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릅 ; 모두채, 목두채(木頭菜) |
분류 | 산형화목> 두릅나무과> 두릅나무속 |
학명 | Aralia elata (Miq.) Seem. |
분포 | 한국, 일본, 극동러시아, 중국 |
높이 | 2m |
줄기 | 가지에 가시 같은 돌기 발달하였고 털이 많고, 굳센 가시가 많다. |
잎 | 어긋나고 홀수 2회 깃 모양 겹잎이며 잎축과 소엽에 가시가 있고 소엽은 달걀형이며 점첨두이고 넓은 예형 또는 원저이고 길이와 폭이 각 5∼12cm, 2∼7cm로, 큰톱니가 있고 뒷면은 회색이며, 맥 위에 털이 있음 |
꽃 | 6∼8월, 복총상꽃차례로 길이 30∼45cm, 꽃은 양성 또는 수꽃이 섞여있으며 지름 3mm로 흰색이고 꽃잎, 수술과 암술대는 각각 5개 |
열매 | 장과상 핵과로 둥글고 지름 3mm로 검은색이며, 종자는 뒷면에 입상의 돌기가 약간 존재하며 9월 중순∼10월 중순에 성숙한다. |
성분 | 단백질, 섬유질, 칼슘, 철분, 비타민 A, 비타민B1, 비타민B2, 비타민C, 사포닌 등 |
식생 | 남부지방은 3∼4월, 중부지방은 4∼5월 즈음에 순이 나오는 시기에 채취 |
가지의 맨 윗부분과 마디 부분의 작은 눈에서 순이 난다. |
재배용은 10∼15㎝ 되면 수확 |
토양은 토심이 깊고 토양습윤 조건이 적합한 곳, 산성도(PH)는 5.1∼5.8이 알맞다. |
주의사항 | 독성을 제대로 씻어내지 않은 채 많이 먹으면 복통, 설사, 구토, 어지러움증 등을 느낄 수 있다. |
데친 후에 2시간 정도 찬물에 담갔다가 잘 씻어서 먹으면 독성이 제거된다. |
번식 | 뿌리꽂이 | 뿌리꽂이 묘는 3년생 모수에서 100개 이상 채취할 수 있는데 길이 10㎝이상, 굵기 6㎜이상으로 다듬어야 좋다. 시기는 눈트기 전이 좋은데 대체로 3월 상순∼5월 상순이 알맞다. |
정식 | 대체로 눈트기 전이 알맞으며 정식거리는 60X60㎝로 나무두릅은 깊이, 넓이 각각 45∼60㎝의 구덩이에 묘목을 심고 물을 충분히 준 후 다시 마른 겉흙으로 덮어준다. |
재배방법 | 조기재배법 | 2월 하순경 나무두릅의 순에 폭6㎝, 길이 20㎝의 비닐자루를 씌워주거나 지베렐린을 1∼2ppm의 농도로 두릅순에 0.5∼1단 정도 소형분무기로 뿌려준다. |
하우스재배법 | 1∼2월경 눈을 2∼3개정도 붙인 나무두릅의 가지를 길이 20㎝이상으로 잘라 하우스 내에 빽빽히 세워두고 낮20∼25℃, 밤 10∼15℃로 보온하면 30∼40일 후부터 수확할 수 있다. |
촉성연화 재배 | 묘두를 2월 상순경 하우스내에 정식하여 3월 중순경까지 왕겨를 덮고 그 위에 투명비닐터널을 만들어 주고 해가림을 해줌으로써 연화시키는 방법이다. 이때 묘두 100주당 지베렐린을 물 20ℓ에 0.2g을 타서 뿌려주면 생육이 촉진된다. |
관리 | 중경제초 | 묘목을 정식한 후 생육초기에 묘목근처의 잡초를 뽑아주거나 낫으로 베어준다. 제초작업은 연 2회 정도 실시하면 충분하다. |
가지치기 | 나무두릅은 정식 후 2년차부터 4월 하순∼5월 상순경에 새순을 수확한 후 밑둥치 60㎝정도 남기고 전정하여 준다. 4년차부터 땅 속에서 돋아나는 새움을 제거하여 준다. |
솎음질 | 한포기당 새순을 딸 수 있는 가지는 4개정도만 남겨두고 나머지는 솎아준다. |
병·해충 | 병해 | 궤양병, 녹병, 뒤면모무늬병, 줄기마름병 |
충해 | 응애, 하늘소, 두릅나무잎벌레 |
응애 | 도시 근교지역이나 평야지에서 재배할 때 발생된다. |
하늘소 | 8월경에 나무두릅 가지 속에 구멍을 뚫고 침입하여 나무속을 갉아 먹는다. |
방제 | 응애 | 살비제를 사용한다. |
하늘소 | 유기인제 1,000배액을 살포하여 방제한다. |
녹병 | 병에 걸린 낙엽을 긁어모아 태우고 4월 중.하순경의 발아 직전에 석회유황 합제 5%액을 수관에 철저히 살포해 준다. 매년마다 이 병이 심한 과원은 장마가 끝난 후에 다이센 M-45 600배액 또는 디포라탄 800배액을 10∼15일 간격으로 3회 이상 살포하여 예방에 힘쓴다. |
줄기마름병 | 질소질 비료의 과용을 피하고 동해나 피소를 막기 위하여 나무줄기에 백색수성페인트를 발라준다. |
잎벌레 | 유충가해기인 5월 하순에서 7월 하순에 디프제 1,000배액, 나크 3% 분제(ha당 40kg) 등을 수관에 살포한다. 4월 하순에서 5월 상순, 7월∼8월에 성충을 포살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