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ishing Tackle (채비)
배스의 습성을 알았으니 이제 잡기위한 도구를 준비해야 하는데 이를 전체적으로 '채비'라한다.
1) Reel
Reel은 크게 두가지 종류가 있는데 Spinning Reel 과 Bait Reel있다. 두가지다 장단점이 있지만, 초보자의 경우 Spinning Reel이 사용하기가 쉽다. Bait Reel(일명 장구통릴)의 경우 Casting 연습을 많이해서 일명 '백래쉬' (새집 : 줄이 Spool에 엉켜서 새집(Bird Net)처럼 풀기 어려워지는 현상)를 최소화해야하고 일단 사용이 익숙해지면 Long Casting, Skipping, Pitching등 지형에 맞는 다양한 Casting 방법을 구사하여 숨어있는 Bass를 잡아내게 된다. 추후 Casting 방법은 이야기하기로 하고 우선 Reel 선택 기준을 설명하면 우선 자신이 오른손 잡이 인가 왼손잡이 인가를 기준으로 오른손잡이는 좌핸들릴, 왼손잡이는 우핸들릴을 선택하는게 좋다.
-. Spinning Reel 선택 기준 : Size 별로 1000번, 2000번, 2500번, 3000번 등이 있는데 번호가 커질 수록 크고 무거워진다고 생각하면된다. 보통 배스낚시에는 2000번, 2500번을 사용한다. 장시간 사용을 위해서는 무게도 고려해야 손목과 팔목의 피로도가 덜하다. 개인적으로 가격대비 성능으로 Daiwa 제품이 괜찮았다.

-. Bait Reel 선택 기준 : Spinning Reel로도 배스낚시는 충분하지만 하다보면 여러가지 Casting방법의 욕심이 생겨서 배이트릴을 고려하게되는데.. 너무나 다양하고 고가이기에 선뜻 투자하기가 겁날것이다. 초보자용으로 SIMMANO 스콜피온이나 도요엔지니어링 베이트릴 15만원 ~ 30만원선을 고려해보는 것을 개인적으로 추천한다.

2) 낚시대(Rod)
낚시대 또한 선택하기 어려움이 있는데 일단 기준을 정하면.. One Piece대는 아무리 좋아도 선택하지 말길.. 일단 차에 넣고 다니기가 어렵다. 프로들이나 프로이고 싶은 마음이 간절한 돈있는 자들이 지르는 것이고 Two Piece대에 비해 조과에 큰 차이가 없다. 일단 Two Piece대로 정하고 가격이 착한 국산 (ex. NS) 브랜드로 시작하는 것이 좋다.(10만 ~ 20만원선) Reel type에 따라 Spinning용, Bait Reel용을 선택하고 강도(휨새)를 선택한다. 일반적으로 ML (Medium Light)가 무난하고 수초지역에서 강제로 배스를 빼내겠다는 의지를 가지고 있다면 MH(Medium Hard/Heavy)를 선택하도록 한다. 길이는 6.6ft 이상이면 큰 무리가 없다.

3) 낚시줄(Line)
낚시줄도 종류가 많아서 고르기 어려울 것인데 보통 낚시대(Rod)에 Line rating이 표시되어 있는 것을 Reel에 감아서 쓴다. Line의 단위는 '파운드(lb)'로 표시하며 배스낚시에는 보통 6lb ~ 12lb 정도의 Mono filamint or Carbon line을 선택하도록 한다. 색은 무채색 계열로 물속에서 눈에 안띄는 색을 고른다.

4) 바늘(Hook)
Bass용 바늘을 선택하도록 하는데 크기는 만드는 회사마다 Size 단위가 틀리기 때문에 써보고 휘어지거나 부러짐이 없는 것을 주력으로 선택하는 수 밖에없다. 단, Hook Size는 자신이 운용하고자 하는 Plastic Worm의 크기와 Matching이 되는 것을 선택하도록 한다.

5) 추 (Sinker, Weight)
작은 루어나 채비법 또는 비거리(Casting Distance)를 위해서 추를 달아 사용하기도 하는데 추의 단위는 '온스' 로 표시하고 납이나 스테인레스, 황동 재질인데 스테인레스/황동이 비싸긴해도 환경을 위해서 사용하길 권한다. 다양한 모양이 있는데 이는 채비법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6) 루어 (Lure) : 속칭 가짜미끼
배스낚시의 참맛은 다양한 루어중 자신이 생각하여 최적이라 생각한 루어를 배스가 덥석 물고 나왔을 때 희열(?)을 느낄 수 있는데.. 그만큼 엄청나게 많은 종류와 각각의 이름이 있다. 배스 동호회 같은 곳에서 낚시에 일가견이 있다는 사람들이 그 이름을 줄줄외우고 이를 모르면 마치 자신보다 한수 아래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종종있는데 걍 무시하고 몇가지 주력할 제품만 확인하고 운용이 익숙할 때까지 연습하는 것이 최선이다.
크게 3가지 정도의 루어가 있다.
-. Soft Bait (Plastic Worm) : 실리콘 재질로 지렁이, 가제, 작은 물고기 등의 모양으로 만들어져 있으며 다양한 크기(인치), 색깔, 첨가물(향,소금등), 무게(온스)의 제품이 있다. 선택 기준은 채비법과 바늘크기를 맞는 것을 선택하도록 한다.

-. Spinner Bait : 철사(Wire) 재질로 만든 것으로 불레이드(Blade) + 스커트(Skirt) + 추(Weight) + 바늘(Hook)이 Wire에 잘 조립이 되어 있는 모양으로 던져서 감을때 블레이드가 돌면서 물결을 일으키고 스커트가 하늘하늘 움직여서 마치 작은 물고기들이 모여서 움직이는 느낌을 줘서 배스를 자극한다. 주로 수초사이, 물에 잠겨있는 나무, 돌 옆/위를 타고 넘을때 사용한다. 개당 3천원 이상이므로 조심해서 운용하는 것이 좋을것이다. 단위는 온스 기준이며 줄(Line)에 직접 묶어 사용하기 때문에 Line이 견딜 수 있는 무게를 고려하여 선택한다.

-. Hard Bait : 플래스틱/나무/철 재질로 각종 물고기 모양, 오징어 모양등으로 실제 미끼와 가장 비슷한 모양을 하고 있다. 모형 안에 작은 구슬을 넣어 소리가 나게도 하고 색색의 깃털로 장식도 하고 바늘(Hook)을 배와 꼬리쪽에 주로 달아 놓는다. 운용 방법에 따라 물표면에 뜨는것, 물 중간에 머무는 것, 바닥을 치며 오는 것등 종류가 있으며 운용 방법은 향후 별도로 정리하도록 하겠다.

7) 기타 도구
-. Line Cutter : 낚시줄(Line)은 상당히 질기기 때문에 자를 수 있는 가위나 Cutter를 사용한다.(이빨 사용금지..)
-. 플라이어 또는 뺀치 : 배스 입에 박힌 바늘을 빼내거나 추 또는 볼돌을 자르거나 라인에 붙이기 위한 도구
-. 줄자 : 배스 크기를 재기 위한 도구
-. 배스 체중계 : 배스 무게를 재기 위한 도구
-. 후레쉬 : 야간에 길을 찾기위한 필수 도구
-. 자외선 차단 크림 : 야외에 장시간 있기 때문에 수시로 바르도록 한다.
-. 기타 : 카메라, 낚시장갑, 햇볓가리게(모자에 부착해 쓰는것), 모기약
8) 복장 및 채비상자(Tackle Box)
위에 있는 모든 채비들을 가지고 걸어 다니기 위해서는 언제든지 쉽게 꺼내어 쓸 수 있는 박스나 가방이 필요한데 이를 Tackle Box라 한다. 보통 플라스틱 상자로 채비들을 잘 정리해 놓기 위해 분리된 칸이 있다. 가방 크기에 맞는 상자를 골라 채비를 잘 정리하여 쏫아지는 것을 막을 수 있게 한다. 자칫 물가나 물속에서 채비를 하다 물로 쏫아지면 경제적 손실이 이만저만이 아니니 주의 하도록 한다. 가방은 채비가 많을 때는 어깨에서 배쪽을 감싸는 끈이 있는 가방이나 등에 매는 가방, 채비가 적을때는 허리에 차는 보조 가방을 쓰도록 한다. 이것저것 넣어서 가방 가지고 다니는 것이 부담 스러운 경우는 낚시용 조끼를 이용하는 것도 좋다.
복장에 있어서는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루어 낚시를 즐기기 위해서 몇가지 고려해 볼 만한 사항이 있다.
신발은 발목까지 보호할 수 있고 방수가 되는 가벼운 등산화나 별도로 장화/웨이더와 함께 신는 신발을 준비하는게 좋다. 물가가 주로 진흙인 경우가 많고 얕은 물에는 들어갈 수도 있으니 이러한 신발을 준비하고 따뜻한 계절에 뱀에 물리는 것도 어느정도 방지하기 위함이다. 바지는 반바지는 지양하고 청바지 종류가 편할 것이고, 상의는 목 깃이 있는 긴팔 난방이 좋다. 추운 계절이나 비가 올 경우를 대비해서 방수/방풍이 되는 점퍼를 준비하고, 모자는 보통 야구모자를 쓰지만 자신의 기호에 맞게 선택하여 자외선을 차단하는 것이 좋다. Bass Boat를 이용하는 사람보다는 장시간 Walking을 하기 때문에 체력을 위해 최대한 간편한 복장을 하되 루어 낚시꾼 답게 깔끔한 이미지를 잃지 않도록 깨끗하고 멋진 복장을 하면 한층 더 Sports Fishing을 즐길 수 있을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