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차 색상 확인하는 방법
How to check My Car Color.
내 차 색상 어떻게 알 수 있을까?
색상 중에서 쥐색이라든지 그레이라든지 은색 계열 또는 펄 계열의 색상은 보이는 것처럼 쉽게
알 수 있는 방법이 없어 개개인의 시각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 현실이다.
거의 대부분의 차량에는 자신 차량의 색상(color code)에 대한 표시가 되어 있다.
숫자와 영문 또는 영문 이니셜로 표기된다.
이것을 보다 쉽게 알아보기 위해 사진을 첨부해 표기해두었다.
중고 사이드미러를 구매할 때 기능도 같아야 되겠지만 색상을 잘 맞춰서 구매하는 것도 요령이다.
운전석 문을 열면
차종별 각각 1, 2, 3 번의 위치에 차량정보가 마킹돼 있다.
르노삼성자동차는 주로 2번의 위치에 많은데
아쉽게도 컬러코드가 밝혀져 있지 않다.
차대번호로 색상확인을 별도로 해야 한다.
색상은 주로 흰색, 검정색, 화이트펄 계열이 주
최근들어 다양한 색상의 차량을 구매하는 만큼
본인 차량의 색상 정보는 알아두는 것이 좋겠다.
현대자동차의 경우엔 모델에 따라 부착위치가 다른데 1, 2, 3번 위치에 고루 있다.
기아자동차의 경우엔 대개 1번의 위치에 많다.
쉐보레자동차의 경우엔 3번 위치에 있는 경우도 있으며
쌍용자동차의 경우 2번 위치에 있는 경우가 많다.
수입자동차의 경우 2번 위치에 있는 경우가 많으나 색상을 밝혀두지는 않는다.
차대번호로 조회
대개 1번과 2번의 위치에 존재하는 데
마킹정보가 없으면 수리 차량으로 보아도 무방하다.
내 차 색상 확인하는 방법
이 차종은 더뉴K9 이고
화살표시 부분에 차량정보가 있는데
크게 년식, 차대번호, 외장, 내장 등이 기록돼 있다.
차대번호는 등록번호로 이 자동차의 모든 것을 알 수 있다.
차량의 어느 부분에 대한 부품을 찾을 때도 이것을 이용한다.
모든 차종이 이와 같이 외장 이라고 명기돼 있는 것은 아니다.
외장, 도장, 색상 등으로 명기된다.
내장은 말그대로 실내의 내장재 부분에 대한 것이고
외측에 장착되는 사이드미러의 색상은 외장을 가리킨다.
자동차에 원래 색상을 버리고 새로운 색상을 입힌 경우 컬러코드를
미리 알아두는 지혜를 가져보자.
추가 내용
다이너스티와 같이 올드카의 경우
아래 사진과 같이 본넷을 열어봐야 알 수 있는
차종도 있습니다.
이외
쌍용자동차나 쉐보레자동차 중에는
외부 뒷유리창에 컬로코드가 라벨로 붙어 있는 경우도 있으므로
자동차를 구매하신 경우 미리 사진을 찍어서 남겨두는 것도 방법입니다.
스티커라벨이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면 바라거나 삭아서 없어지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