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급자를 위하여...
나모 웹에디터의 기본 환경과 프레임셋 문서를 살펴보고 문서에 동적인 효과를 주는 스타일 , 레이어와 타임라인,스크립트 마법사
외부 애플리케이션.폼과 폼 필드들을 살펴봅니다.
또한 여러분이 만든 홈페이지를 관리하기 위해 필요한 사이트를 만드는 과정과 홈페이지를 웹 사이트에 출판하는 과정을 다룹니다.
1. 프로그램 설정하기(1)
여러가지 프로그램 설정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프로그램 설정을 변경하려면 메뉴에서 [도구]->[프로그램 설정]을 선택합니다.
그러면 다음과 같은 [프로그램 설정]대화상자가 나타납니다. 이 대화상자를 통해 나모 웹에디터의 여러 가지 설정을 수정할 수
있습니다.
 |
1. 문서 초기값 : 문서 초기값과 관련된 내용들을 수정할 수 있습니다.
[색깔]
1. 글자색: 문서의 글자색을 지정합니다. 초기값은 검정색입니다.
2. 배경색: 문서의 배경 색깔을 지정합니다.초기값은 흰색입니다.
3. 하이퍼 링크: 한번도 접속하지 않은 하이퍼링크 색깔을 지정 합니다 . 초기값은 파란색입니다.
4. 열었던 링크: 웹 브라우저를 통하여 접속했던 하이퍼링크의 색깔을
지정합니다. 초기값은 보라색입니다.
5. 열고 있는 링크: 현재 웹 브라우저를 통해서 접속하고 있는 하이퍼 링
크 색깔을 지정합니다. 초기값은 빨간색입니다. |
[인코딩과 글꼴]
6. 인코딩 : 문서의 인코딩 종류를 지정합니다. 인코딩에 따라 MIME 형식이 결정됩니다.
7. 가변폭 : 나모 웹에디터에서 사용할 가변폭 글꼴(이름의 끝에'체'가 붙지 않은 글꼴)을 지정합니다.
Windows 의 기본 글꼴인 바탕, 돋움, 굴림, 궁서 중에서 선택합니다. 글자의 크기는 8포인트에서 72 포인트까지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초기값은 굴림, 12 pt입니다.
8. 고정폭 : 나모 웹에디터에서 사용할 고정폭 글꼴(이름 끝에 '체'가 붙는 글꼴)을 지정합니다.
Windows 의 기본 글꼴인 바탕, 돋움, 굴림, 궁서 중에서 선택합니다. 글자의 크기는 8포인트에서 72 포인트까지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초기값은 굴림체, 10 pt입니다.
[정보]
9. 만든이 : 홈페이지 문서를 만든 사람의 이름을 입력하는 부분입니다. 일단 정보에 값을 입력하면 새로운 문서를 만들 때마다 항상
여기에서 지정한 만든이 이름이 자동으로 입력됩니다. [파일]->[문서속성]을 선택하면 나타나는 [문서속성]대화상자의[일반] 탭에
서 '만든이' 를 다른 이름으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2. 편집
문서 편집과 관련된 내용들을 설정합니다.
 |
[일반]
1. 편집하던 문서를 자동으로 열기 : 웹에디터를 새로 실행하면 지난번에
작업했던 문서들이 자동으로 다시 열리고 커서 위치까지 이전 작업 위치
에 가 있도록 합니다. 그러나[파일]->[닫기]를 선택하여 끝낸 문서는 자
동으로 열리지 않습니다. 오직 웹에디터를 끝낼 때 편집 창에 열려 있던
파일들만 자동으로 열립니다.
2. 글꼴 목록에 해당 글꼴 보이기 : 도구 막대의 글꼴 바꾸기 목록에 해당
글꼴의 실제 모양을 표시합니다.
3. 삽입 키 전환 잠금 : Insert 키를 눌러도 입력 상태를 항상 삽입 상태로
유지하게 합니다. 즉 실수로 덮어쓰기(수정) 상태로 바뀌지 않게 됩니다.
하지만 덮어쓰기 상태에서 삽입 키 전환 잠금을 하면 처음에는 덮어쓰기
상태로 유지합니다. 그러나 Insert 키를 한번 누르면 삽입 상태로 전환되
어 이후로는 변하지 않게 됩니다.
4. 입력 URL을 하이퍼링크로 변환 : 인터넷 주소(URL) 또는 전자우편 주
소가 입력될 때 자동으로 하이퍼링크가 지정됩니다.
예를 들어 http://nettizen.co.kr 이라고 입력하면 낱말 전체가 선택되어
해당 URL로 하이퍼링크가 지정됩니다. |
5. 현재 커서 왼쪽의 글자 속성 상속받기 : 편집 창에서 새로운 글자를 입력할 때 글자 속성을 커서가 놓인 앞 글자를 따라갈지 현재
커서가 있는 글자의 모양을 따라갈지 결정합니다. 선택하면 커서 앞 글자 속성이 적용되며 선택 해제하면 현재 커서가 있는 글자 속성
이 적용됩니다. 선택상태을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6. 클립아트 결로 : 클립아트가 있는 디렉토리를 바꾸소 싶으면 새로 지정할 디렉토리 경로를 입력합니다.
[맞춤법]
7. 자동 맞춤법 검사 : 글을 입력할 때 자동으로 맞춤법 검사를 진행 되도록 합니다.
8. 맞춤법 오류 감추기 : 자동 맞춤법 검사를 선택하면 오류가 있다고 발견된 낱말에 빨간색 밑줄을 넣어 줍니다.
맞춤법 오류 감추기를 선택하면 오류가 있다고 발견된 낱말에 빨간색 밑줄을 넣어 주지 않습니다.
자동 맞춤법 검사 기능이 켜졌을 때만 선택할 수 있습니다.
9. 맞춤법 사전 : 웹에디터에서 사용할 다국어 사전을 설정합니다. 미국(영어)등 13개 언어 중 2개의 언어 사전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3. 문서 저장
문서 저장과 관련된 내용들을 설정합니다.
 |
1. 백업 파일 만들기 : 문서를 새로 저장할 때 같은 이름의 htm 또는 html
파일이 있으면 bak 로 파일 확장자를 바꾸어 저장합니다.
만약 htm 또는 html 파일을 bak 로 바꿀 때 같은 이름의 bak 파일이
있으면 이미 있던 bak 파일은 삭제 됩니다.
2. 자동 저장 간격 : 편집 중인 문서를 자동으로 저장할 시간 간격을
지정합니다. 시간의 단위는 분입니다.
예를 들어 간격에 10 이 입력되어 있다면 웹에디터는 편집중인 문서 중에
내용이 변경된 뒤 10분이 지나면 저장되지 않은 문서들을 자도으로
저장하게 됩니다.
3. 원래 HTML 소스 유지 : HTML 소스를 원래대로 유지합니다.
4. HTML 소스 저장 선택 사항 : 대화상자에서 HTML 소스를 어떻게
절리할 것인지 설정합니다. 원래 HTML 소스 유지를 선택 해제해야
설정한 사항대로 HTML 소스가 정리 됩니다.
5. 수식/차트 그림을 저장할 디렉토리 : 수식이나 차트를 사용했을 때
만들어지는 그림 파일을 저장할 디렉토리를 지정합니다. |
4. 소스 편집 창
HTML 소스 편집 창과 관련된 내용들을 설정합니다.
 |
[일반]
1. 소스 글꼴 : HTML 소스 편집 창에서 사용할 글꼴을 지정합니다.
2. 글꼴 크기: HTML 소스 편집 창의 글꼴 크기를지정합니다.
3. 글자색 : HTML 소스 편집 창에서 사용할 글꼴 색깔을지정합니다.
4. 배경색 : HTML 소스 편집 창의 배경 색깔을 지정합니다.
[HTML]
5. HTML 태그를 색깔로 구분 : HTML 태그의 이름, 속성 이름 속성 값
등을 색깔로 구분하여 표시하고자 할 때 이용합니다.
[여백]
6. 여백 보기 : 줄 번호의 여백을 보이게 할 지 선택합니다. |
7. 여백 색깔 : 줄 번호의 여백을 나타내는 색깔입니다. 기본색은 밝은 회색입니다.
8. 줄 번호 보기 : HTML 소스 편집 창에서 줄 번호를 보이게 합니다. 스크립트 오류를 수정할 때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9. 줄 번호 색깔 : HTML 소스 편집 창에서 줄 번호 색깔을 지정합니다. 기본값은 검정색입니다.
[기타]
10. 자동으로 들여쓰기 : 자동으로 들여쓰기를 실행할 것인지 선택합니다.
11. 오른쪽 경계선에서 줄바꿈 : HTML 소스 창에서 한 소스가 오른쪽 경계선을 넘어가면 자동으로 줄이 바뀌어 한 화면 내에
나타나도록 합니다.
12. 들여쓰기 탭 사용 : 들여쓰기 탭을 사용할 것인지 선택합니다.
13. 탭 크기 : 탭을 사용하여 들여쓰기를 할 때 탭의 크기로 사용되는 공백의 수를 지정합니다. 초기값은 8입니다.
다음 강좌에서 계속해서 프로그램 설정방법을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수고 하셨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