁니다!
그리고 수업 들으시면 아시겠지만 선재쌤은 이해가 안되면 넘어가라고 하시는 스타일입니다. 결국 나중에는 전체적으로 보면서 이해하게 된다고. 사실 저는 이해가 안되면 그 장을 못넘기는 스타일이라 똥고집 부리다가 시간을 많이 잡아먹은 것 같습니다. 여러분은 가능하면 전체를 많이 보세요...이번에 인사혁신처에서 단순암기는 점차적으로 뺀다고 했던 것 같은데 이부분은 선재쌤이 잘 설명해주실테니까 따라가시면 될 것 같습니다. 저는 문법에 시간을 상당히 많이 투자했는데 너무 쉽게 나오거나 한두문제만 나와서 시험때 약간 허탈했습니다.
<독해>
독해는 독해야 삽니다. 시간 있으시면 지금부터라도 하루에 하나씩만 풀어보세요. 독해야 산다 시즌 1,2,3..많으니까 지금 시작하셔도 됩니다. 하루에 세개씩 풀려고하지마시고 하나씩 시작해보세요. 매일국어도 있고, 세독도 있고, 독해야산다도 있는데 독해를 처음부터 제대로 배우고 싶으시면 세독부터 하는게 나으실겁니다. 전 독해야산다 풀다가 너무 많이틀리고 자괴감이 느껴져서 세독바로 샀습니다. 물론 세독에서도 솔직히 아직까지 이해안되는 문제들 있는데 그런 문제는 시험에 안나오니까 과감하게 넘기시고 강의 따라가세요. 특히 구조화? 10개범주로 구조화하는거(대조, 예시, 비유..등등)나 가르쳐주시는 스킬들 꼭 따라해주세요. 여러분이 했던 생각들, 들었던 감정들 저도 다 해봤습니다. 구조화 안해도 어찌저찌 문제 맞히시는거 같죠? 독해야 산다 3번문제 이거 요약 꼭 안해도 될 것 같죠? 하면 달라집니다. 간단하게라도 해주세요.
가르쳐주시는 것들 중에 제가 하고싶은 스킬들만 골라서 하다보니 국가직때 대가리 깨진 후(성적은 95점이고 독해는 다맞았지만 시간이 거의 30분?그 이상 걸려서 교육학을 6문제 밖에 못풀었습니다) 정신차리고 요약, 스킬 등 꾸준히 따라하다보니 속도도 빨라지고 점수도 상승했습니다. 처음에 선재쌤이 말씀하셨던 "지문 읽다보면 아 얘네가 여기서 꼬을수도 있겠다, 이거 헷갈리게 해서 문제 낼 수도 있겠는데?를 여러분이 느끼실 수 있을거에요" 이 말씀이 저는 말도 안된다고 생각했는데, 매일매일 아침에 공부시작을 하프(ㄷㄱ쌤영어)와 매일국어, 독해야산다로 시작하니 결국엔 보이더라구요. 꼭 따라해주세요.
<어휘, 한자, 한자성어>
이 부분도 앞으로 시험방향이 어떻게 될진 모르겠는데..한자성어는 지금부터 한바닥씩이라도 보세요. 아니면 한 줄 씩이라도! 선재쌤이 기본강의 하실 때부터 이미 말씀하셨겠지만 한자성어는 해도 손해 안봅니다. 저는 한줄씩 보고(복습하면서), 한바퀴 돌고나서는 한바닥씩 보고, 나중엔 한장씩 봤던 것 같습니다. 지금부터 하면 내년 시험까지는 충분히 익숙해질 수 있으실 거에요.
어휘, 한자는 솔직히 제가 고득점을 맞아야하는 과목이라서 포기하긴 좀 그래서 조금씩이라도 봤는데 어휘 한자 공부하는게 좋고 자격증도 있고 재밌으시면 하세요. 전 하루에 기출문제집으로 어휘 한바닥, 한자 한바닥씩 그냥 훑는 수준으로 했던 것 같습니다. 외우려고 노력은 하다보니 자주보는 것들은 익숙한데 아닌 문제가 나오면 바로 틀리더라구요. 본인의 직렬과 관심도에 맞춰서 해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수험기간: 2022년 3월~ 2023년 6월 [1년 3개월] <국어는 2022년 7월~2023년 6월>
하루루틴&공부방식: 08:00~08:30 기상 / 아침식사(간단하게 계란+음료) / 09:30~13:00 공부 / 점심식사 / 14:00~19:00 공부(중간에 낮잠시간 1시간) / 저녁식사&운동 / 21:00~01:00 공부 / 취침 이정도로 진행한 것 같습니다.
5과목을 저렇게 회독까지 하면서 공부하려면 일단 앉아있는 시간이 많아야합니다. 저는 학교다닐 때 공부를 열심히 안했던 사람이라 효율적인 공부방식, 복습방식 등에 대해서 잘 모릅니다. 그냥 앉아서 회독을 열심히 한 것 같습니다.
그리고 휴일은 매주 토요일이었습니다. 하루는 쉬셔도 괜찮습니다. 사실 제가 공부시작하면서 가장 걱정했던게 이 휴식, 휴일 관련이었습니다. 저는 잠도 많고, 게임도 매우 좋아하는 사람이라 참고 공부를 할 수 있을까 라는 걱정이 앞섰습니다. 그래서 자신과의 약속을 하고 게임은 일주일에 하루만 하는 것으로 약속했습니다.
물론 유동적으로 요일 정하셔도 됩니다. 저 같은 경우는 고맙게도 애인이 있어서 토요일 오전 공부 후 점심~밤까지 데이트를 하고, 집에 돌아와서 친구들과 새벽까지 게임을 하고 일요일 낮부터 점심먹고 공부하는 식으로 24시간을 쉬었습니다.
술 좋아하시고, 사람 만나는거 좋아하시고, 게임 좋아하시면 하지말라고는 안합니다. 대신 하루만 하세요. 그리고 약속해주세요. 최소한 평일은 저런거 안하겠다고. 1년만 참으세요. 그럼 정말로 합격합니다.
제가 이런 글을 처음올려봐서 이렇게 쓰는게 맞나 싶네요. 궁금하신점은 댓글달아주시면 최대한 답변해드리겠습니다.
다른 과목들 공부방법은 각 1타 강사님들 카페에 똑같은 제목과 비슷한 내용으로 올리겠습니다. 다른 과목들 공부방법도 궁금하시다면 검색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