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세계일보 편집국장 “정윤회 보도, 문제 개선될 때까지 계속할 것” |
“비선의 국정개입 등 비정상적 행태가 시정되고 조치 취해져야” |
[청와대 고소에 대한 세계일보 내부 반응] 기협 지회장 “검찰 수사과정에서 언론자유 침해시 적극 대응할 것”
|
미디어 오늘 (2014.11.29) 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0322
▶ 정윤회 "하나라도 잘못 있으면 감방 가겠다"
'국정개입 의혹 문건' 보도 후 본지와 첫 인터뷰,
"3인 비서관과 연락 안 해 … 내 모든 것 수사하라"
중앙일보(2014.12.1) http://joongang.joins.com/article/007/16567007.html?ctg=1000&page=1&type=all
▶ [사설] 청와대가 ‘찌라시 공장’이란 말인가
[사설] 박지만씨까지 거론되는 의문투성이 ‘비선 논란’
한겨레 (2014.11.30) http://www.hani.co.kr/arti/opinion/editorial/666771.html
한겨레 (2014.11.30) http://www.hani.co.kr/arti/opinion/editorial/666772.html
▶ 박지원 "정윤회 문건에 사생활도…보도된 건 1/10뿐"
노컷뉴스(2014.12.1) http://www.nocutnews.co.kr/news/4334179
▶“정윤회 문건에 ‘정윤회 만나려면 7억원 준비해야’ 내용도…”
경향신문(2014.12. 1)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412011732441&code=910100
▶박 대통령 “문건 유출 있을 수 없는 국기문란 행위”
한겨레 (2014.12. 1) http://www.hani.co.kr/arti/politics/bluehouse/666875.html?_fr=sr3
▶‘靑 문건’ 파문 핵심 朴경정, 눈물 흘리며…
“떳떳하다면 차라리 문건작성이나 유출 의혹에 대한 공식적으로 입장을 한 뒤 입장을 정리해 발표하고 털어내는 것이 어떻냐”는 기자에게 박 경정은 눈물을 보였다. 박 경정은 눈물을 손수건으로 닦아내며 대답 대신 “나는 공무원입니다”라는 말로 쉽게 자신의 입장을 이야기할 수 없는 상황임을 돌려 말했다.
경찰 간부후보생 출신인 박 경정은 지난해 4월 청와대 행정관으로 파견됐다가 지난 3월 일선 경찰서의 정보보안과장으로 부임했으며 경찰조직 내에서는 수사·정보 분야에서 탁월한 능력을 인정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신문(2014.12. 1)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41201500308
▶ 청와대 ‘제3의 인물이 보고서 유출’ 파악하고도 묵살 의혹
5월초 자체조사 결과 제3의 인물 확인하고도 박 경정 지목해 수사 의뢰. ‘문건 유출’ 초점 전환 의혹
전·현직 청와대 관계자들에 따르면, 청와대 민정수석실은 지난 4월 초 공직기강비서관실이 작성한 각종 감찰·동향보고서가 유출된 사실을 파악하고 유출자로 문건 작성자인 박아무개 경정을 의심했으나 5월 초 자체 조사에서 박 경정이 아닌 제3의 인물이 문건 유출자라는 사실을 확인한 것으로 전해진다. 민정수석실은 이를 김기춘 비서실장에게 보고했으나 석연찮은 이유로 묵살됐고, 이 과정에서 ‘비선 실세’로 언급된 비서관이 “이미 다 정리된 사안을 굳이 재론해 문제를 복잡하게 만들 필요까지 있겠느냐”고 함구령을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는 지난 28일 해당 문건을 보도한 <세계일보> 사장과 기자들을 고소하면서 ‘(문건을 작성한) 공직기강비서관실 행정관’에 대해서도 수사를 의뢰했다. 이름을 적시하지 않았지만 사실상 박 경정을 지목한 셈이다. 청와대 근무 경험자들에 의하면 출퇴근 보안검색이 철저하고 이동식저장장치(USB)나 사적 이메일까지 점검하는 청와대 시스템을 고려할 때, 매일 한두 장씩 들고 나오는 건 몰라도 상자째 문서를 반출하는 것은 말이 안 된다는 얘기였다.
청와대 안팎에선 민정수석실에 근무하는 제3의 인물이 공직기강비서관실이 비어 있는 틈을 타 문건을 복사한 뒤 평소 친분이 있던 검찰수사관에게 넘겼고, 이 문건이 경찰 정보관을 거쳐 언론에 빠져나갔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청와대가 이런 내용을 파악하고도, 박 경정을 사실상의 유출자로 지목하는 것처럼 수사 의뢰를 한 것은 청와대가 유출 관련 조사 내용을 검찰에 밝히지 않기 위한 의도로 해석된다.
한겨레(2014.12. 2) http://www.hani.co.kr/arti/politics/bluehouse/667084.html
▶ “朴, ‘정윤회 게이트’ 해명 보다 수사 가이드라인 제시”
문건 유출, 국기문란?.. 野 “상황인식 심각.. 국정농단 진실부터 밝혀야”
고발뉴스(2014.12. 1) http://www.gobal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1644
▶곽병찬 대기자가 박근혜 대통령에게 보내는 편지 83
한겨레(2014.12. 1) http://www.hani.co.kr/arti/politics/politics_general/666919.html?_fr=st2
▶ "대통령께 누 안 되려 토사구팽 사냥개 … 이젠 진돗개 될 것"
▶ 조응천 "문건 60%는 사실"…폭탄발언 쏟아내
'정윤회 씨 국정개입' 의혹의 핵심 당사자인 조응천 전 청와대 공직기강비서관이 1일 언론 인터뷰를 통해 그 같은 의혹이 사실일 가능성이 높으며, 정 씨의 국정개입을 도왔다는 의심을 받고 있는 대통령 측근들이 공직인사에 개입해왔다는 충격적인 발언을 했다.
가장 충격적으로 받아들여지는 부분은 실세 비서관 3인의 인사개입에 대한 증언이다. 지난해 10월께 조 전 비서관은 경찰공무원에 대한 인사검증을 한 뒤 '부적격' 판정을 내린 적이 있는데, 안봉근 제2부속비서관이 연락해와 "이 일을 책임질 수 있느냐"며 따졌다는 것이다. 이에 조 전 비서관이 "문제가 있어 어쩔 수 없다"고 하자 한 달 뒤쯤 민정비서관실 소속 경찰관 10여명을 한 번에 내보내라는 지시가 떨어졌고, 이어 후임들을 '단수'로 찍어 명단을 내려보냈다고 한다. 조 전 비서관은 이를 안 비서관의 조치로 판단한다며 "경찰 인사는 2부속실에서 다 한다는 소문이 있었다"고 전했다.
총무비서관은 청와대 살림을 맡고 있으며, 제1부속비서관은 대통령 외부일정이나 면담 조율을, 제2부속비서관은 애초 영부인 일정을 챙기던 자리지만 지금은 비공식민원 등을 처리하는 업무를 맡고 있어 정식 인사라인이 아니다.
'정씨와 실세 비서관 3인'의 전횡과 관련한 증거를 수집해온 조 전 비서관은 검찰수사를 앞두고 그들과의 정면승부를 택한 것으로 보인다.
아시아 경제(2014.12. 2)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4120211314772912
▶ 정윤회 공방, 청와대에 어른거리는 최태민의 그림자 |
“누나를 최씨와 떼어놓아야 한다”던 박지만이 최씨의 사위와 맞서는 상황
|
미디어 오늘(2014. 12. 2) 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0359
▶ 민정수석실 20명 교체…한여름 '칼바람 인사', 왜?
민정수석실에 근무하는 검찰 수사관은 검찰 조직 엘리트들로 꼽힙니다. 특별감찰 활동을 벌이는 민정수석실의 손발입니다. 하지만 어찌 된 일인지 지난 7월, 파견 수사관 5명이 모두 교체됐습니다. 당시 민정수석과 민정비서관, 공직기강비서관이 바뀌었다고 해도 실무를 맡는 검찰 수사관까지 교체된 것은 이례적이라는 평가입니다. 이명박 정부 때부터 근무한 A 수사관 역시 당시 짐을 쌌습니다. 사정당국 관계자는 "청와대 파견을 가면 보통 진급을 하고 돌아오는데 모두 진급도 못 하고 원대복귀 했다"고 말했습니다. 대신 들어간 수사관은 수석이나 비서관과 똑같은 영남 출신.
검찰 수사관만이 아닙니다. 조응천 공직기강비서관 사퇴 이후 7월 초까지 민정수석실에서는 경찰, 국정원 출신 인사 등 모두 20여 명이 교체됐습니다. 통상 인사라는 형식을 빌렸지만 실제로는 문건 유출과 관련된 대대적인 '물갈이 인사' 아니었겠느냐는 관측이 나옵니다.
JTBC (2014.12. 2) http://news.jtbc.joins.com/html/980/NB10664980.html?cloc=jtbc|news|enternews
▶ 정윤회 전처 최순실, 10·26 이후 박 대통령 ‘말벗’이란 얘기도
박 대통령-정윤회 부부 어떤 관계이길래... 정윤회, 육영재단 시절부터 ‘비서’ 역할
한겨레 (2014.12. 3) http://www.hani.co.kr/arti/politics/bluehouse/667267.html?_fr=mt1
▶ 박 대통령, 일개부처 국·과장 이름 직접 말하며 인사조처 지시
박 대통령 누구한테 어떤 정보 들었길래... 정윤회 부부와 친분 작용 가능성
한겨레 (2014.12. 3) http://www.hani.co.kr/arti/politics/bluehouse/667266.html
지난해 8월 유진룡 장관 등 불러 사실상 '경질 인사' 지시 의혹
오마이뉴스 (2014.12. 4)
▶ ['정윤회 文件' 파문] 유진룡 "문체부 국·과장 교체, 朴대통령 지시 맞다"
유진룡 전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4일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해 8월 문화체육관광부 국장과 과장 두 사람의 교체를 직접 지시했다고 본지에 밝혔다.
유 전 장관은 박 대통령이 지난해 8월 자신 등을 청와대 집무실로 부른 뒤 수첩을 꺼내 문체부 국장과 과장 이름을 직접 거명하면서 "나쁜 사람이라고 하더라"고 말했다는 4일자 한겨레신문 보도에 대해 "어디서 들었는지 대충 정확한 정황 이야기다. 그래서 BH(청와대)에서 반응을 보이지 못하는 것이겠지. (청와대가) 자신 있으면 허위 사실 공표에 의한 명예훼손으로 고소하겠다고 할 텐데"라고 밝혔다.
유 전 장관은 자신과 김종 2차관과의 충돌설과 관련, "김 차관과 이재만 비서관은 하나로 묶어서 생각하면 정확하다. 김 차관은 자기 배후에 김기춘 실장이 있다고 공공연하게 떠들고 다니지만 그렇지 않은 여러 정황 증거가 있다. (인사 청탁 등은) 항상 김 차관이 대행했다. 김 차관의 민원을 이재만 비서관이 V(대통령을 지칭하는 듯)를 움직여 지시하는 경우도 있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문체부의 한 전직 관리는 "같은 한양대 출신인 이재만 총무비서관을 등에 업은 김 차관이 기(氣) 싸움에서 밀리지 않으려 했을 것"이라고 했다. 유 전 장관은 또 지난 7월 전격 사퇴한 김진선 전 평창동계올림픽 조직위원장과 관련해서도 "김 전 위원장에 대한 무리한 표적 감사와 사표 수리 등 체육계의 여러 사안에도 (김종·이재만 등의) 인사 장난이 있었다"고 했다.
유 전 장관은 2006년 노무현 정부 시절 문화부 차관으로 재직 시 청와대의 인사 청탁을 거절하다 취임 6개월 만에 경질됐었다. 그는 박근혜 정부에서도 인사 문제로 청와대와 갈등을 빚었으며 세월호 사건 직후에 열린 국무회의에서 "내각부터 총사퇴해야 한다"고 발언해 논란이 됐다.
조선닷컴 (2014.12.5)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4/12/05/2014120500428.html?news_top
"사건 연루 청와대 관계자들, 책임 지고 물러나야"... 당내 이탈 가속화?
박재홍의 뉴스쇼 (2014.12. 5) http://www.cbs.co.kr/radio/pgm/aod_view.asp?pgm=1378&mcd=_REVIEW_&num=267012
▶ 이젠 朴대통령까지..걷잡을 수 없이 확산되는 '정윤회' 파장
박 대통령의 동생인 박지만 회장도 가세할 조짐을 보여 비상한 관심을 모으고 있다.
박 회장은 "정씨가 끝까지 거짓말을 하면 그때는 내가 나설 것"이라고 말해 폭로전에 가담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게 됐다. 중앙일보가 박 회장과 가까운 복수의 인사들을 인용해 이날 보도한 바에 따르면 박 회장은 '입장을 밝힐 것이냐'는 질문에 "정씨가 지난해 미행 사건에 대해 검찰에서 부인하면 내가 직접 나서서 반박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청와대는 이번 파문이 박 대통령의 인사개입 의혹으로까지 번지자 당황스러운 기색이 역력하다. 사실여부에 대한 명확한 해명 없이 "인사는 장관의 책임 하에 하는 것"이라는 입장만 되풀이하고 있다.
뉴시스(2014.12. 5) http://media.daum.net/issue/852/newsview?issueId=852&newsid=20141205143806284
▶ “검찰은 청와대 비서실부터 압수수색하라”
검찰은 청와대 비서실부터 압수수색하라
-세계일보 압수수색 시도를 강력 규탄한다
검찰의 세계일보에 대한 압수수색 시도는 언론자유에 대한 중대한 도발이다.
세계일보는 권력이 감추려는 진실을 찾으려고 ‘정윤회 문건 동향’을 보도했다. 세계일보의 첫 보도로 촉발된 정윤회씨의 국정개입 의혹은 여타 언론의 후속 보도로 실체적 진실에 접근하고 있다.
그런데도 검찰이 물리력을 동원해 세계일보를 압수수색하려는 것은 ‘문건 유출’에 초점을 맞춰 수사하라는 청와대의 가이드라인을 철저하게 따르는 것에 불과하며, 언론에 재갈을 물리려는 정치적 의도가 깔린 보여주기식 꼼수일 뿐이다.
검찰이 밝혀야할 것은 정윤회씨가 이른바 ‘비서관 3인방’, ‘십상시(十常侍’) 등으로 지칭돼온 박근혜 대통령의 청와대 보좌진을 주기적으로 만나 국정에 개입했는지 여부이다. 정씨와 비서관 3인방을 조사하면 문건의 진실은 백일하에 드러날 것이다.
검찰은 정씨와 비서관 3인방을 즉각 소환조사하고, 필요하다면 청와대 비서실에 대한 압수수색을 실시해야 한다.
권력의 음습한 내부 암투와 보이지 않는 손의 인사개입 등을 파헤치는 것은 언론의 고유 권한이다. 특히 취재원 보호는 언론의 기본 책무다. 검찰은 세계일보에 대한 압수수색 시도를 당장 중단하라. 세계일보에 대한 압수수색이 강행될 경우 검찰은 ‘권력의 시녀’라는 추악한 실상을 만천하에 드러낼 뿐이다.
2014년 12월5일 한국기자협회
한국기자협회(2014.12.5) http://www.journalist.or.kr/news/article.html?no=35130
서울중앙지검 형사1부(부장검사 정수봉)와 특수2부(부장검사 임관혁)는 4, 5일 이틀간 문건 작성자 박관천(48) 경정과 그의 상급자였던 조응천(52) 전 공직기강비서관을 불러 조사했다. 정씨와 이재만 청와대 총무비서관, 정호성·안봉근 비서관 등이 모임을 가진 것으로 알려진 식당, 박 경정의 근무지와 자택 등을 압수수색했다.
검찰 수사가 이례적으로 빠르게 진행되면서 문건을 보도한 본지 기자 등이 다음 순서가 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검찰 수사 관계자는 이날 본지에 대한 압수수색설에 대해 “사실이 아니다”면서도 “오늘 (압수수색 영장 집행을) 했느냐고 물어보니까 한 것이 없다고 말하는 것”이라고 추후 강제수사 가능성을 열어놓았다.
이에 대해 언론계와 학계, 정치권에서는 언론 보도의 자유를 침해하는 ‘권력 남용’이라며 비판하는 목소리가 쏟아졌다.
임채정 전 국회의장
“청와대 내부에서 있었던 일들을 먼저 진상을 밝히는 것이 우선이다.”
“무조건 언론부터 수사하는 것은 공정치 못할 뿐 아니라 올바른 사태 수습 과정이 아니다.”
이상돈 중앙대 명예교수(법학)
“청와대는 자연인이 아닌 만큼 ‘명예’란 것이 없다. 진실을 밝히는 데 협조해야지 무슨 법적 대응을 하느냐”
“검찰이 언론사를 압수수색하는 것도 민주국가 역사에 없던 일로, 만약 실행에 옮긴다면 언론 자유의 본질을 훼손하는 행위가 될 것이다.”
이호중 서강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언론이 정부의 국가운영에 관한 의혹을 제기했을 때 그 의혹에 대한 조사를 하는 것이 정부가 할 일이지 언론을 고소하는 건 대단히 잘못된 것이다.”
“표현의 자유나 언론의 자유를 인정하지 않겠다는 것이다."
세계일보(2014. 12. 5) http://www.segye.com/content/html/2014/12/05/20141205003334.html
▶ 정윤회와 박지만의 권력 암투, 김기춘이 조장했다
▶ 정윤회, 박지만을 통해 본 권력지도
아이엠 피터(2014.12. 4) http://impeter.tistory.com/2659#footnote_link_2659_9
▶ 정윤회 아닌 최순실 비선권력 몸통설 ‘솔솔’ 왜? |
- 최순실, 박근혜 대통령과 깊은 사이 정황 나오며 관계 부각돼-
미디어 오늘(2014.12. 4) 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0442
|
▶ "정윤회, 이정현 쫓아내라 지시” 담겨
지난달 28일 세계일보가 보도한 ‘靑 비서실장 교체설 등 관련 VIP 측근(정윤회) 동향’ 문건에서 검은색으로 가려져 있던 부분에는 정윤회 씨가 이른바 ‘십상시’와의 회동에서 ‘이정현 대통령홍보수석비서관이 제 역할을 못하고 있으니 비리나 문제점을 파헤쳐서 빨리 쫓아내라’고 지시했다는 내용이 적혀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하지만, 신빙성이 떨어진다는 보도도 있다.
동아일보(2014.12. 6) "정윤회, 이정현 쫓아내라 지시” 담겨
http://news.donga.com/Main/3/all/20141205/68383452/1
YTN뉴스(2014.12. 6) "정윤회, 이정현 내보내라"..신빙성 떨어져
http://www.ytn.co.kr/_ln/0103_201412061654093457
▶ 이상돈 “온 국민이 정윤회, 최태민, 박근혜 입에 올릴 것...
“김기춘·문고리 3인방 경질 못할 것“ | |||||||||||
| |||||||||||
팩트TV(2014.12. 5) http://facttv.kr/facttvnews/detail.php?number=8320&thread=21r02
▶ “朴경정 삭제한 파일에 판·검사 비위 첩보 담겨”의혹 추적하면서 기록해둔 것 檢, 복원 중
국민일보(2014.12. 6)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2871677&code=11121600&sid1=pol
▶ 박 대통령 "정윤회, 오래전 떠난 사람... 전혀 연락없다"
- 대선 후 전화 받았다"는 정씨 발언과 대치... 권력암투설에 "있을 수 없는 일"-
박 대통령은 7일 새누리당 지도부와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소속 위원들을 청와대로 초청, 내년도 예산안 법정시한 내 처리 성과를 기념하기 위한 오찬 자리에서 정씨와 자신의 동생인 박지만 EG회장의 권력 암투설에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박 대통령이 의혹이 제기된 이후 정씨와 박 회장의 실명을 거론하며 반박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박 대통령은 "역대 정권의 친인척 관리를 보고 지만 부부는 청와대에 얼씬도 못하게 하고 있다"라며 "오래 전에 곁을 떠난 사람과 청와대에 얼씬도 못하는 사람이 갈등을 빚고 국정 전횡을 하는 게 말이 되느냐"라고 말했다.
한편 이날 오찬 직전 박 대통령은 김 대표와 이 원내대표와 30분간 별도 회동을 하고 현안에 대한 의견을 조율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기춘 비서실장과 조윤선 정무수석도 배석했다
연합뉴스(2014.12.7)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4/12/07/0200000000AKR20141207043800001.HTML?input=feed_daum
▶ 박근혜 “찌라시에 나라가 흔들리는 건 부끄러운 일”
미디어 오늘 (2014.12. 7) 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0476
▶ 野, 정윤회 김종 등 12명 檢고발·수사의뢰 -"검찰 수사 유출 문제에만 집중될 가능성 높아"-
프레시안(2014.12. 7) http://www.pressian.com/news/article.html?no=122248
▶ '박근혜 손바닥' 위의 검찰, '가이드라인' 따라 착착 - 야당 "대통령 발언, 검찰수사 끝났을 때나 할 말 -
프레시안(2014.12. 7) http://www.pressian.com/news/article.html?no=122247
▶ [인터뷰] 문재인, 박대통령 ‘정윤회 문건’ 유출 사과부터...
문재인 의원이 ‘정윤회 문건’ 유출 파문을 ‘국기문란’으로 규정한 박근혜 대통령에게 “청와대에서 벌어진 일인데 국민에게 사과부터 하는 게 맞지
않느냐”고 쓴소리를 했다.
박근혜 대통령이 문건 유출을 ‘국기문란’으로 규정하고 수사를 지시했는데, 적절한가?
‘정윤회 문건’ 유출로 파문이 거세게 일고 있다. 어떻게 보고있나?
걱정이다. 어쨌건 청와대나 대통령 주변 권력이 공적인 시스템에 따라 이루어져야 하는데, 거기서 일탈했다. 또 그것 때문에 물 밑에서 권력투쟁까지 벌어지고 있다는 것인데, 사실이라면 박근혜 정부로서도 불행한 일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전체로서도 위기라 할 수 있다.
참여정부에서도 민정수석실이 ‘정윤회문건’과 같은 보고서를 작성했나?
과거 참여정부 때 청와대 민정수석실, 특히 공직기강 비서관실은 시중의 루머나 찌라시에 나온 이야기를 조사하더라도 사실 여부를 확인해 보고했다. 루머만 모아 사실인 양 보고했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다. 박근혜 정부와 청와대에서는 민정수석실의 기능이 바닥에 떨어져 제 기능을 못 하는 것으로밖에 볼 수 없다. 정말 염려가 되는 상황이다.
팩트 TV (2014.12. 4) http://facttv.kr/facttvnews/detail.php?number=8274&thread=21r02
▶ 조응천 "불났다 하는데 누가 고함치냐고…" 심경 토로
청와대가 문건 유출의 배후에 조응천 전 공직기강비서관을 지목한 것으로 나오자, 조응천 전 비서관이 강하게 반발하면서 진실 공방이 가열되고 있는 상황이다. 조 전 비서관은 저희 JTBC 취재진에게 "불났다고 하는데, 누가 고함치느냐고 하는 것 같은 느낌"이라고 격한 심경을 토로했다.
청와대가 자신을 희생양 삼아 정윤회 씨 국정개입 의혹을 덮기 위한 허구이고 날조라고..
청와대가 감찰결과를 검찰에 제시한 게 또 다른 수사 가이드라인이란 지적도 있다. 조응천 전 비서관은 "차라리 청와대가 정식으로 수사를 요청하지, 왜 감찰결과를 전달했느냐. 스스로 무리수란 걸 인정한 것 아니냐"고 주장한다.
조응천 전 비서관 설명은 먼저 "지난 5월에 청와대 문건이 대량으로 유출된 걸 알았다"고 한다. 어떻게 알았는지는 정확하게 표현하지 않았지만, 문건을 가지고 있는 사람에게 연락을 받았다라는 표현만 있다. 그래서 자신이 알게 됐고 모두 3번에 걸쳐서 청와대 측에 간접적으로 의사를 전달했다. 그래서 자연스럽게 청와대에 얘기가 들어갈줄 알았는데 그러고 나서도 아무런 조치가 취해지지 않자 이번에는 자신이 과거 청와대에 있을 때 같이 일했던 오모 전 행정관에게 부탁했습니다. 그런데 조응천 전 비서관은 오 전 행정관이 출처에 대해 말하지 않는 것 이유에 대해서 명확하게 얘기를 하지 않았다. 대신에 청와대에서는 우리가 계속 확인을 했는데 오 전 행정관이 답을 하지 않았다라고만 얘기를 한 상태이다.
직접적인 반응은 얘기를 하지 않았지만, 나중에 보니까 청와대에서 그 얘기를 듣고 나서 청와대 비서관이 조 전 비서관에게 전화를 해서 오히려 이것은 거짓내용을 꾸며서 얘기한 게 아니냐고 말을해서 본인이 깜짝놀랐다고 한다.
청와대에서 기자들이 "100장이 넘는 문건 유출을 보고받고도 조치를 하지 않은 게 이해되지 않는다"고 물었는데, 청와대 관계자는 "근거가 있어야 수사의뢰 등 조치를 취할 것 아니겠느냐"며 "유출된 문건 100여 장의 구체적 출처를 오 전 행정관이 이야기하지 않았다", 이런 입장만 반복했다. JTBC (2014.12.12) http://news.jtbc.joins.com/html/106/NB10679106.html
http://www.poweroftruth.net/column/mainView.php?kcat=2028&uid=215&table=c_flower911&PHPSESSID=b3aaaf7c2d460cd39cb889b0ad571f8a
경향 (2014.12.11) 야 “정윤회, 검색대도 피한 황제급 출두”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412112237285&code=910402
세계일보가 박지만 회장을 통해 청와대에 유출 사실을 알렸다는 ‘박지만 문건’에는 어떤 내용이 담긴 것일까. 중앙일보는 “박지만 EG 회장 부인인 서향희(40) 변호사 관련 동향 보고서도 포함돼 있다”고 밝혔다. 청와대 관계자는 중앙일보와 인터뷰에서 청와대 관계자는 12일 “조응천(52) 전 공직기강비서관이 청와대를 떠난 뒤인 올해 6월 ‘유출이 심각하다’며 오모(44) 행정관을 통해 유출 문건들의 사본 128페이지를 청와대에 제출했다”며 “대부분이 서 변호사 관련 동향 보고서”라고 말했다. 그는 또한 “(문건들 가운데) 시사저널이 지난 3월 보도한 미행설 등 박 회장 본인에 관한 것은 한 건도 없었다”며 “전부가 서 변호사와 EG 임원 등 박 회장 측근 인사의 동향을 담은 것들”이라고 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또한 “문건내용 대부분이 부인 서향희 변호사에 관한 의혹들이어서 박 회장이 큰 충격을 받았을 것”이라고 전했다.
미디어 오늘 (2014.12. 13) 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0615
▶靑 '7인회 배후설' 압박하고…檢은 망설이고 검찰 관계자는 "일부 언론에서 7인회이니, 양천회이니 하면서 유출 핵심 의혹을 제기하고 있는데 보도 내용이 수사 상황과는 다소 차이가 있으니 신중하게 보도해달라"고 말했다. 이어 "(문건 유출에 대해) 실체 규명이 돼야 다음 단계로 넘어갈 수 있다"면서 "일단 이 수사 단계가 가장 중요하지 갑자기 새로운 수사로 갈 수 없는 상황이다"고 덧붙였다. 7인회 등 배후설을 캐기 이전에, 표면에 드러난 문건 유출 경로를 규명하는 것이 우선 시급한 과제라는 것이다. 언론에서 청와대의 지침에 따라 7인회에 대한 배후 수사가 신속하게 진행되는 것처럼 비쳐지자 선을 그은 것으로 해석된다. 문건 유출 수사가 진행되던 상황에서 갑자기 7인회가 새롭게 부각된 것도, 실상은 청와대 권력 다툼과 맞닿아 있기 때문에 검찰로서는 부담스러울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조응천 전 비서관이 문건을 유출해놓고 의심을 피하기 위해 역으로 청와대에 문건 회수를 요청하는 자작극까지 벌였다고까지 주장하고 있다. 최근에는 조 전 비서관이 지시했느냐 안했느냐를 두고 오모 전 행정관과 청와대가 진실 공방을 벌이기도 했다. 이에 조 전 비서관은 "참 나쁜 사람들"이라며 청와대측을 공개적으로 비난해 양측 감정의 골은 깊어지고 있다.
노컷뉴스(2014.12 13) http://www.nocutnews.co.kr/news/4340039
▶'정윤회 문건' 유출 혐의 최 경위 자살..檢 '당혹' - 유서에 '언론에 전하는 글' 남겨 -'정윤회씨 국정개입 의혹'이 담긴 문건 유출 수사를 진행해 온 검찰이 문건을 복사해 유출한 인물로 지목했던 최모 경위가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최 경위는 13일 오후 2시 30분쯤 경기도 이천시 설성면 도로변 고향집 부근 도로변에서 자신의 차량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차 안에는 번개탄이 피워져 있었고, 손목에는 자해 흔적이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이 청구한 영장이 전날 새벽 법원에 의해 기각된 지 하루만에 벌어진 일이었다.
사건이 알려지자 수사라인에 있는 검찰 관계자는 "수사 중 불미스러운 일이 발생한 것에 대해 매우 안타깝고 유감으로 생각하며 고인의 명복을 빈다"면서도 "수사 과정에서 어떠한 강압행위나 위법한 일은 없었음을 밝힌다"고 강조했다. 수사 초기부터 제기됐던 강압수사 비난을 염두에 둔 발언으로 보이는 대목이다. 강압수사 논란보다 검찰을 더 곤혹스럽게 만들고 있는 것은 청와대 문건 유출 사건 자체가 오리무중으로 빠져들 수 있다는 위기감이다.
최 경위는 자신의 차량에 14장 분량의 유서를 남긴 것으로 알려져 유서 속에 수사와 관련된 새로운 사실이 담겨 있는 것 아니냐는 추측이 나오고 있다. 유서에는 문건 유출 수사와 관련해 언론에 남긴 글도 포함돼 있는 것으로 확인돼 해당 내용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만약 유서 속에 지금까지 조사내용을 뒤집을 수 있는 새로운 내용이 담겨져 있을 경우 검찰 수사 방향을 대대적으로 수정해야 하는 등 혼란이 가중될 수도 있다.
노컷뉴스(2014.12.13) http://media.daum.net/issue/852/newsview?issueId=852&newsid=20141213190903943 노컷뉴스(2014.12.13) http://www.nocutnews.co.kr/news/4340139
▶ "정윤회 측근, 감사 담당 공무원 협박"노컷뉴스(2014.12.12) http://www.nocutnews.co.kr/news/433958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