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화부문
대상/윤기봉(시간속으로 흐르다) 최우수상/천태자(공수래공수거) 우수상/장태윤(자연에서..) 특별상/허경미(상생폭포)
특선/박강미(소나무가 보이는 풍경) 특선/서수진(선유동계곡) 특선/조경미(성하)
입선/김태선 입선/김혜경 입선/장순영 입선/정동주 입선/정호영 입선/임정숙
◇한국화 ▲대상=윤기봉 ▲최우수상=천태자 ▲우수상=유가은 장태윤 ▲개천미술상=김진희 ▲특별상=허경미 ▲특선=강정임 강혜순 김영희 박강미박덕남 박찬숙 서수진 신령숙 오재연 이동완 조경미 조방희 조숙향 조용화 하경화 허미희 황영순 ▲입선=강선자 구경숙 김삼희 김수임 김정희 김태선 김혜경 김혜연 남미애 박말순 박미정 박정희 사공성의 안경자 안종균 윤동원 이원차 이윤순 이정화 이지영 이홍 임정숙 장순영 장윤점 전병욱 정군자 정동구 정미용 정세완 정정희 정호영 표순제 한규석 허정애
◇수채화 부문 ▲최우수상= 정고운 ▲우수상=이갑선 ▲개천미술상=조선희 ▲특별상=이은미 ▲특선=강영화 권경애 김남희 김민원 김선애 김영숙 박계순 박염지 박혜경 이영애 정봉순 정영미 차미자 ▲입선=강경임 권행점 김경인 김계순 김미순 김민수 김순영 김영남 김영자 김지현 김혜정 문희진 박미진 박소향 성하림 임재숙 장은정 정현숙 홍태아
◇서양화 ▲대상=유선혜 ▲최우수상=박희선 ▲우수상=강동진 고윤숙 ▲특별상=황정훈 김보경 이진숙 ▲특선=권영숙 김등길 김성남 김영순 김청희 김택균 명현주 백숙아 손선진 이경현 이미순 전영희 정경민 정경희 조필연 조희경 ▲입선=김미하 김민정 김선자 김수빈 김은주 김재우 김정숙 김화순 김희숙 문경희 박남이 박민준 박홍렬 손점섭 송복렴 신경순 오명옥 이외정 이외희 이인순 전숙례 정문조 정영구 정영미 정은숙 정정숙 정진숙 조수명 진용숙 최경애 홍말수
◇서예 ▲대상=김삼조 ▲최우수상=전서영 ▲우수상=이영준 최경태 ▲성파상=이영숙 ▲개천미술상=이양자 ▲특별상=왕옥희 ▲특선=강경순 강인구 강정자 곽점석 김귀숙 김기곤 김노태 김병옥 김서구 김정길 김필도 남지향 문근옥 박수금 박숙희 박옥자 박희봉 방호경 서명택 성태경 송동영 송학부 신길자 안병규 안홍희 염두환 이덕찬 이봉춘 이윤희 이정화 이춘희 이희재 임경희 장세용 전옥녀 정욱화 정점희 정정열 정흥수 정희경 조성숙 현영옥 홍건석 홍영미 황재웅 ▲입선=강동석 강명미 강명숙 강상환 강석곤 강석수 강중관 공순옥 공원택 곽재경 권병동 권영문 권홍철 김경환 김광호 김도연 김명자 김보덕 김상환 김선주 김쇠배 김승규 김영아 김옥이 김완수 김인기 김인순 김정옥 김종근 김종민 김창헌 김춘연 김현자 김형길 류기현 류춘열 모순점 문승영 민경희 박경임 박경희 박덕애 박미정 박영출 박용 박유미 박은자 박인우 박임수 박지은 박철태 박철홍 박홍림 박홍빈 박환중 방송규 배상근 배익진 배주룡 백양숙 백연홍 빈성득 성말순 손경조 손길규 손숙이 송기택 송지영 안복희 안종연 여차순 우숙임 윤효선 이계순 이도관 이분녀 이상철 이선자 이영은 이용남 이은엽 이정옥 이주용 이지자 이창식 이춘실 임연옥 임정민 장미영 장현철 전정숙 정규산 정맹자 정삼정 정상태 정상학 정승교 정영남 정영진 정윤교 정재후 정학준 조계자 조수선 조예숙 조재언 최숙임 최인석 하명남 하상천 허성무 황석수 황정란
◇문인화 ▲대상=김현숙 ▲최우수상=최영옥 ▲우수상=천광영 황현주 ▲개천미술상=김위경 ▲특선=강미옥 강순자 강해순 공해자 곽규한 권선례 김경자 김계희 김미경 김선희 김애라 김윤남 김은경 김정미 김조자 김행수 김현자 도금자 류미주 문동배 문순녀 박만수 박선미 성정주 손혜경 송명숙 신명순 안덕래 안옥란 염미영 우명희 유정애 윤금주 이미자 이순실 이순자 정미용 정운조 정혜자 조두례 조순애 조은숙 조일순 최병훈 최혜연 하명애 한경남 황성규 ▲입선=강염 강병연 강쌍희 강애란 강이진 강정옥 강행화 강현영 강혜인 강희자 공계자 구무영 구영자 구윤경 권승기 권윤선 김귀숙 김달국 김덕순 김덕혜 김둘영 김말립 김명희 김명희 김미숙 김미옥 김보덕 김봉란 김분도 김상표 김성엽 김숙희 김영자 김옥경 김옥선 김용길 김윤자 김이남 김인숙 김인숙 김임숙 김자룡 김점동 김점이 김정숙 김정윤 김정인 김종성 김지태 김혜숙 노정순 류미란 류정혜 류춘열 박경희 박미수 박미숙 박성희 박송이 박수진 박순영 박연희 박정매 박정숙 박지연 박환중 반용순 백숙자 백영숙 백혜경 변종숙 서경희 서윤정 석은재 손순희 손지미 송창순 신국자 심경희 안경애 안구선 양경자 연미영 연양희 오희순 우성희 유은하 윤미영 윤현숙 윤효선 이미라 이미자 이성예 이순남 이순선 이순자 이양선 이영자 이외숙 이은경 이은영 이은용 이은정 이인선 이재숙 이현숙 이현숙 장미연 장순옥 전미경 정경순 정금자 정명자 정봉림 정상태 정숙경 정순희 정용수 정은승 정인자 정정엽 정진희 정행덕 정향숙 제영식 제정영 조규진 조길련 조성희 조숙희 조영순 조인선 조재연 조정선 조해인 조현숙 조현형 주숙임 차수진 천춘악 최궁자 최근식 최남숙 최미일 최미정 최부이 최숙자 최영숙 최춘순 최화자 하미선 허을순 허점이 현정숙 황말순 황영진 황정란 황주일
◇조소 ▲입선=조현영
◇디자인 ▲특선=김수진 ▲입선=김봉조 이유미
◇공예 ▲최우수상=박진종 ▲우수상=배미나 ▲특선=이연숙 정지인 정차선 조미숙 한은숙 ▲입선=강혜란 김현정 김희자 박미숙 서보민 안은정 윤수진 이경은 이명희 정윤지 조혜진 최명희
◇서각 ▲최우수상=박희종 ▲우수상=오태호 허행숙 ▲개천미술상=박병흠 ▲특선=권병일 금병항 박선률 육금숙 이연호 이혜숙 장성규 정봉환 정용철 정진호 최영백 ▲입선=김미주 김해옥 노성석 노순남 명한성 문봉현 박기홍 박민철 박시곤 박영숙 서덕수 안철준 옥일석 윤경진 윤용희 이은화 이창근 전영수 정진영 최경규
올해 개천미술대상전 영예의 대상은 서양화 부문 유선혜씨의 ‘자연의 이미지’(위 사진), 한국화 부문 윤기봉씨의 ‘시간속으로 흐르다’, 서예 부문 김상조씨의 ‘귀가(歸家)’, 문인화 부문 김현숙씨의 ‘묵난’ 등 4명이 차지했다. 진주시와 예총 진주지부가 공동주최하고 한국미술협회 진주지부(지부장 허성)가 주관한 ‘2010개천미술대상전’심사 결과 한국화, 서양화, 서예 등 9개부문 총 1709점의 출품작 가운데 각 부문별 4명의 대상자를 비롯해 최우수상 6명, 우수상 10명 등 총 581명(한국화 57, 서양화 54, 수채화 36, 서예 165, 문인화 211, 공예 19, 디자인 3, 서각 35, 조소 1명)이 입상작으로 선정됐다. 최우수상에는 수채화 부문에 정고운씨의 ‘시간의 흐름’이, 서양화 부문은 박희선씨의 ‘지난날의 회상’, 서예부문은 전서영씨의 ‘농암선생 시(農巖先生 詩)’, 문인화 부문은 최영옥씨의 ‘포도’가, 공예부문은 박진종씨의 ‘상승1.2’, 서각부문은 박희종씨의 ‘눈덮힌 광야’가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또 우수상은 수채화 부문에 이갑선씨의 ‘존재의 이유’, 서양화부문은 강동진씨의 ‘선박’·고윤숙씨의 ‘어떤동작’, 서예는 이영준씨의 ‘수로황금’·최경태씨의 ‘월흑조비(月黑鳥飛)’, 문인화는 천광영씨의 ‘묵죽’·황현주씨의 ‘묵죽’, 공예는 배미나씨의 ‘국화문 예단함’, 서각은 오태호씨의 ‘관세음보살’·허행숙씨의 ‘사귀명’이 차지했다. 또 개천미술상에는 수채화에 조선희씨의 ‘가을의 향연’, 서예 이양자씨의 ‘송강선생 시’, 문인화에 김위경씨의 ‘연’,서각은 박병흠씨의 ‘이인동심’이 차지 했으며, 특별상은 수채화 이은미씨의 ‘장인’, 한국화 허경미씨의 ‘상생폭포’, 서양화 황정훈씨의 ‘메밀밭’, 김보경씨의 ‘공존의 세월’, 이진숙씨의 ‘봄의 왈츠’, 서예는 왕옥희씨의 ‘함승경선생 시’가 서예 성파상은 이영숙씨의 ‘석정선생 시’가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이번 2010개천미술대상공모전 심사는 지난달 21일 경남도문화예술회관 전시실에서 문인화와 서예, 한국화, 수채화, 서양화를 공개심사를 통해 1차로 심사했고, 30일 같은 장소에서 조형부문과 서각, 한국화 서양화, 수채화를 2차로 심사했다. 개천미술대상전 운영위원장인 허성 진주미협 지부장은 “전국 각지에 많은 공모전이 존재하고 있지만 개천미술대상전은 어느 미술 공모전보다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다”며 “그동안 운영위원들이 더욱 매끄럽고 발전된 모습의 공모전이 되기 위해 전국 각지로 뛰면서 노력을 기울였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미술대상전 시상식은 오는 29일 오후 1시 경남문화예술회관 전시실에서 있을 예정이며, 대상 수상자에게는 300만원의 상금과 경남도지사 상장 및 트로피가 수여된다. 입상작 전시는 1부와 2부로 나눠 한국화·서각·공예·서양화·수채화 작품은 오는 19일부터 24일까지, 서예·문인화 부문는 25일부터 29일까지 경남문화예술회관 전시실에서 각각 전시된다. (펌)경남일보

http://www.koreacolor.com
아름다운홈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