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이원준 기자 = 우리 군이 3만톤(t)급 경항공모함 건조 사업을 정상적으로 추진하기로 했다.
30일 군 관계자에 따르면 합동참모본부는 이날 원인철 합참의장 주관으로 합동참모회의를 열어 경항모 건조 사업에 대해 소요결정(연구개발 또는 구매)을 했다. 소요결정은 경항모 사업 추진을 위한 첫발을 뗐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이번 결정에 따라 경항모 사업은 사업타당성 조사에 돌입하고, 5년 단위로 수립하는 국방중기계획에 예산이 반영되는 등 절차에 따라 추진될 전망이다.
이와 별개로 방위사업청과 해군은 경항모 관련 사업추진기본전략을 수립하는 등 세부 계획을 마련할 예정이다.
이날 회의에서 군 수뇌부는 경항모가 전방위 안보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미래 합동전력이라는 차원에서 소요결정을 한 것으로 전해졌다.
군 당국은 오는 2022년에 경항모 기본설계에 착수해 2033년까지 해군에 전력화한다는 목표다.
또한 이번 회의에서는 경항모에 탑재할 수직이착륙 전투기 도입 사업에 대해서도 논의가 오갔다. 기종이 확정되지 않았지만 미군 등이 운용하는 F-35B 전투기 도입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방부는 올해 8월 '2021-2025 국방중기계획'에서 대형수송함-II 사업을 '경항공모함 사업'으로 변경하며 경항모 건조 및 수직이착륙기 도입을 공식화했다.
경항모 건조 사업은 내년도 국방예산에서 관련 예산이 대폭 삭감돼 부침을 겪기도 했다. 국회 예산심사 과정에서 방위사업청이 요구한 예산 101억원 가운데 연구용역비 1억원만 반영되면서다.
하지만 군 당국이 이날 경항모 건조를 위한 첫발을 떼면서 사업 추진 동력도 되살아날 것으로 전망된다.
그동안 일각에선 경항모와 수직이착륙기를 둘러싼 '무용론'이 제기돼왔다. 사업 투입되는 비용과 한반도 지정학적 특수성 등을 고려하면 다른 무기체계를 도입하는 것이 훨씬 낫다는 주장이다. 경항모용 F-35B 대신 공군이 운용하는 F-35A 전투기를 확충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 것도 이 때문이다.
이에 대해 군 관계자는 이날 "경항모는 잠재적 위협국들의 팽창적인 해군력 증강에 대응하기 위한 가장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전력"이라며 "주변 강대국 위협에 동등한 수준까지는 어렵지만 최소한의 억지력을 발휘할 수 있는 수준은 갖춰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F-15K나 F-35A는 독도나 이어도 상공에 도착하더라도 제공시간에 한계가 있어 제한적인 시간만 대응 가능하다"며 "항공모함에서 운용되는 전투기는 모기지 왕복시간을 줄여 분쟁해역에서 더 빨리, 더 자주, 더 멀리서 대응 가능한 장점이 있다"고 강조했다.
wonjun44@news1.kr
https://news.v.daum.net/v/20201230175123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