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한자] 恩怨 (은혜 은,원망 원)
‘나는 당신과 아무런 은원도 없는데 무엇 때문에 이 양반의 편을 들어 당신을 치려고 하겠소’의 ‘은원’은?
①慇怨 ②恩怨 ③恩遠 ④隱怨.
‘恩怨’에 대해 샅샅이 풀어헤쳐보자.
恩자는 ‘(사랑을) 베풀다’(bestow)가 본뜻이다.
사랑을 함에 있어서는 ‘마음’을 빼놓을 수 없으니 ‘마음 심’(心)이 의미요소로 쓰였다.
因(인할 인)은 발음요소인데 음이 약간 달라졌다. ‘혜택’(benefit) ‘은혜’(favor) 등으로도 쓰인다.
怨자는 마음에 사무치는 ‘원망’(grudge) ‘불평’(complaint) ‘적대감’(hostility) ‘미움’(hatred) 등을 나타내는 것이었으니 ‘마음 심’(心)이 의미요소로 쓰였고, +(누워 뒹굴 원)이 발음요소임은 苑(동산 원)과 鴛(원앙 원)도 마찬가지다.
恩怨은 ‘은혜(恩惠)와 원한(怨恨)’을 이른다.
아울러 이런 말도 꼭꼭 새겨 실천하면 삶이 기름지게 될 듯.
‘남에게 베푼 일은 염두에 두질 말고, 남에게 받은 은혜는 잊지를 말라!’
[施人愼勿念, 受恩愼勿忘 - ‘金樓子’]. ▶ [정답 ②]
전광진· 성균관대 중문학과 교수 www.solbook.co.kr
'''''''''''''''''''''''''''''''''''''''''''''''''''''''''''''''''''''''''''''''''''''''''''''''''''''''''''''''''''''''''''''''''''''''''''''''''''''
첫댓글 누워 뒹글원자를 알았네요. 인간관계를 둘로 요약하면 은과 원이지요. 원은 없애고 은을 늘리는 것이 잘 사는 인생의 길이 아닐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