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가 내 뺨을 때릴 수 있겠는가?..
조선 말기의 왕족인 '이하응'은,
조선왕조 제26대 '고종'의 아버지입니다.
'이하응'의 아들 '명복'이 12세에
임금에 오르게 되자, '이하응'은
'대원군'에 봉해지고, 어린 '고종'을
대신해 섭정(攝政)을 하였습니다.
그런 '이하응'이 젊었던 시절 이야기입니다.
몰락한 왕족으로 기생집이나
드나들던 어느 날, 술집에서
추태를 부리다가 금군별장(종 2품 무관) '이장렴'이 말렸는데,
화가 난 '이하응'이 소리쳤습니다.
"그래도 내가 왕족이거늘
감히 일개 군관이 무례하구나!“
그러자 '이장렴'은 '이하응'의 뺨을 후려치면서 큰 소리로 호통을 쳤습니다.
"한 나라의 왕실 종친이면 체통을 지켜야지. 이렇게 추태를 부리고 외상술이나 마시며, 왕실을 더럽혀서야 되겠소!
나라를 사랑하는 마음으로
뺨을 때린 것이니 그리 아시오.“
세월이 흘러 '이하응'이 '흥선대원군'이 되어, '이장렴'을 운현궁으로 불렀습니다.
'이장렴'은 부름을 받자 죽음을
각오하고, 가족에게 유언까지 했습니다.
'이장렴'이 방에 들어서자
'흥선대원군'은 눈을 부릅뜨면서 물었습니다.
"자네는 이 자리에서도 내 뺨을 때릴 수 있겠는가?“
"대감께서 지금도 그때와 같은
못된 술버릇을 갖고 있다면,
이 손을 억제하지 못할 것입니다."
'이장렴'의 말에 '흥선대원군'은
호탕하게 웃으며 말했습니다.
"조만간 그 술집에 다시 가려고 했는데, 자네 때문에 안 되겠군. 하지만, 내가 오늘 좋은 인재를 얻은 것 같네.“
'흥선대원군'은 '이장렴'을 극진히
대접하고, 그가 돌아갈 때는
문밖까지 나와 배웅하며, 사람들에게 이렇게 말했습니다.
"금위대장 나가시니 앞을 물리고,
중문으로 모시도록 하여라."
이장렴은 다음날 금위대장으로 승진했읍니다.
오직 나라를 생각하는 충신의 행동은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합니다.
옛말에
"효자는 부모에게 아첨을 하지 않으며,
충신은 임금에게 아첨하지 않는다."
라는 말이 있읍니다.
오늘도 자녀들은 아첨(阿諂)하지 말고, 부모님의 은혜(恩惠)에 感謝하며 효도(孝道)해야 하고, 신하(臣下)는 아첨하지 말고,
나라을 위해 희생(犧牲)하며,
충직-忠直)하게 살아야 한다는
사실을 기억하는
복(福)된 하루 되시길 기원합니다!!
오늘 날 나라를 위하겠다는
충신은 보이질 않고 배신과 변절 기회주의자 아첨꾼들이 차고 넘치는 작금에 진정한 충신이
나오길 민초들은 간절히 바라고 있습니다~
"한나라를 지키는데는
열 충신도 부족하지만
한나라를 망하게 하는데는
단 한명의 간신이면 족하다" 하였는데,,,
다 함께 행복 합시다
- 옮긴 글입니다 -
첫댓글 좋은 글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