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행17:16
사도행전3/1은 설교입니다. 바울의 설교는 9편으로, 그중에서 아덴 설교는 타문화적 선교에 있어서 복음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었는지를 보여준 모델입니다. 복음 전도가 교회적인 경향이 있는데, 바울은 세속 도시에서 복음의 접점을 만들어갔습니다. 우상을 섬기고 허탄한 논쟁과 사변에 심취해있는 이들에게 바울은 분노했습니다.
Acts of the Apostles 3/1 is a sermon. There are nine sermons, of which the Aden sermon is a model of how the gospel could be effectively conveyed in other cultural missions. Evangelical evangelism tends to be church-like, and Paul has created a point of contact with the gospel in a secular city. Paul was enraged by those who served idols and were engrossed in empty debates and speculation.
-
그것들은 아무런 자유와 생명도 주지 못하면서 인간을 사로잡고 있기 때문입니다. 본문은 이방인들을 향한 바울의 풀 번전 설교가 들어 있는 아레오바고 연설입니다. 아레오바고 언덕은 아덴(아테네)시의 광장인 아고라(Agora)로부터 남쪽으로 약 200m, 그리고 아크로폴리스의 중심부인 판테온 신전에서 북서쪽으로 300m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This is because they are captivating humans without giving them any freedom and life. The text is an Areobago speech containing Paul's full-length sermons to the Gentiles. The Areobago Hill is located about 200m south of Agora, the square of the city of Aden (Athens), and 300m northwest of the Pantheon Temple, the center of the Acropolis.
-
아레오바고는 해발 80-90m이며 아크로폴리스는 110m입니다. 이곳은 철학자들의 쉼터로 유명한데 저명한 철학자 제논은 그곳에서 토론을 하거나 제자들을 가르쳤습니다. 이로 말미암아 그의 후계자들은 “스토아 철학자”라고 불려 지게 되었습니다. 바울은 홀로 아덴에 먼저 도착했고 참담한 영적 상황에 대한 분노가 복음을 전하는 열정으로 이어져갔습니다(17). 바울은 여기서도 회당에 먼저 들어가 유대인들을 만나 설득하고 강론하였습니다.
Areobago is 80-90m above sea level and the Acropolis is 110m. This place is famous for being a resting place for philosophers, where the renowned philosopher Zeno discussed and taught his disciples. This led to his successors being called "Stoa Philosophers." Paul arrived in Aden alone first, and his anger at the disastrous spiritual situation led to his passion for preaching the gospel (17). Paul first entered the synagogue here as well, meeting the Jews, persuading them, and lecturing them.
-
회당과 장터를 가리지 않고 그의 강론은 계속 되었는데 일주일에 한 번 만나는 회당과 달리 광장에서는 날마다 만났습니다. 요새 버스 킹으로 유럽을 다니는 윤 도현 밴드를 보면서 참으로 멋지게 보였습니다. 바울이 아고라에서 만나 토론한 자들은 스토아 철학자나 에피큐레스 철학자들인데(18), 이들은 바울이 예수님과 부활에 대해 이야기 하자 그를 이방 신들을 전하는 자라고 판단하고(18) 아레오바고에 데려가서, 그에게 새 교에 대해 알 수 있겠느냐고 물었습니다(19).
His lectures continued regardless of the synagogue and the marketplace, but unlike the synagogue we met once a week, we met every day at the square. It looked really cool to see the Yoon Do-hyun band who is going to Europe as a bus king these days. The people Paul met and discussed in Agora were Stoic philosophers and Epicurean philosophers (18), who decided that Paul was a messenger of the Gentiles when he talked about the resurrection with Jesus (18), and took him to Areobago (18), and asked him if he could know about the new religion (19).
-
이어 20절에서도 계속 그들은 이상한 것?(부활)에 대한 호기심을 숨기지 않았습니다. 그리고는 아덴 사람들과 이 도시에 머무는 외국인들이 가장 새로운 것 외에는 관심을 나타내지 않는 자들이라는 보충 설명이 등장합니다(21). 여기서 저자 누가는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이라는 복음을 선포한 바울에 대해, 오직 새로운 것에 관심을 갖고 있는 아덴에 거하는 자들이, 어떻게 반응 하는지에 초점을 맞추어 설명하고 있습니다.
Then, in Section 20, they did not hide their curiosity about the strange thing?(Resurrection). Then comes a supplementary explanation that the people of Aden and the foreigners staying in this city are those who show no interest except the newest thing (21). Here, author Nuga explains Paul, who proclaimed the gospel of the resurrection of Jesus Christ, focusing on how those who live in Aden who are only interested in new things react.
-
바울이 “죽은 자의 부활”로 요약되는 연설을 끝내자 한편의 사람들은 조롱했지만, 다른 사람들은 다시 말을 들어보자고 한 점, 그리고 바울은 별다른 제재 없이 아레오바고를 떠날 수 있었다는 점, 또한 연설을 들은 자들 중 몇몇은 바울의 편이 되어 믿게 되었는데, 그들 중에는 아레오바고 관헌인 디오누시오와 다마리 라고 하는 여자도 있었다는 점 등 여러 정황으로 볼 때 바울은 수인이나 혐의자의 신분으로 재판이나 심문을 받은 것이 아니라 토론 형식을 통해서 아덴에 있던 사람들에게 복음을 증거 했던 것으로 보여집니다.
When Paul finished his speech, which was summed up as "Resurrection of the Dead," some people mocked him, but others asked him to listen again, and Paul was able to leave Areobago without any sanctions, and some of those who listened to the speech came to believe that some of them were on Paul's side, including women named Dionusio and Damari, who were the officials of Areobago. Paul appears to have proved the gospel to those who were in Aden through a discussion format rather than being tried or interrogated as a prisoner or suspect.
-
이번 바울의 버스 킹은 헬라도시의 아레오바고 언덕이었고 바울 설교의 핵심은 여전히 예수의 죽으심과 부활하심입니다. 특히 그들이 가지는 영혼에 대한 아덴 사람들의 반응이 집중된 것은 부활이라는 이슈였습니다. 아덴 사람들은 부활을 한 번도 접해보지 않았습니다. 그들은 죽은 사람들은 영혼이 지하세계로 내려가고 다시 돌아올 수 없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죽은 사람이 다시
살아난다는 말에 사람들은 비웃었고, 다시 듣고 싶다는 사람도 있었습니다. 바울이 언덕에서 내려오자 몇 사람이 바울을 따랐습니다.
The busking of Paul this time was Areobago Hill in Hella City, and the core of Paul's sermon is still the death and resurrection of Jesus. In particular, the issue of resurrection was focused on the Aden people's response to their souls. The Aden people had never encountered a resurrection. They thought that the dead would go down to the underworld and could not come back. However, the dead again People laughed at the word that he would survive, and there were people who wanted to hear it again. When Paul came down from the hill, several people followed him.
-
로마시민권자이고 지성인인 바울은 이 연설을 헬라어(고대 그리스어)로 했을 것입니다. 그의 연설은 그리스인의 깊은 신앙심을 추켜세우고 그리스 시인의 말까지 인용하면서 친근감을 보였습니다. 그러나 제가 보기에는 영혼의 불멸은 믿지만 시신의 부활을 믿지 않았던 그리스인에게 예수 부활에 대한 바울의 설교는 충격이었을 것입니다. 바울의 설교는 다섯 부분으로 나뉩니다. 서언(22-23), 제사가 필요 없는 우주의 주인이신 하나님(24-25), 사람들에게 계시되신 하나님(26-27), 우상 숭배 금지(28-29), 종결부
(30-31)로 아테네 아레오파고스 언덕 안내판에는 사도 바울(서기 10∼67)의 전도기록이 적혀 있습니다.
Paul, a Roman citizen and an intellectual, must have given this speech in Hellaic. His speech praised the Greek people's deep faith and even quoted the words of a Greek poet, showing familiarity. However, to me, Paul's sermon on the resurrection of Jesus must have been a shock to the Greek who believed in the immortality of the soul but did not believe in the resurrection of the body. Paul's sermon is divided into five parts. The preface (22-23), God (24-25), the master of the universe that does not require a rite, God (26-27), the god who is present to the people (28-29), the prohibition of idolatry (28-29), and the closing part (30-31) are written on the information board at the Areopagos Hill in Athens.
-
아레오파고스는 그리스에 기독교가 전파된 것과 관련이 있는데 1세기 중반 사도 바울이 아레오파고스 언덕 정상에서 아테네 사람들에게 새로운 종교를 가르침으로써 몇몇 아테네 사람들이 기독교로 개종했다고 알려졌습니다. 아레오파고스 설교의 내용입니다. “아테네 시민 여러분, 내가 보기에 여러분은 여러모로 신앙심이 깊은 분들입니다. 내가 여기저기 돌아다니며 여러분의 예배장소를 살피다가 ‘알지 못하는 신에게’라고 새겨진 제단도 보았습니다.
The Areopagos are related to the spread of Christianity in Greece, where in the mid-1st century, the apostle Paul taught the Athenians a new religion at the top of the Areopagos hill, and it was known that some Athenians converted to Christianity. This is what the Areopagos preachers say. "Folks of Athens, I see you are in many ways religious. I went around looking at your places of worship and saw an altar inscribed with 'To the Unknown God.'
-
그래서 여러분이 지금까지 모르고 예배해 온 그 신을 내가 알려드리겠습니다. (중략) 사실 하나님께서는 우리에게 가까이 계십니다. ‘우리는 그 분 안에서 숨 쉬고 움직이고 살아간다.’는 말도 있지 않습니까? 또 여러분의 어떤 시인은 ‘우리도 그의 자녀다’라고 말하지 않았습니까? (중략) 하나님께서는 당신이 택하신 분으로 하여금 온 세상을 심판하실 날을 정하셨고, 또 그분을 죽은 자들 가운데서 다시 살리심으로써 모든 사람에게 그 증거를 보이셨습니다 (16~32)."
So I will tell you the God you worshiped without knowing. In fact, God is close to us. Isn't there a saying that goes, 'We breathe, move, and live in him?' And didn't your poet say, 'We are his children?' (Omitted) God set the day when he would judge the whole world by bringing him back from the dead (16-32) to prove it to everyone."
-
내 말로 다시 정리하면 "알지 못하는 신에게"제사하는 제단에 관한 내용을 서두로 하나님은 천지만물을 만드시고 생명을 유지하시는 분, 그분은 신전에 계시거나 사람의 섬김을 받지 않으신 데도 사람들과 가까이 계신 분이십니다. 우리 하나님은 각 나라의
시대들과 거주지의 경계를 정해주셨고, 자기를 알도록 계시하셨으며, 회개를 바라며 오래 참으셨지만 반드시 세상을 심판 하실 것임을 당당하게 선포한 것입니다.
In my words, God is the one who makes heaven and earth and sustains life, and he is close to people even though he is in a temple or not served by people, as he has set the boundaries of each country's times and residences, and he has been present to know himself, and he has endured for a long time hoping for repentance, but he proudly declared that he will judge the world.
-
이로써 바울은 당시 아덴 사람들이 자랑하던 철학을 통해, 가장 인기 있던 에피쿠로스와 스토아학파를 넘나들면서 그들로 하여금 영적인 무지함을 스스로 깨달게 하였습니다. 즉 종교성이 많은 아덴 사람들의 성향과 육체와 물질적인 삶을 경시하는 헬라 철학을 잘 파악한 후, 창조 세계를 통한 하나님의 자기계시와 헬라 철학자들의 시 속에 담긴 진리의 요소를 사용하여 복음과의 접촉점을 만들어간 것으로 보입니다.
Paul, using the philosophy that the Adenites were proud of at the time, made them realize their spiritual ignorance by crossing the most popular schools of Epicurus and Stoics. In other words, it seems that he made a point of contact with the gospel by using God's self-evidence through the creative world and the elements of truth contained in Hella philosophers' poems after grasping the propensity of the religious Adenites and their physical and material lives.
-
거기서 그치지 않고 예수와 부활을 증거 하였으며, 하나님이 정하신 사람(예수)을 통해 회개하지 않는 자들은 반드시 심판하실 것을 분명히 선포했습니다. "선교를 할 때 가장 어려운 부분은 소위 접촉점입니다. 이질적인 문화권의 사람들과의 만남에서 서로 소통하려면 공동의 관심거리를 전제하기 때문입니다. 관건은 믿지 않은 자들의 자존심에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도 복음에 관심을
갖게 하는 적절한 방법을 찾는 일입니다.
He did not stop there, but proved Jesus and his resurrection, and clearly declared that those who do not repent through God's chosen man (Jesus) must be judged. "The most difficult part of missionary work is the so-called contact point. This is because communicating with people from different cultures presupposes a common interest. The key is to find an appropriate way to make the believers interested in the gospel without hurting their pride.
-
바울 역시 접촉점으로 그리스인들의 종교성을 선택하여 사용했습니다. 그런데 이에 대한 해석이 분분합니다. 바르트는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을 통해 들어난 하나님의 사랑을 말하지만, 부르너는 인간의 양심에 호소합니다. 부르너의 입장을 자연신학이라 하는데, 인간의 본성에서 하나님을 알만한 것이 있다는 사실을 전제합니다. 문제는 부르너의 낙관과 달리 인간 스스로는 그것을 통해 하나님께 이를 수 없고, 복음을 들을 때만 인간은 자기 안에 있는 것이 무엇인지 깨닫는다는 사실입니다(로저E, 올슨, 신학논쟁, 2017,새물결 플러스)"
Paul also chose and used the religion of the Greeks as a point of contact. However, there are many interpretations on this. Barthes refers to God's love heard through the gospel of Jesus Christ, but Bourner appeals to human conscience. Bourner's position is called natural theology, and it presupposes that there is something in human nature that deserves to know God. The problem is that, contrary to Bourner's optimism, humans cannot reach God on their own, and only realize what is within them when they hear the gospel (Roger E, Olson, Theological Controversy, 2017, New Wave Plus)
-
내 종교심은 어떤 것인가? 지적인 만족을 채우기 위함은 아닌가?
무턱대고 알지도 못 하는 신에게 예배하고 있지는 않는가?
복음의 접점을 넓혀가는 전도를 하고 있는가?
What is my religious spirit like? Not to satisfy my intellectual satisfaction?
Aren't you worshiping a god you don't even know blindly?
Are you conducting evangelism to expand the point of contact with the gospel?
-
아덴에서 바울의 변론(16-21)
a.아덴의 유대인과 헬라 철학자들:16-18
b.아레오바고로 이동:19-21
아레오바고에서 설교(22-31)
a.우상과 하나님:22-28
b.유일하게 참 하나님:29-31
아덴 사역의 결과(32-34)
-
바울이(16a)
아덴에서 그들을 기다리다가(16b)
그 성에 우상이 가득한 것을 보고(16c)
마음에 격분하여(16d)
-
회당에서는 유대인과 경건한 사람들과(17a)
또 장터에서는 날마다 만나는 사람들과(17b)
변론하니(17c)
-
어떤 에피쿠로스와 스토아 철학자들도(18a)
바울과 쟁론할새(18b)
어떤 사람은 이르되(18c)
이 말쟁이가 무슨 말을 하고자 하느냐 하고(18d)
어떤 사람은 이르되(18e)
이방 신들을 전하는 사람인가보다 하니(18f)
이는(18g)
바울이 예수와 부활을 전하기 때문이러라(18h)
-
그를 붙들어(19a)
아레오바고로 가며 말하기를(19b)
네가 말하는 이 새로운 가르침이(19c)
무엇인지 우리가 알 수 있겠느냐(19d)
-
네가 어떤 이상한 것을(20a)
우리 귀에 들려 주니(20b)
그 무슨 뜻인지 알고자 하노라 하니(20c)
-
모든 아덴 사람과(21a)
거기서 나그네 된 외국인들이(21b)
가장 새로운 것을 말하고 듣는 것 이외에는(21c)
달리 시간을 쓰지 않음이더라(21d)
-
바울이 아레오바고 가운데 서서 말하되(22a)
아덴 사람들아 너희를 보니(22b)
범사에 종교심이 많도다(22c)
-
내가 두루 다니며(23a)
너희가 위하는 것들을 보다가(23b)
알지 못하는 신에게라고 새긴 단도 보았으니(23c)
그런즉 너희가 알지 못하고 위하는(23d)
그것을 내가 너희에게 알게 하리라(23e)
-
우주와 그 가운데 있는(24a)
만물을 지으신 하나님께서는(24b)
천지의 주재시니(24c)
손으로 지은 전에 계시지 아니하시고(24d)
-
또 무엇이 부족한 것처럼(25a)
사람의 손으로 섬김을 받으시는 것이 아니니(25b)
이는(25c)
만민에게(25d)
생명과 호흡과 만물을 친히 주시는 이심이라(25e)
-
인류의 모든 족속을(26a)
한 혈통으로 만드사(26b)
온 땅에 살게 하시고(26c)
그들의 연대를 정하시며(26d)
거주의 경계를 한정하셨으니(26e)
-
이는 사람으로(27a)
혹 하나님을 더듬어 찾아(27b)
발견하게 하려 하심이로되(27c)
그는 우리 각 사람에게서(27d)
멀리 계시지 아니하도다(27e)
-
우리가 그를 힘입어 살며(28a)
기동하며 존재하느니라(28b)
너희 시인 중 어떤 사람들의 말과 같이(28c)
우리가 그의 소생이라 하니(28d)
-
이와 같이 하나님의 소생이 되었은즉(29a)
하나님을(29b)
금이나 은이나 돌에다(29c)
사람의 기술과 고안으로 새긴 것들과(29d)
같이 여길 것이 아니니라(29e)
-
알지 못하던 시대에는(30a)
하나님이 간과하셨거니와(30b)
이제는 어디든지 사람에게 다 명하사(30c)
회개하라 하셨으니(30d)
-
이는 정하신 사람으로 하여금(31a)
천하를 공의로 심판할 날을 작정하시고(31b)
이에 그를(31c)
죽은 자 가운데서 다시 살리신 것으로(31d)
모든 사람에게(31e)
믿을 만한 증거를 주셨음이니라 하니라(31f)
-
그들이 죽은 자의 부활을 듣고(32a)
어떤 사람은 조롱도 하고(32b)
어떤 사람은(32c)
이 일에 대하여 네 말을 다시 듣겠다 하니(32d)
-
이에 바울이(33a)
그들 가운데서 떠나매(33b)
-
몇 사람이 그를 가까이하여 믿으니(34a)
그 중에는(34b)
아레오바고 관리 디오누시오와(34c)
다마리라 하는 여자와(34d)
또 다른 사람들도 있었더라(34e)
-
열정과 냉정 사이_ between passion and coolness
종교와 신앙 사이_ between religion and faith
믿음과 호기심 사이_ between faith and curiosity
-
온 세상을 창조하셨고 제게 필요한 생명과 모든 것들을 주신 하나님께 감사를 드립니다. 오늘 아레오바고 연설을 통해 보여주신 하나님을 다시 한 번 묵상하고 내 안의 잘못 각인된 종교성을 점검합니다. 해 받으시고 부활하신 그리스도를 성경을 통해 직접
배우고 교제하고 전하도록 도와주옵소서. 특별히 하나님께서 우리교회를 지키셔서 시대의 사명을 감당하게 해주옵소서.
I thank God for creating the whole world and giving me life and all that I need. I meditate once again on God who showed me in today's Areobago speech and examine the religious character that has been imprinted wrong in me. Please help me learn, socialize, and communicate with Christ, who has been harmed and resurrected, through the Bible. In particular, let God protect our church and fulfill the mission of the times.
2024.6.7.fri.Cl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