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에서 cm 단위까지 위치 확인 가능해진다.
국제신문, 염창현 기자, 2022.08.18.
정부가 해상에서 선박의 위치 등을 ㎝ 단위까지 파악할 수 있는 기술 개발에 나선다. ‘해양수산분야의 스마트화’ 구축에 한걸음 다가갈 수 있다는 점에서 성공 여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8월 18일 해양수산부는 선박해양플랜트 연구소에 ‘해양 PNT 통합연구단’을 설치해 위성항법체계의 위치오차를 5cm까지 줄이는 ‘센티미터급 보강정보 서비스 기술개발 사업’에 착수한다는 방침을 확정했다. PNT은 위치(Positioning), 항법(Navigation), 시각동기화 (Timing)를 의미한다. 이 사업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토교통부 등이 참여하는 다부처 협업 사업인 ‘한국형 위성항법체계’(고도 3만6000㎞ 궤도에 위성을 배치해 초정밀 정보 제공) 개발 계획의 일환이다. 현재 10m 정도인 위치오차를 5㎝ 이내로 줄여 정보의 신뢰성을 높이자는 것이 취지다.
이에 따라 해수부는 해양PNT 통합연구단을 통해 한국형 위성항법체계 운용에 도움이 될 각종 기술을 개발하기로 했다. 또 이를 바탕으로 오는 2024년까지는 ㎝급 보강정보를 송출한다는 목표를 설정했다. 아울러 과기부 등과 함께 8개의 위성을 정지 및 경사궤도에 배치한다는 계획도 수립했다.
업계에서는 이 같은 기술이 실제로 활용되면 자율운항선박 운항, 자동접안, 스마트항만 구축 등에 대한 신속한 이행이 가능해져 해양수산 분야에서 획기적인 발전이 이뤄질 것으로 기대된다. 또 이는 부산항 진해신항에 스마트 항만 체계를 구축한다는 해수부에 구상을 구체화하는 데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해수부는 국제해운물류산업을 선도하기 위해 오는 2040년까지 사업비 12조 원을 투입해 진해신항을 스마트 항만으로 만든다는 일정을 세워놓고 있다.
정태성 해수부 해사안전국장은 “우리나라가 해운강국으로 발돋움하려면 더 정밀한 위치정보 제공은 선택이 아닌 필수”라며 “적극적인 지원과 제도적 기반 마련을 통해 관련 기술이 적기에 개발돼 상용화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국제신문 염창현 기자의 기사 내용을 정리하여 게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