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태산자연휴양림
대전트래블라운지
한밭수목원
이응노미술관
장태산의 가을 풍경
이생진 시인은 ‘낙엽’이라는 시에서 ‘한 장의 지폐보다 / 한 장의 낙엽이 아까울 때가 있다’ 말한다. 그리고 ‘그때가 좋은 때다’라고 덧붙인다. 그러니 스산한 11월, 가난한 마음에 떨어진 낙엽은 기꺼움으로 마주해 봐도 좋겠다.
장태산자연휴양림 스카이타워 일대의 가을
장태산자연휴양림은 가녀린 침엽의 메타세쿼이아가 가을을 물들인다. 메타세쿼이아는 활엽낙엽수가 단풍을
떨굴 때 즈음 뒤늦게 단풍이 드는 ‘낙엽침엽수’다. 침엽수는 소나무나 주목처럼 사철 푸른 잎을 뽐낼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메타세쿼이아는 다르다. 가을에는 무리 진 침엽에 붉은 단풍이 들고 낙엽 또한 돗자리를 깔아놓은 듯 바닥 위에 얕고 넓게 흩어진다.
장태산자연휴양림의 스카이웨이와 출렁다리
장태산자연휴양림에 처음 메타세쿼이아 숲을 조성한 이는 고 임창봉 씨다. 장태산자연휴양림 초입에는 그의 흉상이 있고 ‘1972년부터 24만여 평에 20만 그루의 나무를 심었다’라고 적혀 있다. 흉상 뒤편에는 그가 쓴 ‘나의 신조’가 남아 있다.
“나는 여생을 나무를 심고 가꾸며 진실하고 정직하게 자연의 섭리를 배우며 성실하게 살겠다. …흙과 나무는 사람과 같이 속이지 않음을 확신하기 때문이다.”
스카이타워에서 본 메타세쿼이아 우듬지 사이 출렁다리
그러니 장태산자연휴양림의 메타세쿼이아 숲을 거니는 건, 나무를 사랑한 그의 삶 속으로 스미는 여정이기도
하다. 낙엽 밟는 소리가 소란스럽지 않은 것 또한 그런 까닭이겠다. 현재는 대전광역시 소유다. 임창봉 씨의 사업이 어려워지며 경매에 나왔고, 이를 대전광역시가 인수해 산림문화휴양관 등을 새로이 지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메타세쿼이아 숲의 공중을 지나는 스카이웨이
휴양림에서 가장 인기 있는 장소는 역시나 스카이웨이와 스카이타워. 지상 10~16m 높이에 놓인 스카이웨이는
메타세쿼이아 숲 사이를 비집고 지난다. 메타세쿼이아를 곁에 두고 공중으로 난 산책로를 걷는 일은 꽤 신비롭다. 그런데도 여전히 나무의 중간 높이 정도에 다다랐을 뿐인데, 가지는 머리 위로 또 한참을 올라간다. 메타세쿼이아는 중생대 백악기부터 공룡과 함께 살아 ‘살아있는 화석’이라 불린다. 멸종한 것으로 알려졌다가 1940년대 군락이 발견되며 부활했다. 생장 속도가 무척 빠르고 보통 35m 높이까지 자란다. 그 사실까지 알고 나면 왠지 공룡의 어깨 위에 올라탄 듯도 하다.
나선형으로 돌아오르며 주변 풍경을 감상할 수 있는 스카이타워
스카이웨이가 끝나는 지점에는 스카이타워가 방점을 찍는다. 높이 27m의 스카이타워는 나선형 덱으로 빙글빙글 몇 바퀴를 돌아 정상부에 다다른다. 정상부 전망대에 오르고서야 비로소 메타세쿼이아의 꼭대기, 우듬지와 눈을 맞춘다. 타워에서 발아래를 내려 보면 아찔하다. 스카이웨이 높이는 비할 바가 아니다. 먼 산에는 앞선 단풍들이 번지기 시작한다. 장태산은 해발고도 374m로 그리 높은 산은 아니지만, 임창봉 씨가 왜 '높고 깊은 산(長泰山)'이라 이름 붙였는지 알 법하다.
대통령방문코스의 메타세쿼이아 산림욕장 풍경
장태산자연휴양림은 과거 문재인 전 대통령 부부가 여름 휴가차 방문해 더 유명해졌다. 관리사무소 앞에는 대통령 탐방 코스 안내도가 있다. 스카이웨이 쪽이 아니라 메타세쿼이아 삼림욕장으로 방향을 잡으면 된다.
삼림욕장과 숲속교실을 지나 전망대까지 다녀오는 구간으로 약 50분 정도 걸린다. 초입의 메타세쿼이아 삼림
욕장 정도만 다녀와도 좋다.
숲속의집 가는 길의 메타세쿼이아 산림욕장
고요하고 편안한 시간을 보내기에는 메타세쿼이아 숲 아래가 스카이웨이 쪽보다 낫다. 선베드와 들마루 등 쉼의 자리가 잘 갖춰져 있어, 하늘을 보며 눕는 이들이 많다. 메타세쿼이아의 높이를 다시 실감한다. 늦은 가을에는
메타세쿼이아 낙엽을 밟으며 산책하기에도 좋은 장소다.
장태산자연휴양림 생태연못의 포토존
침엽의 낙엽은 ‘바스락’거리는 대신 빗질처럼 쓸리는데, 그럴 땐 발끝에서 가을이 소리 없이 저무는 것만 같다.
그밖에 스카이웨이에서 이어지는 140m의 출렁다리나 다정한 산책을 즐길 수 있는 생태연못 등도 장태산자연
휴양림의 명물이다. 숲속의집이나 산림문화휴양관 등이 있어 하룻밤 묵어가며 메타세쿼이아의 숲을 마주할 수도 있다.
대전트래블라운지 1층의 굿즈샵 오고가게
대전트래블라운지는 대전광역시가 관광객을 위해 마련한 쉼터이자 문화공간이다. 대전역에서 도보 10분 거리라 여행의 출발 삼기에 알맞다. 대전의 제철 여행 정보를 얻거나 여행 가방 무료 보관서비스만 이용해도 충분하다.
2층으로 이뤄진 라운지 내에는 무인 카페, 여행책 서가, 굿즈숍 등이 있어 숨을 고르며 여행계획을 짜기에도 안성맞춤이다. 대전 원도심에 관심 있는 이들은 문화관광해설사에게 원도심 동행투어(무료)를 청할 수 있다.
한밭수목원 명상의 숲 인근 전경
메타세쿼이아의 가을만으로 아쉬울 때는 한밭수목원을 찾을 일이다. 도시의 숲에 공원이 아닌 수목원이라 이름 붙인 이유는 가보면 안다. 1993년 대전엑스포를 계기로 조성한 부지는 지난 2005년 서원, 2009년 동원이 차례로 개원했다. 약 20년이 지난 지금은 ‘2023~2024 한국관광100선’에 이름을 올릴 만큼 울창하다. 특히 서원 명상의 숲 인근은 붉은 단풍과 대숲의 초록이 조화롭다. 명상의 숲에서 습지원을 지나 단풍숲까지 가을 산책을 누려봄 직하다.
이응노미술관에 전시 중인 고암 이응노의 작품들
한밭수목원 남쪽은 이응노미술관이 위치한다. 고암 이응노는 파리를 중심으로 활동한 우리나라 대표 추상화가다. 동양의 필묵을 기반으로 한 그의 작품은 우리 전통의 미가 짙게 묻어난다. 특히 ‘군상’ 연작 시리즈와 문자 추상을 눈여겨볼 작품이다. 노벨문학상 수상 작가 한강의 ‘소년이 온다’가 5·18광주민주화운동의 참상을 써나갔다면
이응노 화백은 ‘군상’으로 그려냈다.
이응노 작품 ''수(壽)''의 조형 구조를 반영한 이응노미술관 건물
건축가 로랑 보두엥이 디자인한 미술관 건물 역시 흥미롭다. 고암의 작품 ‘수(壽)’의 문자 추상을 건축적으로 표현했다. 야외는 우리 전통 건축의 담과 마당 그리고 초입의 두 그루 소나무가 고암의 작품처럼 짙은 여운을 남긴다.
〈당일 여행 코스〉
장태산자연휴양림→한밭수목원→이응노미술관
〈1박 2일 여행 코스〉
첫째 날 / 장태산자연휴양림→한밭수목원→이응노미술관
둘째 날 / 대전트래블라운지→계족산→소제동 카페골목
여행정보
○ 관련 웹 사이트 주소
- 장태산자연휴양림
- 이응노미술관
- 한밭수목원
- 대전관광
○ 운영 정보
[장태산자연휴양림]
*운영시간 : 24시간, 숙박 입실 15시 이후, 퇴실 11시 이전
*휴무 : 연중무휴
*요금 : 무료
○ 문의 전화
- 장태산자연휴양림 042)270-7885
- 이응노미술관 042)611-9800
- 한밭수목원 042)270-8452~3
- 대전트래블라운지 042)221-1905
○ 대중교통 정보
[버스] 서울-대전, 서울고속터미널에서 15~20분 단위(06:00~24:00)운행, 약 2시간 소요. 대전복합버스터미널에서 용전네거리 정류장까지 560m 이동 후 615번 버스 이용. 도마삼거리 정류장에서 22번 환승 후 장태산자연휴양림 하차.
* 문의 : 서울고속버스터미널 1688-4700 고속버스통합예매시스템
대전광역시버스운송사업조합 042)522-2254 대전광역시버스운송사업조합 042)522-2254
[기차] 서울역-대전역, KTX 수시(05:03~23:28) 운행, 약 1시간 소요. 대전역/역전시장 정류장에서 20번 버스 이용 장태산자연휴양림 하차.
* 문의 : 레츠코레일 1544-7788 레츠코레일
○ 자가운전 정보
대전남부순환고속도로 서대전IC→계백로→벌곡로→장안로→장태산자연휴양림
○ 숙박 정보
- 호텔더에이치 : 한국관광 품질인증, 대덕구 신탄진동로, 042)932-0005
- 베니키아 테크노밸리 호텔 : 유성구 테크노중앙로, 042)671-0500
- 호텔ICC : 유성구 엑스포로, 042)866-5000
○ 식당 정보
- 태화장 : 맨보샤, 동구 중앙로, 042)256-2407
- 호숫가에서 본점 : 오리훈제 쌈밥정식, 서구 장안로 042)581-3303
- 이태리국시 본점 : 숯불갈비쌈피자, 서구 둔산로31번길 042)485-0950
○ 주변 볼거리
- 국립중앙과학관
※ 위 정보는 2024년 11월에 작성된 정보로, 이후 변경될 수 있으니 여행 하시기 전에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글 : 박상준 (여행작가)
사진 : 박상준 (사진작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