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 분 | 2013년 | 비중 | 2014년 | 비중 | 2015년 | 비중 | 2016년 | 비중 |
전 품목 | 5,474,274 | 100 | 6,332,253 | 100 | 6,555,821 | 100 | 7,974,442 | 100 |
비식품류 | 3,864,417 | 90.6 | 4,511,430 | 71.2 | 4,668,887 | 73.7 | 5,770,156 | 91.1 |
벽지 등제품 | 46,844 (US$ 30,800만) | 0.9 | 53,082 (US$ 29,630만) | 0.8 | 56,252 (US$ 25,310만) | 0.9 | 104,337 (US$ 30,530만) | 1.3 |
주 : 당해 평균 환율 기준으로 달러 환산
자료원 : 카자흐스탄 통계청, 중앙은행
ㅇ 2016년 카자흐스탄의 주택 건설규모는 약 98억 달러임.
- 2016년 주택 공급 규모는 약 220만평방미터이며, 2017년 1~7월 150만평방미터로 전년 동기 대비 33% 증가
- 주택의 대부분은 아스타나에 건설됐으며, 이는 2017 아스타나 엑스포의 영향도 있으나 매년평균 4%의 인구 증가도 영향을 주었음.
- 주택 건물 공사에 98억 달러가 소요됐다면, 벽지 등 내부 인테리어 공사에는 별도 90억 달러가 소요
ㅇ 벽지는 인테리어의 중요한 구성요소 중 하나로 건물 신축 또는 노후화 건물 리모델링 등으로꾸준히 수요가 있는 제품임.
- 플라스틱 및 목재 패널, 직물, 금속, 유리 등 다양한 재료로 만들어진 벽지가 사용되고 있음.
- 현재 다양한 벽지가 판매됨. 시장 조사에 따르면, 2016년 가장 인기 있었던 벽지는 비닐, 유리, 종이 소재의 벽지임.
ㅇ 마감재 시장은 건설업계에서 가장 안정적인 분야 중 하나임.
- 노후화된 건물이 많아 현지인들은 리모델링에 관심을 많이 기울이고 있으며, 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약 40~50%가 향후 2년 내 주택 상태를 개선하려 함.
- 현지인들은 신축 주택을 구매하기보다는 주로 원래 거주하고 있는 공간을 수리하여 사는 방식을 취함.
- 대도시의 거주자들은 평균 5~7년에 한번씩 수리를 하며 평방미터당 기꺼이 200달러를 쓰고 있어 앞으로의 성장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임.
ㅇ 벽지의 주요 고객은 건축 자재 도매&소매 업체, 인테리어 회사, 직접 리모델링 하는 개인 소비자임
□ 수출입 동향
1) 수입동향
ㅇ 2016년 카자흐스탄 벽지(HS Code 4814) 수입은 총 2690만 달러로 전년 대비 23.9% 감소
- 하지만 2017년 8월 수입은 18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5.8% 증가
- 2017년 하반기를 비롯 벽지제품에 대한 수요는 앞으로 지속 증가할 것으로 전망(러시아 등 EAEU 회원국 통계 미포함 기준)
ㅇ 2016년 카자흐스탄 시장에서 가장 인기가 많았던 벽지는 러시아·우크라이나·독일·이탈리아·한국·중국산임.
카자흐스탄의 주요 벽지 수입국(HS Code 4814)
(단위 : 백만 달러, %)
국명 | 수입액 | 점유율 | 증감률 2016/2015 | ||||
2014 | 2015 | 2016 | 2014 | 2015 | 2016 | ||
세계 | 52.2 | 35.3 | 26.9 | 100.00 | 100.00 | 100.00 | - 23.85 |
우크라이나 | 28.8 | 20.6 | 16.2 | 55.14 | 58.34 | 60.15 | - 21.49 |
독일 | 6.0 | 4.8 | 3.3 | 11.46 | 13.71 | 12.12 | - 32.65 |
이탈리아 | 8.0 | 4.0 | 2.7 | 15.22 | 11.42 | 10.06 | - 32.86 |
한국 | 3.5 | 2.3 | 2.0 | 6.76 | 6.65 | 7.34 | - 15.92 |
중국 | 2.9 | 1.8 | 1.3 | 5.46 | 5.12 | 4.86 | - 27.76 |
벨기에 | 1.7 | 1.0 | 1.1 | 3.19 | 3.01 | 3.97 | 0.44 |
네덜란드 | 0.2 | 0.1 | 0.07 | 0.34 | 0.32 | 0.27 | - 36.32 |
영국 | 0.5 | 0.1 | 0.07 | 1.02 | 0.38 | 0.26 | - 48.48 |
슬로바키아 | 0 | 0 | 0.05 | 0.00 | 0.00 | 0.20 | 0.00 |
오스트리아 | 0 | 0 | 0.05 | 0.00 | 0.00 | 0.17 | 0.00 |
자료원 : Global Trade Atlas
주: 러시아 등 EAEU 회원국 통계 미포함
ㅇ EAEU 회원국으로 카자흐스탄의 수입 통계에 잡히지 않는 러시아산 제품의 경우 2016년 러시아 전체 수출의 40%를 차지하며,러시아를 제외한 기타 국가로부터 수입한 규모의 81%를 차지할 정도로 압도적인 수준임.
러시아의 對카자흐스탄 벽지 수출규모(HS Code 4814)
(단위: 백만 달러, %)
국명 | 수출액 | 점유율 | 증감률 | ||||
2014 | 2015 | 2016 | 2014 | 2015 | 2016 | 2016/2015 | |
전 세계 | 39.1 | 44.1 | 54.2 | 100.00 | 100.00 | 100.00 | 22.91 |
카자흐스탄 | 9.2 | 15.0 | 21.8 | 23.61 | 33.93 | 40.12 | 45.35 |
자료원 : Global Trade Atlas
2) 수출 동향
ㅇ 카자흐스탄의 현지 벽지 생산 규모는 매우 미미한 수준임.
- 2016년 수출 규모는 2만1000달러로 주로 중국, 타지키스탄으로 수출했음.
- 2015년 수출 규모는 41만7000달러로 주로 중국, 키르기스스탄, 네덜란드, 타지키스탄으로 수출했음.
□ 대한 수입 규모 및 동향
ㅇ 2016년 한국산 벽지 수입 규모는 2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15.9% 감소
- 2017년 8월 기준 수입 규모는 84만9000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32.7% 감소
ㅇ 한국산 벽지 수입 규모가 감소하고, 수입 비중이 크지 않지만 우호적인 인식으로 매년 상위 5위 수입국 내에 포함됨.
ㅇ 한국산 벽지는 유럽산 브랜드와 비교 시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에 좋은 품질을 가지고 있다는 인식이 퍼져있음.
□ 경쟁동향 및 주요 경쟁기업
ㅇ 2016년 카자흐스탄 시장에서 가장 인기가 많았던 벽지는 러시아, 우크라이나, 독일, 이탈리아, 한국, 중국산이며, 상대적으로 일본, 미국, 유럽산 제품의 인기가 시들해지고 있음.
- 오스트리아 10위, 폴란드 11위, 프랑스 12위, 일본 13위, 핀란드 14위, 스페인 15위, 미국 16위를 차지함.
ㅇ 국가별 인기 브랜드
- 우크라이나: Slabyanka, Krokus
- 독일: Covers Elements
- 이탈리아: Arcadia
- 한국: GniGaenari, Design ID
ㅇ 현지 벽지 공급업체
- Oboinaya Campaniya: https://41410-kz.all.biz
- GrandStock: www.grandstock.kz
- 1 Stroitelny.kz (construction portal): www.1stroitelny.kz
- GEDEON (trade and construction base): www.gedeonkz.kz
ㅇ 주요 제품 소개
사 진 | 세부사항 | 가격 |
제품명: 워셔블 비닐 벽지 제조사: GNI GAENARI 원산지: 대한민국 | 롤 당 US$ 50 | |
제품명: 비닐 벽지 제조사: Design ID 원산지: 대한민국 | 롤 당 US$ 53 | |
제품명: 3D 벽지 제조사: Covers Elements 원산지: 독일 | 롤 당 US$ 37 | |
제품명: 비닐 벽지 제조사: Erismann 원산지: 러시아 | 롤 당 US$ 23 | |
제품명: 비닐 벽지 제조사: Slavyanka 원산지: 우크라이나 | 롤 당 US$ 27 | |
제품명: 비닐 벽지 제조사: Arcadia 원산지: 이탈리아 | 롤 당 US$ 74 |
자료원 : KOTRA 알마티 무역관 수집
□ 관세율, 수입규제, 인증
ㅇ 관세율: 5%(but not less 0.1 EUR for kg), 부가세 12%
ㅇ 수입규제: 해당사항 없음
ㅇ 인증 : EAC 인증
- 현지 에이전트를 통해 EAC 인증 발급 가능
에이전트명 | LLP KAZEXPOAUDIT |
담당자 | Ms. Yulya Magda |
전화번호 | +7 (727) 292-96-06, +7 (727) 390-90-72 |
이메일 | magda_5@mail.ru, info@certification.kz |
웹사이트 | |
주소 | 050012, Kazakhstan, Almaty, str. Zhambyl, 106 B |
근무시간 | 월~금요일 9:00~18:00, 토·일요일 휴무 |
□ 시사점
ㅇ 카자흐스탄에서 벽지의 높은 수요로 마감재 및 건축자재시장에서 비중이 크기 때문에 2018년 현지 전시회 참가를 통해 현지 바이어와 직접 만나는 기회를 노려보아야 함.
- Shymkent Build Kazakhstan : 2018.03.13-03.15
- World Build Almaty : 2018.09.04-09.06
- Horex Kazakhstan / Clean Expo Kazakhstan : 2018.10.31-11.02
ㅇ 현재 한국산 벽지가 인기를 끌어 유럽산 제품에 비해 상대적으로 진출 확대 가능성이 더 크다고 볼 수 있음.
- 경제 위기로 인해 카자흐스탄 소비자들이 상대적으로 덜 비싸고 품질이 양호한 한국 상품을 선호하고 있음.
자료원 : 카자흐스탄 통계청, 중앙은행, Global Trade Atlas, damu.kz, zakon.kz, kt.kz 등 KOTRA 알마티 무역관 자료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