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莊子 內篇 5 德充符(덕충부) 2-1 子之執政(자지집정)
申徒嘉,兀者也,而與鄭子產同師於伯昏無人。
子產謂申徒嘉曰:「我先出則子止,子先出則我止。」
其明日,又與合堂同席而坐。
子產謂申徒嘉曰:「我先出則子止,子先出則我止。今我將出,
子可以止乎,其未邪?
且子見執政而不違,子齊執政乎?」
申徒嘉曰:「先生之門,固有執政焉如此哉!
子而說子之執政,而後人者也!
聞之曰:『鑒明則塵垢不止,止則不明也。久與賢人處則無過。』
今子之所取大者先生也,而猶出言若是,不亦過乎?」
申徒嘉(신도가) 兀者也(올자야) 而與鄭子産(이여정자산) 同師於伯昏无人(동사어백혼무인)
- 신도가는 발꿈치를 잘린 사람인데 정나라의 자산과 함께 백혼무인을 스승으로 모셨다
子産謂申徒嘉曰(자산위신도가왈)
- 자산이 신도가에게 이르기를,
我先出則子止(아선출즉자지) 子先出則我止(자선출즉아지)
- 내가 먼저 나가면 그대는 남아 있고 그대가 먼저 나가면 나는 남아 있겠네
其明日(기명일) 又與合堂同席而坐(우여합당동석이좌)
- 그 다음 날 또 백혼무인의 집에 모여 함께 자리를 하고 앉아 있게 되었다
子産謂申徒嘉曰(자산위신도가왈)
- 자산이 신도가에게 이르기를,
我先出則子止(아선출즉자지) 子先出則我止(자선출즉아지)
- 내가 먼저 나가면 그대는 남아 있고 그대가 먼저 나가면 나는 남아 있겠네
今我將出(금아장출) 子可以止乎(자가이지호) 其未邪(기미야)
- 지금 내가 나가려는데 그대는 남아 있을 수 있겠는가, 안되겠는가
且子見執政(차자견집정) 而不違(이불위) 子齊執政乎(자제집정호)
- 또한, 그대는 집정자(재상)인 나를 보고도 떨어지지 않으니 그대는 집정자와 신분이 같다는 것인가
申徒嘉曰(신가도왈)
- 신가도 이르기를,
先生之門(선생지문) 固有執政焉(고유집정언) 如此哉(여차재)
- 선생님의 문하에서 이와 같이 집정자니 하는 게 있어야 하는가
子而悅子之執政(자이열자지집정) 而後人者也(이후인자야)
- 그대는 집정관이라는 걸 으시대고 사람을 우습게 여기는 듯 싶네
聞之曰(문지왈)
- 내 듣건대 이르는 말로,
鑑明則塵垢不止(감명즉진구부지) 止則不明也(지즉불명야)
- 거울이 깨끗하면 티끌과 때가 묻지 않고 띠끌과 때가 묻은 거울은 깨끗하지 않으며
久與賢人處(구여현인처) 則無過(즉무과)
- 오랫동안 현인과 함께 있으면 허물이 없어진다고 했네
今子之所取大者(금자지소취대자) 先生也(선생야) 而猶出言若是(이유출언약시) 不亦過乎(불역과호)
- 지금 그대는 선생님의 큰 뜻을 배우겠다면서 그따위 말을 내뱉고 있으니 한심스럽지 않은가
申거듭 신,아홉째 지지 신 1. 거듭, 되풀이하여 2. 아홉째 지지(地支) 3. 방위(方位)로는 서남서, 동물(動物)로는 원숭이 4. 나라의 이름 5. 거듭하다 6. 늘이다, 연장시키다(延長---) 7. 펴다, 베풀다(일을 차리어 벌이다, 도와주어서
昏어두울 혼,힘쓸 민 1. (날이)어둡다, 희미하다(稀微--) 2. 날이 저물다 3. 일찍 죽다 4. 요절하다(夭折--) 5. 장가들다(=婚) 6. (눈이)흐리다 7. 어리석다 8. 현혹되다(眩惑--), 미혹되다(迷惑--) 9. 혼란하다(混亂--)
未아닐 미 1. 아니다, 못하다 2. 아직 ~하지 못하다 3. 아니냐? 못하느냐? 4. 여덟째 지지(地支) 5. 미래(未來), 장차(將次)
執잡을 집 1. 잡다 2. 가지다 3. 맡아 다스리다 4. 처리하다(處理--) 5. 두려워하다 6. 사귀다 7. 벗, 동지(同志) 8. 벗하여 사귀는 사람
違어긋날 위 1. 어긋나다 2. 어기다(지키지 아니하고 거스르다) 3. 다르다 4. 떨어지다 5. 피하다(避--) 6. 달아나다 7. 멀리하다 8. 원망하다(怨望--) 9. 간사하다(奸邪--: 마음이 바르지 않다) 10. 허물
齊가지런할 제,재계할 재,옷자락 자,자를 전 1. 가지런하다 2. 단정하다(端整--) 3. 질서(秩序) 정연하다(整然--: 가지런하고 질서가 있다) 4. 재빠르다, 민첩하다(敏捷--) 5. 오르다 6. 같다, 동등하다(同等--) 7. 좋다, 순탄하다 8. 다스리다
鑑거울 감 1. 거울 2. 본보기 3. 안식(眼識: 안목과 식견) 4. 광택(光澤), 빛 5. 분별(分別)하는 능력 6. 보다, 살펴보다 7. 거울삼다 8. 비추다 9. 식별하다(識別--)
明밝을 명 1. 밝다 2. 밝히다 3. 날새다 4. 나타나다, 명료(明瞭)하게 드러나다 5. 똑똑하다 6. 깨끗하다, 결백하다(潔白--) 7. 희다, 하얗다 8. 질서(秩序)가 서다 9. 갖추어지다 10. 높이다, 숭상하다(崇尙--),...
塵티끌 진 1. 티끌 2. 때, 시간(時間) 3. 유업 4. 소수의 이름 5. 더럽히다 6. 묵다
垢때 구 1. 때, 티끌 2. 수치(羞恥), 부끄러움 3. 때 묻다 4. 더럽다 5. 나쁘다
過지날 과,재앙 화 0. 예전 1. 지나다 2. (지나는 길에)들르다 3. 경과하다(經過--) 4. 왕래하다(往來--), 교제하다(交際--) 5. 초과하다(超過--) 6. 지나치다 7. (분수에)넘치다 8. 넘다 9. 나무라다 10. 보다, 돌이켜 보다...
----------
-----------
03.겉모양과 신분은 무의미한 것이다
<신도가와 정자산의 대화 1/2>
申徒嘉(신도가),兀者也(올자야), 而與鄭子產同師於伯昏無人(이여정자산동사어백혼무인)。 子產謂申徒嘉曰(자산위신도가왈): 「我先出(아선출),則子止(즉자지);子先出(자선출),則我止(즉아지)。」 其明日(기명일),又與合堂同席而坐(우여합당동석이좌)。 子產謂申徒嘉曰(자산위신도가왈): 「我先出(아선출),則子止(즉자지);子先出(자선출),則我止(즉아지)。 今我將出(금아장출),子可以止乎(자가이지호),其未邪(기미야)? 且子見執政而不違(차자견집정이불위),子齊執政乎(자제집정호)?」 |
신도가(申徒嘉)는 절름발이인데
정나라 자산(子産)과 함께 백혼무인(伯昏無人)을 스승으로 모셨다.
〈병신과 나란히 걷는 것이 싫어서〉 자산이 신도가에게 말했다.
“내가 먼저 나가면 자네가 남아 있고, 자네가 먼저 나가면 내가 남아 있겠네.”
그 다음날에 또 같은 집에 모여 자리를 함께하고 앉아 있었다.
자산이 신도가에게 말했다.
“〈어제〉 내가 먼저 나가면 자네가 남아 있고, 자네가 먼저 나가면 내가 남아 있겠다고 말했는데,
지금 내가 나가려 하니, 자네가 남아 있어 주겠는가? 아니면 그렇게 할 수 없겠는가?
또 자네는 집정자(執政者)를 보고도 피하지 않으니, 자네가 집정자와 같은 신분인가?”
---------------------------------
○ 申徒嘉(신도가) : 인명(人名). 成玄英은 성(姓)은 신도(申徒), 이름은 가(嘉), 정(鄭)나라의 현자(賢者)라고 했는데 역시 가공(架空)의 인물이다.
○ 鄭子産(정자산) : 인명(人名). 成玄英은 성(姓)은 공손(公孫), 이름은 僑(교), 자(字)는 자산(子産), 정(鄭)나라의 현명한 대부(大夫)라고 했다. 자산(子産)은 춘추시대(春秋時代) 후기(後期)의 뛰어난 정치가로, 당시 초(楚)나라와 진(晉)나라 같은 강대국 사이에서 압박받던 정(鄭)나라를 교묘한 외교정책과 내정개혁을 통해 유지함으로써 공자에 의해 군자로 칭송되었다. 정(鄭)나라는 자산(子産) 등이 활약하던 시대가 지나가자 점차 쇠퇴해져서, 전국시대(戰國時代) 초기 한(韓)나라에 의해 멸망되었다. 따라서 이 문답이 쓰여진 무렵에는 이미 정(鄭)나라는 존재하지 않았을 것이다(池田知久).
○ 同師於伯昏無人(동사어백혼무인) : 함께 백혼무인을 스승으로 모심. 伯昏無人(백혼무인)은 인명(人名). 가공의 인물로, 〈田子方(전자방)〉편, 〈列禦寇(열어구)〉편에는 열자(列子)의 선생으로 나오며, 〈列禦寇(열어구)〉편에는 伯昏瞀人(백혼무인)으로 되어 있다.
○ 我先出則子止(아선출즉자지) 子先出則我止(자선출즉아지) : 내가 먼저 나가면 자네가 남아 있고, 자네가 먼저 나가면 내가 남아 있겠네. 郭象은 “월형(刖刑)을 받은 절름발이와 함께 다니는 것을 부끄럽게 여긴 것이다[羞與刖者並行].”라고 풀이했다.
○ 見執政而不違(견집정이불위) : 집정자(執政者)를 보고도 피하지 않음. 집정(執政)은 집정자(執政者), 곧 재상(宰相)인 자산(子産)이 스스로를 세력을 지닌 권력자라고 일컬은 호칭이다. 不違(불위)는 자리나 길을 비켜주지 않는다는 뜻.
○ 子齊執政乎(자제집정호) : 자네가 집정자와 같은 신분인가. 齊(제)는 제준(齊準)의 뜻으로 가지런함. 여기서는 신분이 동등함을 뜻한다.
申徒嘉曰(신도가왈): 「先生之門(선생지문),固有執政焉如此哉(고유집정언여차재)? 子而說子之執政而後人者也(자이열자지집정이후인자야)! 聞之曰(문지왈):『鑑明則塵垢不止(감명즉진구부지),止則不明也(지즉불명야)。 久與賢人處(구여현인처),則無過(즉무과)。』 今子之所取大者(금자지소취대자),先生也(선생야), 而猶出言若是(이유출언약시),不亦過乎(불역과호)!」 |
신도가가 말했다.
“선생님의 문하에서도 참으로 이와 같이 집정자니 뭐니 하는 구분이 있는가?
자네는 바로 자신의 권력을 믿고 남을 함부로 업신여기는 사람이다!
내가 듣건대, ‘거울이 깨끗하면 티끌이나 때가 붙지 않는다. 티끌이나 때가 붙으면 그 거울은 밝게 비추지지 못한다.
오랫동안 현인과 함께 있으면 허물이 없어진다.’라고 했네.
지금 자네가 큰 도(道)를 배우겠다고 모시는 사람은 바로 선생님인데,
아직도 이와 같이 말을 하니 또한 잘못이 아닌가!”
---------------------------------
○ 固有執政焉(고유집정언) 如此哉(여차재) : 참으로 이와 같이 집정자니 뭐니 하는 구분이 있는가. 郭象은 “이곳은 덕을 논의하는 곳이지 지위를 따지는 곳이 아니다[此論德之處 非計位也].”라고 말한 것이라고 풀이했다.
○ 子而說子之執政(자이열자지집정) 而後人者也(이후인자야) : 자네는 바로 집정이라는 자신의 지위를 믿고 남을 함부로 업신여기는 사람임.
子而(자이)는 子乃(자내)와 같고, 說(열)은 기뻐하다는 뜻으로 여기서는 恃(믿을 ‘시’)와 같은 의미로 쓰였다. 後人(후인)은 “다른 사람을 뒤로 여기다.”는 뜻으로 남을 업신여긴다는 의미. 林希逸은 “남을 뒤로 하는 자는 자신을 앞세운다. 자신을 앞세우고 남을 뒤로 하면 자신을 귀하게 여기고 다른 사람을 천하게 여긴다[後人者 先己也 先己而後人 則貴我而賤物].”고 풀이했다.
○ 鑑明則塵垢不止(감명즉진구부지) : 거울이 깨끗하면 티끌이나 때가 붙지 않음.
鑑明(감명)은 거울이 밝다는 뜻으로 인간의 마음을 비유한 표현이고, 塵垢(진구)는 티끌과 때로 과오(過誤)를 비유한 것이다. 止(지)는 付着의 뜻.
○ 止則不明也(지즉불명야) : 티끌이나 때가 붙으면 밝게 비추지지 못함. 不明은 거울이 흐려진다는 뜻.
○ 久與賢人處則無過(구여현인처즉무과) : 오랫동안 현인과 함께 있으면 허물이 없어짐. 오랫동안 현인과 함께 머물면 때를 씻어내게 됨을 비유.
○ 今子之所取大者(금자지소취대자) : 지금 자네가 큰 道를 배우겠다고 모시는 사람. 所取大者(소취대자)는 ‘大道를 取하는 바의 사람’, 곧 도를 배우겠다고 모시는 사람으로 해석할 수도 있고, ‘위대하다고 여겨서 따르는 사람’이라는 두 가지 해석이 모두 가능하지만 여기서는 大를 大道로 보고 번역하였다.
본 자료의 번역은 전통문화연구회의 동양고전종합DB(http://db.juntong.or.kr)에서
인용된 내용입니다.
--------------------------------------
<원문출처> 中國哲學書電子化計劃
道家 -> 莊子 -> 內篇 -> 德充符
2
申徒嘉,兀者也,而與鄭子產同師於伯昏無人。子產謂申徒嘉曰:「我先出,則子止;子先出,則我止。」其明日,又與合堂同席而坐。子產謂申徒嘉曰:「我先出,則子止;子先出,則我止。今我將出,子可以止乎,其未邪?且子見執政而不違,子齊執政乎?」申徒嘉曰:「先生之門,固有執政焉如此哉?子而說子之執政而後人者也!聞之曰:『鑑明則塵垢不止,止則不明也。久與賢人處,則無過。』今子之所取大者,先生也,而猶出言若是,不亦過乎!」
신도가(申徒嘉)는 절름발이인데 정나라 자산(子産)과 함께 백혼무인(伯昏無人)을 스승으로 모셨다. 〈병신과 나란히 걷는 것이 싫어서〉 자산이 신도가에게 말했다.
“내가 먼저 나가면 자네가 남아 있고, 자네가 먼저 나가면 내가 남아 있겠네.”
그 다음날에 또 같은 집에 모여 자리를 함께하고 앉아 있었다.
자산이 신도가에게 말했다.
“〈어제〉 내가 먼저 나가면 자네가 남아 있고, 자네가 먼저 나가면 내가 남아 있겠다고 말했는데, 지금 내가 나가려 하니, 자네가 남아 있어 주겠는가? 아니면 그렇게 할 수 없겠는가? 또 자네는 집정자(執政者)를 보고도 피하지 않으니, 자네가 집정자와 같은 신분인가?”
신도가가 말했다.
“선생님의 문하에서도 참으로 이와 같이 집정자니 뭐니 하는 구분이 있는가? 자네는 바로 자신의 권력을 믿고 남을 함부로 업신여기는 사람이다! 내가 듣건대, ‘거울이 깨끗하면 티끌이나 때가 붙지 않는다. 티끌이나 때가 붙으면 그 거울은 밝게 비추지지 못한다. 오랫동안 현인과 함께 있으면 허물이 없어진다.’라고 했네. 지금 자네가 큰 도(道)를 배우겠다고 모시는 사람은 바로 선생님인데, 아직도 이와 같이 말을 하니 또한 잘못이 아닌가!”
[출처] 03[장자(내편)] 第5篇 德充符(덕충부) : 03.겉모양과 신분은 무의미한 것이다(3/9)작성자 swings81
못 생긴 애와 같은 반인 것도 싫은데,
그 애가 자꾸 같이 다니자고 하면?
애나 어른이나 좋아할 사람이 없습니다.
장자의 시대나 지금이나 역시 좋아할 사람이 없습니다.
못 생긴 애와 함께 다녀야 하는 것은 이상이고,
현실은 그와 정 반대임을 인정해야 할 것입니다.
중국 춘추전국시대 정나라의 재상이었던 정자산(鄭子産)은 잘난 사람이었고, 신도가(申徒嘉)는 죄를 져서 발뒤꿈치를 잘린 절름발이였습니다. 둘은 외모나 신분이 어울릴 수 없는 사람이었습니다. 그런데 같은 학교, 같은 반이었습니다. 백혼무인(伯昏无人)의 제자였지요.
정자산은 신도가와 함께 다니는 것이 싫어서 내가 먼저 갈 테니 너는 천천히 오라고 했습니다. 혹시 네가 먼저 가고 싶다면 내가 천천히 가겠다고 했습니다. 같이 다니기가 싫었던 것이지요.
어제도 그러더니 오늘 또 똑같은 말을 들은 신도가가 정자산에게 한 마디 합니다. 훌륭한 스승을 모시는 사람이 그래서 쓰겠느냐고 말입니다.
예전에는 유명 호텔이나 골프장에 가면 자동차에 따라 사람을 차별했다고 하던데... 요즘은 좀 달라졌겠지요?
그런데 이쁘면 모든 것이 용서된다는 말은 지금도 유효한 말인 것 같습니다.
<본문 읽기>
신도가라는 사람은
월형(刖刑)을 받아 발뒤꿈치가 잘린 사람이다.
정자산(정나라의 재상)과 함께
백혼무인을 스승으로 모시고 있었다.
자산이 신도가에게 말했다.
“내가 먼저 나갈 테니 그대는 남아 있게.
그대가 먼저 나간다면 내가 남아 있으리다.”
다음 날도 다시 두 사람이 스승의 집에서 만났다.
자산이 신도가에게 또 같은 말을 했다.
“내가 먼저 나갈 테니 그대는 남아 있게.
그대가 먼저 나간다면 내가 남아 있으리다.”
“내가 지금 나가려고 하는데
그대가 남아있겠는가, 어찌 하겠는가?”
“도대체 그대는 정승을 보고도 어려워하지 않으니,
그대는 정승과 신분이 같다는 건가?"
신도가가 대답했다.
“스승님 문하에 정승이란 게 따로 있었던가?
그대는 자신이 정승이라고 남을 얕보고 있네.
듣건대 거울이 맑음은 때가 끼지 않았기 때문이요,
때가 끼면 흐려진다고 했네.
또한 현인과 오래 사귀면 허물이 없어진다고도 했지.
스승님의 큰 덕을 배워야 할 그대가,
그런 말을 하다니 그것은 잘못이 아닌가?”
[출처] 장자 덕충부(德充符篇) 4 - 외모와 신분을 떠나라작성자 사봉 조진형
♣ 장자(내편) 덕충부 3 - 겉모양과 신분은 무의미한 것이다
신도가는 형벌로 다리를 잘린 사람이었는데, 정나라 재상인 자산과 함께 백혼무인을 스승으로 모시고 있었다.
자산이 신도가에게 말했다. “내가 먼저 나가게 되면 자네는 머물러 있고, 자네가 먼저 나가면 내가 머물러 있기로 하세. 나는 지금 나가려고 하는데 자네는 머물러 있을 것인가? 그리고 자네는 재상인 나를 보고도 길을 비키려 하지 않는데, 자네는 재상과 자네의 신분이 같다고 보고 있는 것인가?”
신도가가 말했다. “선생님의 문하에 원래부터 재상이라는 것이 있었는가? 자네는 자신이 재상이라는 것을 내세우면서 남을 업신여기고 있다. 거울이 맑은 것은 먼지와 때가 묻지 않았기 때문이고, 먼지와 때가 묻으면 거울은 맑지 않게 된다. 오랜 동안 현명한 사람과 같이 생활을 하면 곧 잘못이 없게 된다고 했다. 지금 자네가 크게 떠받들며 배우고 있는 분은 우리 선생님이다. 그런데도 이런 말을 하고 있으니 잘못 된 것이 아닌가?”
[출처]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