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자 |
조선 |
명. 일본 |
1월 6일 |
|
히데요시,전국 영주들에게출동령 |
2월 28일 |
신립, 이일 전국 주요 요새 순시 |
침공기지 나고야성 완공 명 영하에서 몽고인 발배 반란 |
3월 13일 |
부산 왜간 일본인들 잠적, 완전 철수 |
일본군 선봉 쓰시마 도착 |
3월 27일 |
이순신, 거북선 함포사격 훈련 |
히데요시, 나고야 향해 교토 출발 |
4월 13일 |
저녁, 일본군 선봉 부산 영도에 침입 |
아침, 일본군 선봉 쓰시마 출발 |
4월14,15일 |
부산진성 함락(정발 전사), 동래성 함락(송상현 전사) |
제 1군 상륙 |
4월 17일 |
조선 조정, 전쟁 발발 보고 접수/ 양산성 함락 |
|
4월 18일 |
조선 조정, 유성룡을 도체찰사, 신립을 도순변사, 이일을 순변사로 임명, 소백산맥. 조령. 죽령. 추풍령에 방어선 편성 |
제 2군 상륙 |
4월 19일 |
언양성 함락 |
제 3군 상륙, 제 4~7군 선봉 상륙 |
4월 20일 |
김해성 함락 |
|
4월 21일 |
경주성. 창원성 함락 |
|
4월 22일 |
영천성 함락/ 경상도 수군 자멸 |
|
4월 24일 |
곽재우 의병부대 기병 |
|
4월 25일 |
이일, 상주서 북진 일본 제 1군 요격, 패전 |
|
4월 26일 |
문경서 현감 신길원 결사전 |
히데요시, 나고야 도착 전쟁 지도 |
4월 27일 |
일본 제 1,2군 조령 돌파/성주성 함락.경상도 육군 붕괴 |
|
4월 28일 |
신립 탄금대에 배수진 침,일본 1군에 궤멸,충주성 함락 |
|
4월 29일 |
조선 조정, 광해군을 세자로 책봉. 조정을 평양으로 이동. 김명원을 도원수, 이양원을 유도대장으로 한 수도 방어작전 계획 결정 |
일본군 제 1, 2군 사령관, 충주서 서울 진격 작전회의 |
4월 30일 |
조정, 서울 떠나 평양 향발 |
일본군 서울 향해 진격 |
5월 2일 |
김명원, 한강 방어선 자별 |
|
5월 3일 |
수도 서울 일본군에 점령 |
일본군 제 1,2,3군 서울 무혈입성 |
5월 7일 |
이순신 함대, 옥포.합포해전 승리/조선조정,평양이동 |
|
5월 8일 |
이순신 함대, 적진포해전 승리 |
|
5월 16일 |
조선 육군 부원수 신각, 해유령 소규모 전투서 승리 |
|
5월 18일 |
김천일 의병부대 기병/김명원 임진강 방어선 붕괴/ 강원도 조방장 원호, 경기도 여주 일대 소규모 전투서 연승. 곽태우 의병군 기강전투서 첫 승리. |
|
5월 29일 |
이순신 함대 사천해전 승리 |
|
6월 2일 |
이순신 함대 당포해전 승리 |
|
6월 5일 |
이순신 함대 당항포해전 승리/전라4만, 충청1만의 조선 육군, 경기 용인서 일본군 1600명에 대패 |
일본 제4군 강원도 회양에 진입 |
6월 7일 |
이순신 함대 율포해전 승리 |
|
6월 8일 |
곽재우 의병군 정암진전투 승리 |
일본 제1,3군대동강 도착 |
6월 11일 |
조선 조정, 평양 포기, 의주 이동 |
|
6월 14일 |
선조, 명나라 망명 결심, 광해군 분조(分朝) 발족 |
|
6월 15일 |
평양성 함락 |
|
6월 22일 |
선조 망명 단념, 의주 도착 |
일군 제 6군, 금산 점령 |
7월 초 |
전라감영 순찰사 이광, 도절제사 권율, 노령산맥 웅치. 이치에 방어진지 구축/고경명. 조헌 의병군 금산 진격 |
전주성 공격 주공부대.진안.웅치로, 조공부대 이치로 향발 |
7월 8일 |
웅치. 이치서 격전/ 이순신 함대 한산도해전서 대승 |
전주성공격군 철퇴, 금산방어강화 |
7월 9일 |
고경명 의병군 금산 공격 감행.고경명 전사. |
|
7월 10일 |
이순신 안골포해전 승리/김면 의병군 우척현전투 승리 |
|
7월 17일 |
조. 명 연합군 평양성 공격 실패 |
명나라 선봉 조승훈 참전 |
7월 24일 |
함경도 국경인 반란,두 왕자 포로/곽재우 의병군 현풍. 창녕. 영산성 수복 |
일군 제 2군 함경도 회령 입성 |
7월 27일 |
권응수 의병군 영천성 수복 |
|
8월 1일 |
김명원 조선군 평양성 공격/조헌 의병군 청주성 수복 |
히데요시, 오사카 귀환 |
8월 3일 |
김면 의병군 거창전투 승리 |
|
8월 18일 |
조헌. 영구 결사대 금산성 특공, 전원 전사 |
|
8월 25일 |
김제갑 수비군 강원 영원산성서 전원 옥쇄 |
|
9월 1일 |
이순신 함대 부산에 대규모 공격, 적함 100여척 격파 |
명사신과 고니시 평양서 강화회담 |
9월 2일 |
이정암 의병군 황해도 연안성 사수 |
제3군 연안성 공격 실패 |
9월 8일 |
박진 경상도 육군 경주성 탈환 |
|
9월 16일 |
정문후 의병군 함경도 경성 탈환 |
|
9월 17일 |
|
일본 6군 금산성서 철수 |
9월 27일 |
유승인 창원성 공방전 |
명나라, 영하 반란 진압 |
10월 10일 |
6일부터 진주성 사수전, 김시만 전사 |
|
10월 25일 |
정문부, 명천성 수복 |
|
11월 12일 |
권육, 전라도 순찰사, 3도 의병 작전 지휘 |
|
11월 28일 |
김수 경상도 순찰사 3도 순찰사로 |
|
12월 11일 |
명나라 응원군 선발대 압록강 도강/권율군 수원 독성산성서 일군 토벌군과 혈전 격퇴 |
서울주둔 8군, 토벌 포기/명나라 응원군 본격 도강. |
서기 1593년 계사(癸巳)년 선조 26년 단기 3926년
명(明)기 만력(萬曆)21년, 일(日)기 문록(文綠)2년
1월 6일 |
조. 명 연합군 평양성 공격 시작 |
|
1월 9일 |
조. 명 연합군 평양성 탈혼, 전군 남진 |
일본 1,3군 전면 퇴각 |
1월 15일 |
경상도 의병군 4차 공격 끝에 성주성 탈환 |
일본 2군 전면 퇴각 시작 |
1월 27일 |
조. 명 연합군 벽제관서 패퇴 |
일본군, 연합군을 격퇴 |
1월 28일 |
정문부 함경도군 길주성 수복 |
명군, 개성까지 퇴각 |
2월 10일 |
이순신 함대 웅천 1차 공격 |
|
2월 12일 |
권율 육군,행주서 일군 격퇴/이순신함대 웅천 2차공격 |
|
2월 18일 |
이순신 함대 웅천 3차 공격 |
이여송, 평양까지 후퇴 |
2월 22일 |
이순신 함대 웅천 4차 공격 |
|
2월 29일 |
|
서울 이북 일군, 서울 집결 |
3월 6일 |
이순신 함대 웅천 5차 공격 |
|
3월 10일 |
|
히데요시, 일군에 철퇴령 |
3월 23일 |
조선 조정, 평양으로 이동 |
이여송, 개성으로 복귀 |
4월 9일 |
|
명 심유경, 고니시, 강화회담 타결 |
4월 19일 |
|
일본군 전면 퇴각 시작 |
4월 20일 |
권율군 서울 입성 |
이여성, 서울 입성 |
5월 2일 |
조. 명 연합군 남진 시작 |
일본군 선두 부산 도착 |
5월 7일 |
조선 수군 전함 100여척 견내량 봉쇄 |
일본 수군 900여척 서진 시도 |
5월 9일 |
|
명나라 강화사절 부산 출발 |
5월 24일 |
|
히데요시, 나고야서 명 사신 접견 |
6월 6일 |
권율을 조선군 도원수로 임명 |
|
6월 22일 |
|
대군 투입, 진주성 포위 공격 |
6월 29일 |
진주성 함락, 최경희 등 수비군 옥쇄 |
|
7월 14일 |
이순신, 한산도에 영구 지휘본부 설치 |
진주성 점령 일군 퇴군 |
7월 15일 |
|
명나라 사절 부산 귀환 |
7월 22일 |
두 왕자 석방, 명 사신과 귀경 |
|
8월 6일 |
히데요시, 축자적 철퇴령 |
|
8월 8일 |
|
이여송 등 명군 3만 철군 |
8월 25일 |
|
히데요시, 오사카로 귀환 |
8월 30일 |
이순신을 3도 수군통제사로 임명 |
|
10월 1일 |
조선 조정, 서울 환도 |
|
서기 1594년 갑오(甲午)년 선조 27년 단기 3027년
명(明)기 만력(萬曆)22년, 일(日)기 문록(文綠) 3년
1월 20일 |
|
명 심유경, 일 1군 사령관 웅천서 히데요시의 가짜 항복문서 작성 |
3월 4일 |
이순신, 당항포해전 승리 |
|
8월 3일 |
|
명군 철수 완료/ 일군 38,000명 잔류 |
9월 29일 |
이순신 함대 장문포 공격 |
|
10월 1일 |
이순신 함대 영등포.장문포 공격 |
|
12월 30일 |
|
명 조정 책봉사 파견 결정 |
서기 1595년 을미(乙未)년 선조 28년 단기 3928년
명(明)기 만력(萬曆) 23년 일(日)기 문록 (文綠) 4년
1월 30일 |
|
명책봉사 부경 출발 |
11월 22일 |
|
명 책봉사 서울 남원 경유 부산 도착 |
서기 1596년 병신(丙申)년 선조 29년 단기 3929년
명(明)기 만력(萬曆) 24년, 일(日)기 경장(慶長) 1년
5월 10일 |
|
일군 제 2군 주력 본국 철수 |
6월 15일 |
|
일군 제 1군 주력 본국 철수 명 책봉사 부산 출발 |
8월 5일 |
조선 사신 부산 출발 |
|
9월 3일 |
|
히데요시, 명 책봉사 접견, 강화회담 결렬조. 명 사절 추방/ 히데요시, 재침 준비령 |
서기 1597년 정유(丁酉)년 선조 30년 단기 3930년
명(明)기 만력(萬曆) 25년 일(日)기 경장(慶長) 2년
1월 6일 |
|
명 책봉사 서울 입성 |
1월 14일 |
|
일 2제 2군 사령관 상륙 |
1월 27일 |
이순신 파직, 원균을 통제사로 |
|
2월 16일 |
|
명 책봉사 북경 귀환 |
2월 22일 |
|
히데요시, 전면 재침령 |
5월 8일 |
|
명 재투입군 서울 도착 |
6월 15일 |
|
히데요시, 침공군에 코베기 명령 전달 |
6월 19일 |
원균 지휘 조선 수군 안골포 공격 |
|
7월 8일 |
원균 지휘 조선 수군 다대포 공격 |
|
7월 16일 |
원균 지휘 조선 수군 칠천량서 전멸(원균 전사) |
|
8월 3일 |
이순신, 통제사로 복귀. 전함 12척 지휘 |
일본 좌. 우군, 전주로 진군 |
8월 16일 |
남원 함락, 조. 명 연합군 옥쇄/ 황석산성 함락, 수비 관민 옥쇄 |
좌군 6만 3일간 포위공격/우군 5만 산성 공파, 전주로 |
8월 25일 |
전주성 함락 |
좌. 우군 11만 무혈 입성 |
8월 28일 |
|
좌군 주력 순천으로 남하 |
8월 30일 |
|
우군 주력 서울 향해 북진 |
9월 2일 |
|
좌군 주력 순천에 왜성 구축 |
9월 7일 |
|
명, 일군 선봉 직산서 조우 |
9월 16일 |
이순신13척 함대,명량해전서 일수군 200척 격파 |
일본군 전면 퇴각 시작 |
10월 9일 |
|
일본군 남해안 왜성으로 퇴각 |
12월 24일 |
조. 명 연합군 울산왜성 총공격 |
|
서기 1508년 무술(戊戌)년 선조 31년 단기 3931년
명(明)기 만력(萬曆) 26년, 일(日)기 경장(慶長) 3년
1월 4일 |
조. 명 연합군 울산성 공격 실패, 퇴각 |
|
7월 15일 |
이순신 수군기지 보화도서 고금도로 |
명 수군 진린 함대 합류 |
7월 19일 |
이순신 함대 절이도서 일 수군 대포 |
|
8월 19일 |
|
히데요시 사망 |
9월 21일 |
조. 명 연합군(동로군) 울산성 총공격 |
수비일군 저항 계속 |
9월 28일 |
조. 명 연합군(중로군) 사천성 총공격 |
수비일군 저항 계속 |
10월 2일 |
조. 명 연합군(서로군) 왜교성 총공격 |
수비일곤 저항 계속 |
10월 3일 |
|
명 수군 진린함대 대패 |
10월 15일 |
|
일본 최고회의, 침공군 전면 퇴각령 |
11월 19일 |
조. 명 연합수군 노량진서 최후 승리(이순신 전사) |
|
11월 24일 |
조. 명 연합육군 왜교성 입성 |
|
26일 |
|
전 일본군 퇴각 완료 |
12월 11일 |
조. 명 연합 육군 사천성 입성 |
종전 |
<자료 출처: 임진왜란 연표 http://ktjwin99.hihome.com)
첫댓글 틀린 글자들 제발 좀 고쳐 주시라! 챙피스러워서 원!!
근데 저 전쟁의 끝은 노량해전이 아닌 울산성 전투가 최후의 전쟁이라고 하는군요... 나참... 지금까지 알고있던 역사지식이 확 뒤바뀌는거같네요
ㅠㅠ 흑흑 이순신 장군님 너무 대단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