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납 축전지 개요
1. 축전지 개념
1.1 기본 개념
제2의 불인 전기는 일상 생활에 필수 불가결한 에너지원으로 보편적으로 사용된다. 열 에너지나 운동에너지는 쉽게 전기 에너지로 전환이 가능하다 그러나 단점으로는 저장이 어렵다는 것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다른 형태의 전환이 필요하다. 즉 전기에너지를 화학적으로 저장하는 방법이다. 이를 해결한 것이 전지가 된다
일차 전지와 이차 전지로 나누는데 보편적으로 일차 전지는 건전지, 이차전지는 축전지로 생각하면 된다. 축전지 이차전지를 다음 그림에서 설명한다. 전압은 수압, 유량(유속×시간)은 축전지 용량(전류×시간)과 유사하다. 그러나 수조에 물을 채우고 사용할 때 거의 100%를 사용하는 것과 다르다. 이유는 전기 에너지를 화학에너지로 전환되면서 발생하는 손실 때문이며, 이로 인한 충, 방전 효율과 수명에 지대한 영향을 준다.
축전지가 수명이 종료되는 근본적인 요인은 납 축전지 이론에서 설명한다.
1.2 축전지 종류와 특성(1)
1.2 축전지 종류와 특성(2) 2. 납 축전지 사용 배경 2.1 납 축전지 사용 이유 납 축전지가 세상에 나온 것은 1860년경이며, 지금도 가장 많이 사용되는 이유는 안정된 품질과 신뢰성, 경제성 때문이며, 니켈 카드늄 축전지도 사용되는데 납 축전지 대비, 비싸지만(약 5배정도) 강도, 수명, 취급 용이성에서 우수함으로 사용된다. 2.2 납 축전지 장 단점 장점 1. 낮은 제조 원가 단점 1. 상대적으로 수명이 짧음 (Ni-Cd대비) 3. 납 축전지 원리 3.1 납 축전지 원리 납 축전지의 원리는 다음 반응식으로 설명되며, 반응하는 순간은 고체 상 반응이 아닌 액상 반응이라는 점이다. 3.2 납 축전지 적용에 따른 극판 구조 4. 고정형 납 축전지 4.1 고정형 납 축전지 일반적인 구조 고정형 납 축전지는 일반적으로 예비 전원으로 많이 사용되는데 예로 전신 교환용, 컴퓨터용, UPS용, 통신용 등에 사용된다. 4.2 고정형 납 축전지 일반적인 부품 설명 일반적으로 적용하는 부품의 개요는 다음과 같으며 상세한 것은 밀폐형납 축전지에서 설명한다. 4.3 고정형 납 축전지 일반적인 특성 유동형 전해액을 사용하는 납 축전지는 대부분 전조가 투명하게 되었 다. 이는 전지의 상태를 쉽게 확인하고 하는 이유이며, 다음과 같은 상 태로 사용하여 한다. 4.4 납 축전지 전기적 특성 전형적인 충 방전 곡선 그래프 각 구간별 반응 상태 설명 4.5 사용조건에 따른 전기적 특성 방전 깊이와 수명 <<방전 심도가 클수록 수명이 단축되는 이유>> 4.5 사용조건에 따른 전기적 특성 전지와 온도의 상관 관계 온도와 용량 온도와 수명 4.5 사용조건에 따른 전기적 특성 방전 깊이 및 온도와 용량 간 상관 관계 <<납 축전지 특성 정리>> 5. 밀폐형 납 축전지 5.1 밀폐형 납 축전지 개요 밀폐형 전지란 <밀폐 반응 원리 개요도> 5.2 밀폐형 납 축전지 이론 GEL형 납 축전지의 이론은 Thixotropic 현상(평상시에는 gel 로존재하다가 어떤 외적 충격 즉 물리적, 전기적, 화학적 충격에 의하여 sol 로 전 환 한 다 그 후 다 시 gel 로 복 원 되 는 현 상 ) 으 로 <밀폐 반응식 순서 > 반응 (1) : 충전으로 물 전기 분해 반응 (2) : 발생된 산소가 음극 판에 흡착하여 산화 납 형성 반응 (3) : 산화납과 황산과 반응하여 황화 납 형성반응 (4) : 수소이온 및 전자 흡수 5.3 밀폐형 납 축전지 장단점 장점 1. 무보수 ( Maintance free ) 1. 방전된 상태로 보관할 수 없다 5.4 밀폐형 납 축전지 종류 와 구조 5.5 Gel type 밀폐형 납 축전지 구조 5.5 밀폐형 납 축전지 구조 - 양극판 5.6 밀폐형 납 축전지 전기적 특성 방전 특성 : 일반 유동형 납 축전지와 유사하다. 충전특성 : 일반 납축전지 대비 다른 점은 다음 그림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충전 완료 후에는 전압이 급격히 감소하는 현상이다. 이 현상 은 과 충전이 진행되면서 산소가 음극 반응물에 흡착되는 현상에서 기인된다. 6. 납 축전지 고장 원인 6.1 일반 유동형 납 축전지 BATTERY 고장 원인은 사용 중에 부하의 종류와 관리에 좌우된다. 다음에 다루는 고장 요인은 실험실에서 실시한 것이 이며 실제 사용시 발생되는 고장과 유사하다. 고장 원인 중에 기계적인 손상이나 취급 부주의에 의한 고장은 제외하였다. 6.1 일반 유동형 납 축전지 2 음극 활물질 탈락 4. 양극 격자 부식 6. 납 축전지 고장 원인 6.2 밀폐형 납 축전지 1 전지 내부의 음극 STRAP 및 BAR 부식 6.2 밀폐형 납 축전지 4. 국부 열화(Thermal runaway) 아래 사진 : 극판 만곡 5. 내부 SHORT 8. 극주 성장 아래 사진 : 극판 성장 사진 7. 납 축전지 용어 정리 가속수명시험 (accelerated life test) 실 제 의 사 용 상 태 보 다 환 경 스트레스(온도 등) 또는 적용 스트레스(전류, 전압 등)를 상승시켜 기간을 단축하는 수명시험. 가스 발생 (gassing)물이 전기분해 되어서 가스(산소, 수소)가 활발하게 발생하는 상태. 고율방전 (high rate discharge)축전지의 용량에 비하여 비교적 큰 전류로 행하는 방전. 균등전압 (mean voltage) 통전중의 축전지전압의 평균값 . 정전류방전에서는 규정 방전 종지전압에 도달할 때까지 평균값을 말하는 것이 보통이다. 내전압시험 (dielectric voltage withstand test) 전조에 고전압을 주어 소리의 울림, 핀홀 등의 유무를 조사하는 시험. 방전 (discharge) 축전지에 충전되어 있는 전기에너지를 외부로 끄집어 내는 것. 방전량 (discharged ampere-hour) 축전지로부터 나온 전기량. 정전류의 경우에는 그 전류값과 방전시간과의 누적으로 표시한다. 방전전압 (discharge voltage) 방전할 때의 축전지 전압. 방폭시험 (explosion proof test) 방폭구조의 축전지로부터 발생하는 가연성 가스(주로 충전중에 발생)가 축전지 외부의 불꽃 종류에 의해서 축전지 내부에 인화, 폭발하는지를 조사하는 시험. 부스터 캐이블 (booster cable) 시동 불능에 도달한 축전지에 다른 축전지를 연결하여 엔진을 시동시키는 경우에 사용되는 연결선. 산소과전압 (oxygen overvoltage) 실제로 산소가 발생하는 전극전위와 평형전위와의 차이. 싸이클 써비스용 축전지 (cycle service battery) 방전, 충전을 상호반복하여 사용하는 축전지. 대표적인 것으로는 전기차용 축전지 등이있다. 연화 (softening) 연축전지에 있어 활물질의 입자간 결합력이 충방전의 반복, 고온, 고비중 등의 사용조건에 의해서 약화되고 활물질이 연약해지는 현상. 용량보존특성 (charge retention) 축전지를 완전충전후에 임의의 일정조건에서 일정기간, 폐로상태에서 방치한후, 그 축전지가 보유하고 있는 용량. 용량환산 (capacity corrention) 축전지의 용량은 방전율, 사용온도,방전종지전압 등에 의하여 변화하는데 임의 조건에 대하여 용량에 대한 환산을 하는 것. 음극 (negative electrode) 축전지의 방전시 외부회로로부터 전류가 유입하는 양극보다 낮은 전위를 갖는 전극. (-) 극 이라고도 한다. 익스팬디드 격자 (expanded grid) 납 또는 납합금의 얇은 판으로 잘라 신장시켜 제작한 격자. 저율방전특성(low rate discharge characteristics) 저율방전을 한 경우의 방전특성. 전기 저항 (electrical resistance) 회로에서 전류가 자유롭게 흐를 수 있는 정도의 반대개념으로 옴으로 측정한다. 전압 강하 (voltage drop) 전기적 저항을 측정했을 때 전기적 전위의 실제적인 차이. 정저항방전 (fixed resistance discharge) 일정한 저항을 부하로 하여 행하는 시험. 방전이 진행하고 축전지 전압이 떨어지는데 따르는 전류는 작아지지 않는다. 정전류, 정전압충전 (constant voltage constant current charge) 충전 시작은 일정한 전류로 충전을 하고 충전이 진행되어 축전지의 단자전압이 임의의 설정전압에 도달한 이후. 그 전압으로서 충전을 하는 방법. 직류 (direct current : DC) 전류의 흐름이 오직 한방향 으로 흐름. 배터리에서 방전시 직류를 방전하며, 충전시 반대 방향으로 직류를 사용해야 한다. 진동시험 (vibration test) 축전지에 진동을 가하여 기계적 강도를 조사하는 시험. 충방전횟수 (cycle number) 충전방전을 반복하는 경우의 충방전 횟수. 1회 충전, 1회 방전을 1 회(싸이클)로 한다. 충전특성 (charge characteristics) 충전시의 전류, 전압, 시간 등의 관계 허용 최저전압 (allowable minimum voltage) 부하쪽에 기계가 요구하는 최저 전압값으로 전지와 부하의 사이에 연결선 등의 전압강하를 가하는 전압. --------------------------------------------------------------------------- 부록 : 축전지 용량 선정법 축전지 선정 순서
사용되는 원재료 구입이 용이함
2. 대용량이 가능하며 다양한 크기로 제작 가능함(최소 1AH에서 수천 AH용량의 전지)
3. 고율 방전 특성이 우수함(Ni-Cd가 더 우수)
4. 저온, 고온 방전 특성이 우수함
5. 충전 효율이 우수함 : 방전/충전 = 70%이상
6. 높은 cell 전압 : 개회로 전압 : 2.0V이상
7. 쉽게 충전 상태 확인, 밀폐형인 경우 어렵다.
8. 과 충전 저항력이 강함
9. 무보수 축전지 가능
10.다른 2차 전지 대비 가격 경쟁력 우수
2. 에너지 밀도가 낮음: 30-40Wh/kg
3. 충전상태 지속성이 낮음 : 자기방전
4. 방전후 장기 보존이 어렵다. : 수명에 치명적임
5. 매우 작은 size로 제작이 어려움 : Ni-Cd:단추형 및 500mAH 이하 가능
6. 수소가스 발생 : 화기 주의
7. 중금속: 납
8. 국부 열화(thermal runaway)현상 발생 위험 : VRLA(valve regulated lead acid)
이는 매우 중요한 사실이며 고체↔액체↔고체 사이로 움직이므로 움직이는 과정에서 필연코 손실이 발생한다. 이것이 수명 종료 원인이다.
전체 반응식 : PbO₂ + Pb + 2H2SO₄ ⇔ 2PbSO₄ + 2H₂O
- 양극 반응식 : PbO₂ + 3H- + HSO₄ - + 2e ⇔ PbSO₄ + 2H₂O
-음극 반응식 : Pb + HSO₄ - ⇔ PbSO₄ + H + + 2e
위 반응식에 음극 반응식을 보면 전자가 생성됨을 알 수 있다. 이는 전자가 음극에서 양극으로 이동하여 전류가 양극에서 음극으로 발생됨을 알 수 있다. 즉 축전지의 용량을 결정하는 것은 전자를 흡수하여 조절하는 양극 반응물이라는 점이다. 축전지를 설계하는 자들은 양극 반응물로 축전지 용량을 설계하며, 음극은 양극대비, 부족하게 설계한다. (주 절대적인 것은 아니며, 이는 밀폐형 납 축전지에서 설명한다.)
중요한 점은 액상 반응이라는 것을 필히 인지하여야 다음에 기술되는 축전지가 조기에 수명이 종료되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납 축전지 전극용 극판으로는 대개 음극에는 페이스트식이고 양극판은 상당히 다양하나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는 페이스트식과 tubular식이다.
다음 사진은 고정형 납 축전지의 일반적인 형태이다.
1. 양극판 : 납 격자(grid)에 과 산화납(PbO2) 또는 튜브 속에 과 산화납(PbO2)이 붙어있어 음극에서 발생된 전자를 흡수하도록 되었다.
2. 음극판 : 납 격자에 해면상(海面像)sponge 납으로 되어있어 반응성을 높이려 반응 면적이 최대화 되어있다
3. 격리판 : 주된 목적은 양극과 음극을 격리하는 것으로 적용되는 종류는 다양하며, 밀폐형 전지에서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4. 극주 : 충, 방전에 발생된 전류가 입 출력하는 곳으로 외부 조건에 맞추어 설계되었으며, 전기 전도와 강도를 위하여 납 가운데 구리 봉을 넣어 두기도 한다.
5. 전해액 : 반응 물질과 직접적으로 반응하는 것으로 유동형 전해액(구형)과 Gel 형 전해액으로 나누며, 유동형 전해액인 경우 묽은 황산(비중1.215)으로 되어 있고, 밀폐형인 경우 제조자 사양 전해액 농도로 되어있다.
6. 전조 : 전지를 담는 용기로 유동형 전해액인 경우 투명 ABS, 유리, 등으로 되었고 이는 내부를 보기 위함이다. 밀폐형인 경우 고강도 불투명ABS, SAN 수지로 되어있다.
7. 커버 : 전조와 유사한 재질로 구성되며, 전조와 융착을 위하여 동일한 재질로 구성하는 것(절대적인 것은 아님)이 보통이다.
8. 배기구, 안전 벨브 : 사용중 발생되는 GAS를 방출 및 전지내 압력을 유지하는 장치로 매우 중요하며, 밀폐형인 경우 전지의 수명을 좌우한다.
1. 전해액 비중 측정 : 전해액 비중을 측정하여 전지의 방전 상태를 확인한다. 제조자 사양이 각기 다르나 약 초기 사양 대비 전지간 비중이 0.02 이상이 발생할 경우 증발된 전해액을 상한선까지 정재수로 보충한 후 균등충전을 실시한다. 전지간 UNBALANCE 발생된 상태에서 사용하면 특정 전지에 부하가 집중되어 전반적으로 조기에 수명이 종료된다.
2. 누액 : 유동형 전해액 전지에서 발생되는 일반적인 현상으로 배기구 이외에서 발생하면 그 전지는 즉각 교체하여야 한다. 전해액이 전기다 흐르므로 단락이 위험이 있다. 전지 1cell이 단락 되면 다른 전지에 과부하가 걸리므로 치명적이다.
3. 부동 충전 : 항상 모든 전지는 전압은 전지의 개회로 전압에서 약 0.16V/cell(실험치) 이상으로 유지한다.유동형 전지인 경우 비중 측정으로 개회로 전압을 알 수 있으며 다음과 같다. 25℃ 환산 전해액 비중에 0.84~0.85(실험치)를 더하면 전지의 개회로 전압임을 알 수 있다.
예 ) 1.215(비중) + 0.85(실험치) = 2.065[V], 부동 충전 전압 = 2.065+0.16 = 2.225[V]
◆영역 ① : 납 축전지 자체 저항 및 황산에 의한 분극
◆영역 ② : 전해액인 황산과 양극 음극 반응 물질과의 반응이 진행되는 과정으로 황산 확산 속도가 일정함
◆영역 ③ : 황산 확산 속도가 급격히 변화하여 방전 때는 반응물질 표면적에서 감소하고 충전 때는 증가하는 구간
◆영역 ④ : 충전이 완료되어 전해액 중 물의 전기 분해 반응 구간
방전 심도가 클 경우 수명이 급격히 감소하는 이유는 옆 그림 충 방전 반응식에서 방전 후 충전시 반응 물질이 100% 모두가 환원되지 않는다 일부분이 불변 PbSO4가 생성된다. 발생량은 방전 심도와 분수 함수적으로 비례한다.
방전 율이 높으며(고율) 용량이 작아진다. 온도가 낮아도 용량이 작아 진다.
이러한 근본적인 원인은 납 축전지 원리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반응 할 때 전해액과 반응하기 때문이다. 즉 온도가 낮으면 전해액 확산 속도가 반응에서 소비하는 황산 속도보다 떨어짐으로 발생되며 방전율이 높으면 용량이 감소하는 것도 반응에서 소비하는 황산보다 공급되는 황산량이 적기 때문이다.
납 축전지는 사용 중에 충 방전 반응과 자기방전 등으로 물이 전기분해 되어 산소 수소의 가스가 대기중으로 소실된다. 이로 인하여 주기적으로 증류수 보충하는 불편함을 근본적으로 제거하여 발생되는 가스를 음극 판에서 흡수하여 다시 물로 환원함으로 증류수 보충을 근본적으로 제거한 전지가 밀폐형 납 축전지이다.
Ni-Cd 축전지와 유사하게 사용 편이성을 도모한 전지로 크게 2가지로 나눈다 GEL 형과 AGM형인데 적용 이론은 음 극판 산소 흡수설이보편화 되어있다.
설명된다.(E.T.DeBock, J.R.Thomas) 또 다른 이론으로는 AGM형 전지의 이론인 음극 판 산소 흡수설이다.
AGM형 밀폐형 납 축전지 이론은 전지 설계 할 때 음극 반응 물질을 과량으로 적용하여 충전 때 양극 반응 물질은 충전 완료되고 발생되는 산소를 미공성 격리판을 통하여 음극 반응 물질로 흡수하여 물로 환원하는 방식이다
산소 흡수 반응을 위하여 전지 안에 일정한 압력을 요구되며 부동충전 동안에 발생하는 가스를 막고 또한 산소의 재결합을 촉진하기위해서 reversible Pressure Valve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는 적절한 범위의 압력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며 내부 압력이 상승할 경우에는 방출하는 역할도 한다. 밸브는 대기 중의 산소가 유입되는 것을 막아 주는 작용도 한다.
2. float service에서 장수명장
3. High Rate 용량
4. 고온과 저온 특성이 우수
5. 높은 충전효율
6. Memory Effect가 없다 : (Ni/Cd 과 비교)
7. 충전상태를 전압으로 추정 가능
개회로 CELL 전압 - 0.85 = CELL 비중, (단 OCV 3Hr 이상 방치)
8. 낮은 cost
9. 다양한 전압으로 단위 cell 가능 (2v ~24v)
2. 비교적 에너지 밀도가 낮다 : 유동형 납 축전지 대비
3. 수명이 짧다 : (Ni/Cd 전지와 비교시)
4. 국부 열화 : (Thermal runaway) 현상 부적절한 충전 및 온도 관리 미흡시 발생 가능 가능
실선 : 밀폐형 납 축전지 점선 : 일반 유동형 납 축전지
주된 고장요인은 다음 5가지이다.
1. 양극 활물질 탈락
2. 양극 격자(GRID) 부식
3. 음극 활물질 파손
4. 격리판 파손
5. 복합적인 요인
1 양극 활물질 탈락 :
활물질 탈락의 원인은 방전 TYPE에 따라 달라진다. 온도나 충전 전류의 영향은 적은 편이다. 탈락 메카니즘는 방전 시 반응은 액상 반응이므로 이온이 용해되었다가 다시 PbSO4로 변화 시 응결 핵이 부족하여 이온이 부유 중 흡착이 안되고 밑으로 쌓이게 된다. (납 축전지 이론 참조)
이를 막기 위하여 활물질을 지지할 수 있는 glass mat가 붙은 격리판과 응결 핵제용으로 바륨이나 스트론티늄을 활물질에 첨가하가도 한다.
불용성 황화납(충전시 회복이 않되는 황화 납) 생성이 주요인이며 고온에서 장시간 사용시 발생한다. 주된 요인은 다음과 같다.
1. 방전 상태에서 장기간 방치
2. 고비중 전해액 사용
3. 초충전 실시치 않고 장가간 방치
4. 자기 방전 증가
5. 45~50℃에서 연속적으로 사용
3 격리판 파손 : 격리판 파손은 3가지로 나눈다.
(1)초기에 발생하는 이유는 기계적 강도의 부족이다.
(2) 사용 중에 발생하는 경우에는 전기 화학적인 요인에 기인된다.
(3) 말기에 발생하는 경우는 설계 기대 수명이 종료한 것이 된다
양극 격자 부식은 동질 계면에서의 부식과 이질 계면에서 부식으로 나누며 양극 격자 부식의 결 과를 극판성장 현상이다. 전해액과 양극 격자 부식 관계는 전해액 비중이 낮을수록 증가한다.
위 사진 : 부식된 극판
음극 극판 LUG와 Strap 사이에서 부식이 진행되는 것으로 이유는 다음과 같다.
1. LUG와 Strap합금이 다른 경우 이종(異種) 합금간 전기화학적 전위차이로 인한 부식된다.
2. VALVE 기능 미흡으로 공기중 산소 유입 : - 전지 안 상층부에는 산소가 없고 수소와 이산화탄소로만 채워저 있다. 산소가 있으면 부식이 발생하고 밀폐 반응이 안되며 이는 외부에서 유입된 산소로 야기된다.
2. DRYING OUT
VALVE의 자기 조절 능력 상실로 발생되며 충방전 중에 발생된 GAS는 외부로 방출됨으로 발생하는데 AGM적용 전지에서 주로 발생된다
3. 활물질 탈락
밀폐형 전지에서는 발생이 미약하다
전지 내부에 발생된 열 발산이 충분치 않아서 열이 한곳에서 집중적 으로 발생되는 현상이다. 충 방전이 진행되면서 극판은 서서히 만곡 되어 AGM 격리판과 극판 표면이 이격 되면서 특정 부위에서 집중적 으로 열이 발생 한다. 이로 인한 간혹 쇼트 발생하여 CELL이 죽거나 심할 경우 폭발하는 경우가 있다. AGM 전지인 경우 환기 및 열 발생에 주의하여야 한다.
반응 물질이 격리판을 통과하여 발생한다 이를 수지상(DENDRITE) 이라고 하며 극판과 극판을 압박하여 조립하고(양극 음극 극판이 가까울수록 전지 용량은 증가됨) 방전 후 장기 방치 시 발생한다.
6. PCL(premature capacity loss) 현상
기판 합금에 Sb가 없음으로 발생하는 현상으로 설계 기대 수명에 약 20%수준에서 수명이 종료되는 현상을 말한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를 Sn첨가함으로서 해결되었다. 주:1997년경 ALABC에서 연구결과 발표함
7. 누액 문제
누액 문제는 밀폐형 전지에서 치명적이다. 전지내 압력을 조절못함으로 조기에 전지 내부가 마르기 시작하며, 조기에 수명이 종료되고 극주 부위에 부식으로 접촉 저항의 증가로 다량의 열을 발산하여 극주와 상부 카바와 이격이 심화된다. 누액되는 부위에 따라 발생요인이 다르다
(1) 양극 극주 : 극판 성장에 의한 극주와 상부 카바간의 이격 –일반적 으로 밀폐형 전지 생산 후발 업체 제품에서 발생 한다 : 현재는 극주가 성장하면서 점점 꽉 쪼이는 형태로 변경하여 적용
(2) 음극 극주 : 제조 업체의 제조 오류이다.
(3) VENT 부위: VENT에 적용되는 고무 VALVE 재질에 문제와 설계상 압력 선정에 오류로 발생한다.
(4) 커버와 전조간 연결 부위 : 제조 업체의 오류
주요인은 양극 극판의 부식으로 인한 응력 증가로 발생되며, 결과적으로는 양극 극주와 상부 카바와 이격시켜 누액이 된며 누액은 전지내 압력을 유지할 수 없어 음극흡수 반응이 일어나지 않는다
감액특성 (characteristics of electrolyte decrease)배터리의 전해액이 감소한 정도를 나타낸 것.
개로전압 (open circuit voltage)배터리가 외부 회로로부터 전기적으로 끊어진 상태에서 이 배터리의 표시 전압.
격리 (partition) 모노 블록 전조에 서로 인접한 2 개의 단전지 사이를 칸막이한 벽
격리판 (separator) 양극판과 음극판의 사이에 단락 방지와 간격 유지의 목적으로 수직으로 넣는 다공 또는 미세공의 박판. 격리판은 내산화성, 내약품성, 전기절연성 등이 있는데 그 상부 전해액의 확산과 이온 전도를 막지 않는 것 등의 기능을 가질 필요가 있다. 또한 전해액 유지의 기능도
가져야 하는 것이 있다.
격자 (grid)연 축전지의 페이스트식 극판의 활물질을 유지한 것으로 격자모양의 전류가 들어오거나 나가는 분배의 역할을 한다.
경부하수명 (shallow cycle endurance) 수명 시험방법에 있어서 1회의 방전심도가 10% 이하의 경부하 영역에서의 방전과 충전의 싸이클을 반복할 때의 수명.
고율방전 특성 (high rate discharge characteristics)고율방전을 행한 경우의 방전특성
고율방전용축전지 (high rate discharge type battery) 고방전율을 높이도록 설계된 축전지
공칭전압 (nominal voltage) 배터리전압의 표시에 이용하는 전압. 일반적으로 기전력보다 약간 낮은 값을 잡는다. 예로, 납-배터리는 단전지당 2.0V, 니켈-카드뮴 배터리에는 단전지당 1.2V 이다
과방전 (overdischarge) 배터리를 정해진 종지전압 아래까지 방전한 것.
과충전 (overcharge) 완전 충전된 상태에 도달된 후의 충전, 물 보충을 필요로 하는 축전지에는 물의 전기 분해에 의하여 전해액이 빠르게 감소한다. 축전지는 일반적으로 필요이상의 과충전을 행하면 수명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
과충전 수명시험 (overcharge life test) 과충전이 수명을 결정하는 중요한 인자가 되는 축전지에 있어서, 축전지의 과충전 내구력을 조사하는 시험.
교류 (alternating : AC) 전류의 흐름이 주기적으로 크기와 방향이 바뀐다. 배터리는 교류를 이용하지 않는다.
국부전지 (local cell) 축전지의 극판에 불순물등이 부착되어 국부적으로 전위의 차이가 발생한 것. 자기방전의 원인 중 하나이다.
균등충전 (equalizing charge) 여러개의 축전지를 같은 조로 하여 장시간 사용한 경우 자기방전 등으로 발생하는 충전상태의 불규칙한 산포를 없게 하고 충전상태를 균일하게 하기 위하여 행하는 충전의 방법
극성 (polarity) 전기적으로 서로 반응하는 음양의 차이나는 성질.
극주 (pole) 극판군의 스트랍부에 연결되어 있는 기둥 모양의 전기도체.
극판 (plate) 축전지의 활물질을 유지한 전극. 양극판과 음극판이 있다.
극판군 (element) 양극판군 및 음극판군을 조립하여 격리판이나 매트류를 끼워 넣은 것.
글라스매트 (glass mat)글라스 섬유를 교착시켜 적층하고 바인더로 결착하여 매트로 한 것. paste식 연축전지의 양극 활물질의 탈락 방지에 이용한다.
급속충전 (quick charge) 큰 전류로 단시간에 충전을 하는 것.
기판(격자판) (grid) 극판의 활물질을 부착할 수 있는 지지대나 전류가 흐를수 있는 납 합금
납 붓싱 (lead bushing) 2개의 극주 관통부에 밀착시켜 넣은 납합금 재질의 물질.
내부단락 (internal short-circuit)단전지의 극판군에 있어서 양극과 음극이 단락하는 현상.
내진성 (earthquake-proof characteristics) 지진에 대하여 축전지가 견디는 강도.
단락전류 (short-circuit current) 축전지의 양극 단자 사이를 단락시켰을 때에 흐르는 전류.
단자 (terminal) 외부의 전기적 회로와 연결하는 부분. 테이퍼 단자, 볼트-너트 단자, 리드선식 단자, 리드판식 단자 등이 있다.
단자전압 (terminal voltage) 축전지의 양쪽 단자사이의 전압. 단전지 (cell) 축전지를 구성하는 개개의 전지. 단전지의 공칭전압은 연축전지는 2V, 니켈-카드뮴 축전지는 1.2V 이다.
단전지 전압(셀전압) (cell voltage) 단전지의 단자 전압.
드라이-업 (dry up) 과충전 등으로 전해액이 감소하여 실제 사용에 적용이 되지 않는 현상. 내부저항의 증가가 따른다.
만곡 (buckling) 충방전에 의해서 극판이 휘어지는 것.
묽은황산 (dilute sulfuric acid) 진한황산을 정제수로 희석한것. 연축전지의 전해액에 사용하는 경우는 보통 비중 1.200~1.300의 것을 이용한다.
방전심도 (depth of discharge)축전지의 방전상태를 표시하는 수치. 일반적으로 정격용량에 비하여 방전량의 비를 나타낸다.
방전유지시간 (discharge duration time)축전지를 규정 종지전압까지 방전했을 때의 방전시작부터 방전끝까지의 시간.
방전전류 (discharge current) 방전할 때의 축전지로부터 흐르는 전류.
방전전류밀도 (discharge current density) 극판의 단위면적당 방전전류.
방전 종지비중 (specific gravity of electrolyte at the end discharge) 방전 말기의 축전지 전해액 비중
방전 종지전압 (final voltage) 방전을 정지할 때의 축전지 단자전압. 방전전류, 극판의 종류, 축전지의 구조등에 의하여 차이가 난다.
방전특성 (discharge characteristics) 축전지를 방전시켰을 때의 특성(효율).
병렬연결회로 (parallel circuit) 전류의 흐름이 한 길 이상으로 통할 수 있는 경우로 같은 극끼리 연결되어 있다. 예로 12volt 50A-hour 배터리를 두개 병렬 연결하면 12volt 100A-hour의 배터리가 되는 연결법
배기홀 (vent hole) 축전지 내부에 발생 가스를 배출하기 위하여 상부 윗면에 설계된 구멍.
배출 산무량시험 (escaped acid mist test) 패이스트(paste)형 또는 실(seal)형 연축전지의 충전말기에 축전지로부터 빠져 나오는 산무의 량을 측정하는 시험.
보수인자 (maintenance factor) 축전지를 설치하는 경우에 필요로 하는 용량(축전지의 크기)를 산출하는데 있어 사용년수와 사용조건의 변화에 의하여 축전지 용량의 변동을 보상하고 정해진 부하특성을 만족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보정값.
보 충전 (auxiliary charge) 주로 자기방전을 보충하기 위하여 행하는 충전.
봉투식 격리판 (envelope separator) 극판을 감싸 넣는 형태의 격리판
불순물 (impurity) 축전지에 원래 함유된 필요치 않은 물질. 축전지의 성능에 악영향을 미치는 물질을 나타낸다.
부식 (corrosion) 반응성이 강한물질과 전해질의 파괴적인 화학반응. 예로 철 표면에서 묽은 황산의 반응부하 시험기 (load tester) 전기적 부하를 사용하여 배터리로부터 전류를 끌어내는 장비로 실제적인 방전 조건에서 배터리의 능력을 표시한다.
비중 (specific gravity : Sp. Gr.) 물의 밀도에 비교된 액체의 밀도로 전해액의 비중은 순수한 물의 동일 부피의 중량에 비교된 전해액의 중량으로 표현
비중계 (hydrometer) 보통 유리제 비중계이다. 전해액의 비중에 의하여 비중계의 위치가 변하는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전해액을 실린더에 취해서 그 중에 뜨게 하여 비중을 측정한다.
비중구 (specific gravity indicator) 전해액의 비중변화에 대하여 뜨는 구체. 축전지의 방전 또는 충전상태를 표시한다.
비중조정 (adjustment of specific gravity) 완전 충전후 전해액의 비중이 규정값으로 되도록 고비중의 전해액이나 정제수를 첨가하여 조정하는 것. 이 작업은 지식과 숙련을 필요로 한다.
산무 (acid mist) 연축전지의 충전 말기에 물의 전기분해에 의하여 발생하는 가스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황산분을 함유한 것.
부동충전 (floating charge) 정류장치에 축전지와 부하를 병렬로 연결하여 항시 축전지에 일정한 전압을 주어 이것을 충전상태로 두고 정전시 또는 부하의 변경시에 끊임없이 축전지로 부터 부하로 전력을 공급하는 방식.
부스트충전 (boost charge) 자동차용 연축전지에는 , 시동기능을 잃어버린 축전지에 충전기를 연결 하고 , 엔진시동을 보조할때의 충전. 거치식 축전지에서는 부동충전 외에도 회복충전, 균등충전 등을 말한다.
상부 덮개 (top cover) 축전지의 윗면을 덮는 덮개 수소과전압 (hydrogen overvoltage) 실제로 수소가 발생하는 전극전위와 평균전위와의 차이.
설정전압 (predetermined voltage) 정전압 충전 등 사용조건을 고려하여 정해진 충전전압.
스텝충전 (step charge) 충전중에 전류를 단계적으로 변형시켜 행하는 충전. 정전류 충전방법의 일종이다.
스트랍 (strap) 같은 극성의 극판의 러그를 병렬로 용접하여 형성한 막대형의 납합금의 집전체.
시간율 (hour rate) 축전지의 충방전 전류의 크기를 표시하는 용어. 전류 i 로 방전하고 종지전압까지의 시간이 t 시간으로 된다면 이 방전을 t 시간율 (t HR)방전으로 말하고, i 를 t시간율 방전전류라 말한다. 또한 t 분간의 경우는 t MR 로 나타내기도 한다.
시동용 축전지 (starter battery) 엔진을 시동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전지.
실제 용량 (actual capacity) 실제로 축전지가 가지고 있는 용량. 결정된 시간율로 방전했을 때의 용량으로, 시간율과 Ah로 표시한다.
싸이클 수명시험 (cycle life test) 규정 전류, 온도, 시간에 대한 충방전의 반복에 의해 축전지의 수명을 조사하는 시험. 축전지의 종류, 용도 등에 의하여 여러 가지 수명시험 방법이 JIS, SAE 등으로 규격화 되어 있다.
썰페이션 (sulfation) 연축전지의 활물질이 과방전, 장기방치 등에 의하여 충전을 시켜도 원상태로 회복되기 힘든 결정성 황산납으로 되는 것. 용량이나 방전전압이 낮아지기도 하며 수명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
암페어-아워 효율 (ampere-hour efficiency) 충전량에 대한 방전량의 비율을 말하며 다음 식에 의하여 산출한다.
AH 효율 = (방전전류×방전시간) ÷ (충전전류×충전시간) × 100 (%) 양극 (positive electrode) 축전지의 방전시에 외부 회로에 전류가 유출하는 음극보다 높은 전위를 갖는 전극. (+) 극 이라고도 말한다.
양극판 (positive plate) 축전지의 방전시에 외부 회로로 전류가 유출하는 쪽의 극판. 전해액에 대한 음극판의 전위보다 높다.
에너지 밀도 (energy density) 축전지의 단위질량 또는 단위용량당 낼 수 있는 에너지. Wh/kg, Wh/ℓ 의 단위로 표시된다.
SLI 축전지 (SLI battery) 자동차용 연축전지. SLI 는 시동(starting), 점등(lighting), 점화(ignition)의 줄임말이다.
역충전 (reverse charge) 극성을 반대로 하여 행하는 충전.
연축전지 (lead-acid storage battery)양극 활물질에 이산화납, 음극 활물질에 해면상납, 전해액에 묽은 황산을 사용한 축전지. 공칭전압은 단전지당 2.0V
온도 환산 (temperature correction) 전해액 비중, 용량 등은 온도에 의해 변화하는데, 표준온도의 값으로 환산을 하는 것.
옴 (ohm) 전기회로에서 저항의 측정 단위(Ω)
옴의 법칙 (ohm' law) 전기회로에서 전압과 전류의 관계로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V = I × R (V: 볼트, I: 전류, R: 저항)
와트-아워 효율 (Watt-hour efficiency) 방전전력량과 충전전력량과의 비율. 다음 식에 의하여 산출한다. Wh 효 율 = ( 방 전 전 류 × 방 전 시 간 × 평 균 방 전 전 압 ) ÷ (충전전류×충전시간× 평균충전전압) × 100 (%)
완전방전 (full discharge) 축전지를 정해진 전류로 정해진 종지전압까지
방전을 하는 것.
완전충전 (full charge) 전체 활물질을 방전전의 상태로 되돌아 갈때까지 충전하는 것.
용량 (battery capacity) 축전지의 전기적인 성능. 보통은 암페어-아워 용량을 의미하고 단위는 Ah로 표시하며 또는 C 로 표시되기도 한다.
용량보존율 (charge retention rate) 용량이 안정된 축전지의 실제 용량을 A 로 하고 완전충전후의 축전지를 일정기간, 일정한 조건하에서 방치한 후의 동일조건에 의하여 잔류용량을 B 로 했을 때 다음 식에 표시된 비율. 용량보존율 = (B÷A) × 100 (%).
용량시험 (capacity test) 축전지를 규정전류로 규정 종지전압까지 방전하고 용량을 구하는 시험. 고율방전시험, 저율방전시험 등이 있다.
용량환산인자 (capacity conversion factor) 용량환산에 사용하는 계수. 축전지의 형식, 온도 및 방전종지전압에 따라 다르다.
용적효율 (volume energy density) 축전지의 단위 용적에 해당하는 축전지 성능. 예를 들면, Wh/ℓ, Ah/ℓ 등의 단위로 표시한다.
음극판 (negative plate) 축전지의 방전시 외부 회로를 통하여 전류가 유입하는 쪽의 극판. 전해액 속에서 양극판보다 전위가 낮다.
음극판 첨가제 (additive reagent for negative plate) 음극판의 활물질에 성능을 개선하기 위하여 첨가하는 물질. 연축전지에는 황산바륨, 리그닌, 카본 등이 있다.
이산화연 (lead dioxide) 연축전지의 양극 활물질. 화학기호 PbO2로 표시하며 과산화연이라 말한다.
인디케이타 (indicator) 축전지의 전해액의 위치나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장치. float 식과 투시식이 있다.
일차전지 (primary battery) 전기 에너지를 수용할 수 있으나 재충전이 불가한 배터리
자기방전 (self discharge) 외부 회로로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는 축전지의 용량이 감소하는 것.
자기방전율(self discharge rate) 용량이 안정한 축전지의 실제용량을 A로 하고, 완전 충전후의 축전지를 일정시간, 일정조건에서 방치한 후의 동일한 방전조건에 의하여 남아있는 용량을 B라 했을때 다음 식에 의한 비율.
자기방전율 = (A-B) ÷ A × 100 (%)
잔류용량 (residual capacity) 부분방전 또는 장기보존한 후의 전지내부에 축적되어 있는 용량.
잔류 용량계 (charge indicator of battery) 축전지의 잔류 용량을 표시하는 기계. 방전량을 표시하는 것도 있다.
저온고율방전 (high rate discharge at low temperature) 냉 각 된 축전지에서 행하는 고율방전.
저율방전 (low rate discharge) 축전지의 용량에 대하여 비교적 작은 전류로 행하는 방전.
이차전지 (secondary battery) 충전에 의하여 반복 사용이 가능한 전지.
저율방전형 축전지 (low rate discharge type battery) 저율방전 향상으로 설계된 축전지.
저장시험 (storage test) 어떠한 규정조건에서 규정시간 저장한 임의의 전지성능을 조사하는 시험.
저저항 격리판 (low electric resistance separator) 전기저항이 적은 격리판. 특히 고율방전 특성을 요구하는 축전지에 시용된다.
전기량 (ampere-hour : AH) 배터리에 저장되어 있는 전기량의 단위로 전류(A)와 방전 시간(hour)의 곱으로 표현한다. 예로 5A의 전류로 20시간 방전을 할 수 있는 배터리라면 5A×20hour =100AH라고 한다.
전력 (watt) 전기적인 힘을 표현하는 단위로 전력(W) = 전류(A) × 전압(V) 전력량 (watt-hour, Hr) 전력 × 시간으로 표현된 전기적 에너지의 측정단위
전류 (current) 전기의 흐르는 비율 혹은 도선을 따라 흐르는 전자의 흐름 비율로 보통 물의 흐름과 비유된다. 암페어(A) 전압 (volt) 전기적 전위차를 나타내는 단위 전압과 전해액과의 상관 관계
개회로 전압 = 전해액 비중(25℃인 경우) + 0.85
전조 (container) 극판군, 전해액 등을 넣은 축전지를 형성하기 위한 내산성의 용기 또는 내알칼리성의 용기
전해액 (electrolyte) 축전지 내부의 전기, 화학반응에 따라 이온을 전도시키는 매체. 연축전지에는 묽은 황산, 알칼리 축전지에는 일반적으로 수산화칼륨 용액이 사용된다.
접지 (ground) 회로의 기준 전위. 자동차에 사용할 경우 배터리 케이블 중의 하나를 자동차의 몸체나 프레임에 연결시킴으로써 회로를 구성한다. 오늘날 99% 이상이 음극 터미널을 접지로써 사용한다.
정류기 (rectifier) 정류기를 사용하여 교류전력을 직류전력으로 교환하는 장치.
즉용식 연축전지 (dry charged lead-acid battery) 액 주입후에 초기 충전을 하지 않아도 사용가능한 연축전지. 일반적으로는 간단한 보충전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보충전을 함에 따라 축전지의 성능을 처음부터 충분한 사용이 가능하다.
정전압 수명시험 (constant voltage life test) 충전을 정전압으로써 행하는 수명시험 방법
정전력방전 (constant watt discharge) 일전한 전력으로 행하는 방전.
정전류방전 (constant current discharge) 일정한 전류로 행하는 방전.
정전류충전 (constant current charge) 일정한 전류로 행하는 충전.
정전압충전 (constant vlotage charge) 축전지의 단자에 가하는 전압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충전.
종지방전 (cut-off discharge) 축전지의 방전량, 방전시간 등이 어떠한 일정값에 도달했을때에 중단하는 방전방식
중량효율 (weight energy density) 단위 중량당 얻어진 축전지의 방전특성. 예를 들면, Wh/kg, Ah/kg 등의 단위로 표시된다.
중부하수명 (deep cycle endurance) 수명시험 방법에 있어서 1회의 방전심도가 20% 이상의 중부하 영역에서의 방전과 충전의 싸이클을 반복했을 때의 횟수.
직렬연결회로 (series circuit) 전류의 흐름이 한길을 통하는 경우로 양극과 음극이 연속적으로 연결된 경우, 예로 만일 12volt의 배터리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면 24volt가 되며, 용량은 같다.
집합 배기구조 (collective exhaust unit) 두 쎌 이상의 발생 가스를 집합하여 축전지 외부로 한꺼번에 배출하는 구조.
초기용량 (initial capacity) 초기의 축전지 용량. JIS 등에서는 초기용량은 정격용량의 일정값 이상이면 좋다고 규정하고 있다. (예를들면, 95%) 초충전 (initial charge) 미충전 축전지의 최고 충전. 전해액 주입후 통전하여 활물질 충분하게 활성화하는 것.
총전압 (total voltage) 2개 이상의 단전지를 직렬로 연결한 경우의 전체 전압.
최대방전전류 (maximum discharge current) 변형, 외관이상, 극주의 용접절단 등을 발생하지 않는 범위에서 방전 가능한 최대전류
축전지 (battery) 2개의 다른 전극과 1개의 도전성 물질로 구성되어, 그것에 의하여 화학적에너지와 전기적 에너지가 상호 교환하는 계(system). 일반적으로 2차전지라 말한다.
축전지 내부압 (internal cell pressure) 축전지의 내부 압력. 전해액 성분의 전기분해에 의하여 가스발생과 음극판에서의 산소가스의 흡수 등에 의한 축전지내부의 압력이 변화한다.
출력밀도 (power density) 단위 중량당 얻어진 축전지의 출력. 예를 들면, W/kg 등의 단위로 표시된다.
충전 (charge) 축전지에 외부 회로로부터 직류를 공급하고 극판 활물질을 화학 변화시켜서 축전지 내부에 전기에너지를 화학에너지로서 축적하는 일.
충전기 (battery charger) 축전지의 충전에 편리하도록 사용 되는 정류기. 정류장치라 말한다.
충전량 (charged ampere-hour) 충전에 사용되는 전기량. 정전류충전의 경우에는 그 전류값과 충전시간의 누적으로 된다. 단위는 암페어-아워(Ah)
충전말기 전압 (end-of-charge voltage) 충전 말기에 통전 상태에 있는 축전지의 전압.
충전부족 (poor charged state) 충분히 충전시키지 않은 상태. 항상 충전 부족상태로 되어 있으면 수명이 단축된다.
충전 상태 (state of charge) 배터리에 저장된 전기적 에너지의 양으로 주어진 시간에서 만충전상태를 %단위로 표현
충전수입성 시험 (charge acceptance test) 방전된 축전지가 얼마나 충전될 수 있는가를 조사하는 시험.
충전전류 (charge current) 충전중에 흐르는 전류. 정전류충전의 경우 항시 일정한 전류가 흐른다. 정전 압충전의 경우에는 충전의 진행에 따라 전류값이 작아지게 된다.
충전전압 (charge voltage) 충전중의 축전지 전압.
충전효율 (charge efficiency) 암페어-아워 효율과 와트-아워 효율과의 총칭. 암페어-아워 효율의 의미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측면터미날 (side terminal) 축전지의 측면부위에 설계된 단자. 자동차용 축전지 일부에 사용되고 있다.
트리클충전 (tricle charge) 축전지의 자기방전을 보충하기 위하여 부하로부터 떼어논 상태에서 끊임없이 미세한 전류로 행하는 충전.
파이럿-쎌 (pilot cell) 전지 성능시험 등으로 배터리를 대표하는 단전지.
패이스트식 연축전지 (pasted type lead-acid battery) 양극, 음극에 패이스트식 극판을 사용한 연축전지.
폐로전압 (on-load voltage) 축전지에 부하를 연결하여 방전시키고 있을 때의 전압.
폭발한계 (explosion limit) 폭발이 일어나기 위해서 필요한 가스농도, 압력 등의 한계. 예로서 수소 공기의 혼합기체에는 폭발 하한선의 수소농도는 4~9% 정도로 알려 있다.
형식(designation) 형식 또는 명칭외에 축전지 갯수 등 필요한 사항을 포함하는 것. 따라서 조전지의 종류 등을 동시에 표시하는 것도 좋다.
하이브리드 배터리 (hybrid battery) 극판 격자합금이 양극과 음극이 다른 연축전지., 예를 들면 양극격자는 Pb-Sb계 합금, 음극격자는 Pb-Ca계 합금을 사용하는 자동차용 연축전지.
해면상납 (spongy lead) 다공성으로 생성된 납으로 연축전지의 음극판의 활물질은 해면상납으로 불린다.
화성 (formation) 극판을 적당한 전해액 속에서 전해시킨 양극판, 음극판에 각 극성을 갖게 하는것. 연축전지에는 건조시킨 극판을 희황산 속에서 전해시키고 산화 및 환원에 의하여 양극판의 납산화물을 이산화연, 음극판을 해면상 납으로 변화시킨다.
활물질 (active material) 전극의 전기화학 반응물질. 연축전지의 경우 양극의 이산화납, 음극의 해면상납.
활물질의 이론용량 (theoretical capacity of active material) 활물질량에 대한 이론적인 용량. 예로서 연축전지에서 음극 활물질(Pb) 3.866g, 양극 활물질(PbO2) 4.463g 의 이론용량은 1Ah 이다.
활물질의 이용율 (active material utilization) 전체 활물질 질량에 대하여 실제로 방전반응에 참여한 활물질 질량의 비율 또는 이론용량에 대한 실제용량의 비율.
회로 (circuit) 전자의 흐름 통로, 폐회로인 경우는 전자의 흐름이 가능한 경우나 개회인 경우는 절단되거나 연결이 되지 않은 경우이다.
회복충전 (recovering charge) 방전된 축전지를 다음 방전을 위하여 용량이 회복될 때까지 충전을 하는 것.
회전 (cycle) 배터리에서 한 번방전 그리고 한번충전을 1회전 혹은 1사이클(cycle)이라 한다.
1. System의 부하 전류를 고려한다.
2. System의 종지 전압을 고려한다.
예 ) 부동충전 27V, down 전압 21V 인 경우 cell당 2.25V, 1.75V
3. Backup time을 선정한다. 예로 backup 3시간
일반적으로 1시간을 기준으로 미만이면 AGM type, 이상이면 gel type을 추천한다.
4. 축전지 선정
gel type, 종지 전압 1.75V, backup 3시간 미면 다음표에서 방전율이 0.267이란 값을찾는다.
부하 전류가 300A이면 400A÷0.267 = 1498.1 이란 값을 얻는다.
5. 축전지 결정
gel type 전지의 2V 1500AH 용량이 결정된다.
6. 축전지의 일반적인 수명은
gel type : 10~15년
AGM type : 5~7년
vented type : 튜브형 극판 적용 15~20년
Pasted 극판 적용 10~15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