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말씀: 애가 5:11-22】
11 대적들이 시온에서 부녀들을, 유다 각 성읍에서 처녀들을 욕보였나이다
12 지도자들은 그들의 손에 매달리고 장로들의 얼굴도 존경을 받지 못하나이다
13 청년들이 맷돌을 지며 아이들이 나무를 지다가 엎드러지오며
14 노인들은 다시 성문에 앉지 못하며 청년들은 다시 노래하지 못하나이다
15 우리의 마음에는 기쁨이 그쳤고 우리의 춤은 변하여 슬픔이 되었사오며
16 우리의 머리에서는 면류관이 떨어졌사오니 오호라 우리의 범죄 때문이니이다
17 이러므로 우리의 마음이 피곤하고 이러므로 우리 눈들이 어두우며
18 시온 산이 황폐하여 여우가 그 안에서 노나이다
19 여호와여 주는 영원히 계시오며 주의 보좌는 대대에 이르나이다
20 주께서 어찌하여 우리를 영원히 잊으시오며 우리를 이같이 오래 버리시나이까
21 여호와여 우리를 주께로 돌이키소서 그리하시면 우리가 주께로 돌아가겠사오니 우리의 날들을 다시 새롭게 하사 옛적 같게 하옵소서
22 주께서 우리를 아주 버리셨사오며 우리에게 진노하심이 참으로 크시니이다
【말씀 나눔】
오늘 본문은 예레미야 애가의 마지막 단락입니다.
하나님을 떠난 유다 백성들이 마주한 현실은 하나님이 떠난 시온의 황폐함입니다.
유다 왕국의 부녀자들이 대적들에게 욕보임을 당해도 누구도 막아줄 사람이 없고 나라의 지도자들 조차도 원수들에게 매달려 있는 비참한 상황을 마주하였습니다.
오늘 본문 12절에 지도자들이 그들의 손에 매달렸다는 말이 어떤 의미인지 명확하지는 않지만, 고대 근동의 문화를 고려해 볼 때, 지도자들이 수치스러운 상황에 처한 것으로, 신체적 고통을 당하는 고문과 함께 성벽에 매달아 놓거나 해서 모든 사람들에게 공개적으로 전시되는 상황을 추정해 볼 수 있습니다.
청년들과 어린아이들도 고통에서 예외일 수 없습니다. 삼손이 끌었던 맷돌과 같이 커다란 맷돌, 짐승들이 끌던 맷돌을 청년들이 지고, 아이들은 감당하지 못하는 나무 짐을 메다가 무게에 짓눌리는 일이 벌어집니다.
성문에 앉아서 판결을 내리던 노인들의 모습을 찾아 볼 수 없고, 공동체의 희망이 사라짐으로 인해 청년들의 입술에는 찬양이 사라져 버렸습니다. 미래 세대의 주인공인 청년들이 고역에 시달리다 보니 삶의 기쁨이 사라지고, 공동체의 삶은 처참하게 무너져 버렸습니다.
풍요를 기대하며 하나님을 떠난 유다 백성들은 하나님 안에서 누리는 ‘샬롬’도 잃어버렸습니다. 생명의 근원이 되시는 하나님이 그들을 떠나심으로 인해서 그들은 죽음을 대면해야 했습니다. 하나님이 떠나신 유다 백성들에게는 희망도 없고, 기쁨도 없으며, 살아도 산 것 같지 않고 차라리 죽는 것이 낫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유다 백성들이 이 지경이 된 것은 그들 안에 하나님이 계시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 시대 수많은 교회들이 있습니다. 그 교회들 안에 예수님이 함께 하실까요?
예수님이 함께 하시지 않는 교회에 희망을 찾을 수 있을까요?
단 한 명이라도 예수님을 믿고 의지하며, 전심으로 하나님을 예배하는 자가 있다면, 그 한 사람으로 인해서 그 교회는 버림당하지 않을 것입니다. 그 한 사람과 함께 하시는 주님이 계셔서 교회는 생명을 누리게 될 것입니다. 그 한 사람이 저와 여러분이 되기를 소망합니다.
유다 백성들이 이러한 참혹한 현실에 놓이게 된 원인이 무엇인지에 대해 예레미야 선지자는 ‘오호라 우리의 범죄 때문이니이다’ 라고 명확하게 선포합니다.
진정한 회개는 핑계를 대지 않는 것입니다.
진정한 회개는 이유를 대지 않습니다.
진정한 회개는 어쩔 수 없었다고 책임을 회피하지 않습니다.
예레미야 선지자는 이 모든 일에 책임이 자신들에게 있다,
하나님의 진노는 자신들의 죄 때문이라고 인정하며 자복하고 있습니다.
유다 백성들은 죄로 인해서 하나님과의 관계가 단절되었고,
죄로 인해서 눈이 어두워져서 하나님의 은혜를 알지 못하고,
죄로 인해서 그 마음이 완약해져서 하나님 없이도 살 수 있다고 착각했으며,
죄로 인해서 하나님을 떠나 우상을 섬기는 삶을 살았습니다.
유다 백성들이 살 수 있는 길은 하나님께 돌아가는 것입니다.
하나님께서 유다 백성들의 주권자이심을 인정하고 하나님의 통치에 순복하는 것입니다.
예레미야 선지자는 하나님께 유다 백성들을 하나님께 돌이켜 주시고,
‘우리의 날들을 다시 새롭게 하사 옛적 같게 하옵소서’ 라고 간구하고 있습니다.
옛적 같게 하옵소서라는 말의 의미는 하나님과 관계가 회복되어서 하나님의 주권이 온 나라에 미치고 하나님의 질서대로 나라가 움직이던 시대를 의미합니다. 즉, 하나님께서 창조하신 질서를 회복하여 온 백성들이 예루살렘에서 여호와 하나님을 예배하는 은혜를 누릴 수 있기를 간구하는 것입니다.
예레미야 선지자는 주님께서 우리를 아주 버리셨습니까?
우리에게서 진노를 풀지 않으시겠습니까? 라고 질문하고 있습니다.
이 말은 하나님께서 유다 백성들을 아주 버리셨다는 것을 강조하는 것이 아니라 만약에 하나님께서 유다 백성들을 완전히 떠나셨더라도, 하나님께서 극단적으로 분노하시더라도 현재의 이 고통을 견디면서 희망을 놓지 않겠다는 의지의 표현으로 보아야 합니다.
주님께서 우리를 아주 버리셨나이까? 라고 묻는 질문은 절대 그럴 리 없다는 부정의 의미도 함께 담겨있습니다. 지금 유다 백성들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하나님께서 유다 백성들에게 돌아오시는 것입니다. 유다 백성들이 먼저 하나님을 떠남으로 인해 하나님께서 떠나셨던 것처럼, 유다 백성들이 먼저 하나님께 돌이키면 하나님께서는 은혜로우시며 긍휼이 많으시며 노하기를 더디 하시며 인자하심이 크신 분이시기 때문에(시145:8) 유다 백성들을 내버려 두지 않으실 것입니다.
우리 인생도 마찬가지입니다.
우리 영의 빈자리는 세상의 것으로는 채울 수 없습니다.
하나님을 떠나면 ‘샬롬’도 사라지게 됩니다.
진정한 ‘샬롬’은 하나님 안에서만 누릴 수 있습니다.
하나님과 함께 한다면, 지금 당장 눈앞에 펼쳐진 현실이 고달프고, 소망이 사라지는 듯 보이지만, 반드시 회복시키시고, 세상이 주지 못하는 기쁨을 누리게 하시며, 영원한 소망을 우리에게 허락하여 주실 것입니다. 희망이 없고, 살아도 산 것 같지 않는 삶을 살고 있다면, 해결 방법은 단 한 가지 하나님께로 돌이키는 것입니다.
오늘 우리의 인생길을 점검하고 하나님 안에 매인 복된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인도하시는 성령님의 음성에 순복하는 성도의 길을 지켜내는 저와 여러분의 하루가 되기를 예수님의 이름으로 축원합니다.
【하루를 시작하며 하나님의 말씀을 깨닫는 묵상 - 하시깨묵】
1. 어제 하나님께서 주신 마음으로 결심한 결단과 실천 사항을 생활 속에서 적용한 결과는 어떻게 평가 할 수 있습니까?
2. 오늘 말씀 속에서 발견한 하나님은 어떤 분이며, 말씀에서 깨달은 하나님의 뜻은 무엇입니까?
3. 어제 하루 중에 기억에 남는 사건(일) 한 가지를 기록해 보세요.
그 사건에 대한 나의 마음이 어떤 느낌인지 적어 보세요.
4. 오늘 본문에서 발견한 문제와 어제 기억에 남는 사건은 어떤 유사점을 가지고 있나요?
5. 어제 사건 중에 하나님은 나에게 어떤 행동을 원하셨을까요?
6. 오늘 본문은 나에게 어떤 교훈을 주고 있습니까?
그렇다면 내가 하여야 할 일은 무엇입니까?
7. 하나님께서 주신 마음으로 기도문 적기 & 실천 사항 적기
【추천 찬송가】
447장 이 세상 끝 날까지
【은혜의 찬양】
여호와께 돌아가자: https://youtu.be/SPvMxO-Fzc0?si=2kEkAK6UXIVttWb9
【새벽예배영상】
https://youtube.com/live/QdImebseS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