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세 신수화(辛受和) 자:제이(濟而)
생년:1650년 10월 3일 효종 원년 경인년(庚寅年) 수70세
졸년:1719년 2월 4일 숙종45년 기해년(己亥年)
과거:진사시 1681년 10월 4일 숙종 7년 신유년(辛酉年) 식년시 진사3등 35위
관직:상의원 첨정.청주진관병마절제도위.양근군수. 안산군수. 수원진관병마동첨절제사.장례원사의.공조좌랑.정랑. 의금부도사. 보은현감. 형조좌랑.사헌부 감찰.귀후서별제(歸厚署別提). 사포서별검(司圃署別檢)
증 가선대부 호조참판 겸 동지의금부사
四子:신최언.신최선.신최량.신최민
配:정부인 완산이씨 좌승지 후(垕) 녀
생년:1650년 4월 10일 효종 원년 경인년(庚寅年) 수78세
졸년:1727년 11월 12일 영조 3년 정미년(丁未年)
◆ 사포서별검(司圃署別檢) :원포와 채소에 관한 일을 관장하는 사포서의 8품 관직
◆ 귀후서별제(歸厚署別提):관곽을 만들고 장례에 관한 일을 관장하는 귀후서 6품 관직
◆형조좌랑(刑曹佐郞):법률 소송등을 다루는 형조의 정6품 벼슬
◆현감(縣監):현의 우두머리 종6품 벼슬
◆도사(都事):감찰 규찰을 맏아보던 종5품 벼슬
◆공조정랑(工曹正郞):공조에 속한 정5품 벼슬
◆장례원사의(掌隷院司儀):노비를 관리하는 장례원에 속한 정5품 벼슬
◆병마 동첨절제사:종4품의 외관직 벼슬
◆군수(郡守):
◆병마 절제도위(兵馬節制都尉): 조선 시대에 둔 종6품 무관 벼슬
◆ 상의원 첨정:왕실의 의복과 재물을 관리하는 상의원의 종4품 벼슬
◆승정원일기 실기
승정원일기 25책 (탈초본 475책) 숙종 39년 1월 24일 임인 4/14 기사 1713년 康熙(淸/聖祖) 52년
李溶 등에게 관직을 제수함
○ 吏批, 以李溶爲南陽府使, 半行缺辛受和爲安山郡守。缺 兵批, 以趙鎭禧·李善行竝付副司正, 徐命均, 單付副司勇。
승정원일기 420책 (탈초본 22책) 숙종 30년 9월 9일 병오 9/15 기사 1704년 康熙(淸/聖祖) 43년
辛受和가 4일 모친상을 당했다는 忠淸監司의 서목
○ 忠淸監司書目, 報恩縣監辛受和今月初四日, 母在喪事。
◆교지
추증교지:통훈대부(정3품) 행 상의원 첨정 신수화 증 가선대부(종2품) 호조참판 겸 동지의금부사 오위도총부부총관 자
가선대부 동지중추부사 신최민(넷째아들) 고 의법전추
교지:통훈대부(정3품下階) 행 상의원 첨정 신수화 증 통정대부(정3품上階) 승정원 좌승지 겸 경연참찬관 자
부사원종1등공신 사산감역관신최언(첫째아들) 고 봉울사승전
교지 신수화 위 봉렬대부 행 상의원 첨정 자
교지 신수화 위 봉렬대부 행 공조정랑 자
교지 신수화 위 조산대부 행 장례원 사의 자
교지 신수화 위 조봉대부 행 장례원 사의 자
교지 신수화 위 중직대부 행 안산군수 자
교지 신수화 위 중훈대부 행 안산군수 자
교지 신수화 위 통훈대부 행 양근군수 자
교지 신수화 위 봉정대부 행 안산군수 자
교 통덕랑 행 귀후서 별제 신수화 위 통덕랑 행 사헌부 감찰 자
교 전 현감 신수화 위 통덕랑 행 의금부 도사 자
교 통덕랑 행 의금부 도사 신수화 위 통덕랑 행 공조좌랑 자
◆사마방목: 신수화(辛受和) 진사시 1681년 10월 4일 숙종 7년 신유년(辛酉年) 식년시 진사3등 35위
◈보은현감 신수화의 체직서류
해유첩정(解由牒呈) 2점 1704년 9월 4일 체직하게 된 전보은현감 신수화의 해유를 위해 보은현감이 호조로 보내는 첩정 1점, 지방관이 해유첩정에 붙인 물목단자
해유이관(解由移關)해유는 관원이 교체될 때 후임관에게 그 사무와 관리하던 물품을 인계하고 재직 중의 회계와 물품관리에 대한 책임을 면하기 위한 인계서류 임 2점
◆영산신씨족보(靈山辛氏族譜) 정해보
1707년 정해년(丁亥年)에 서울에 사는 예산종중 신수화(辛受和)께서 시조를 신희(辛喜)로 하는 예산 파보를 편찬했다.그 후로 예산종중은 1862년 임술년에 발행한 임술보까지 시조를 신희(辛喜)로 하는 예산 파보를 발행하였다 신수화(辛受和)께서 1707년 정해보를 발간하기 위하여 전국의 족보자료를 수단하면서 현재 7세 신희(辛喜)이상의 선대자료는 세대의 차례가 연결이 안되고 이름이 서로 어기어지고 사이가 비는등 고증이 불가 함으로 이 계서는 짐록지사라 규정하고 시조를 신희(辛喜)로 하는 예산파보를 발행하기 시작했다
◆영산신씨파보 임술보-예산파보
이후로 예산문중에서는 초당공파 예산 도사공계의 수단을 하여 파보를 만들기시작 했는데 현7세 신희(辛喜) 윗대의 차례(世序)와 휘행(諱行)등이 고증이 없는 짐록지사(斟錄之事)라 규정하고 신희(辛喜)를 시조로 하여 파보를 편찬 하였다
하지만 1918년 무오년(戊午年)에 경북 포항시 북구 기계면 화봉5리 에서 4세 신몽삼(辛夢森)의 지석이 발견되어 실전한 산소를 찾게 되었다 이로 인해 그동안 불확실 했던 세서가 고증이 되어 현 1세부터 6세까지 고증이 되었다 한다 예산 파보 편찬시 고증이 안된 6세까지를(신경→운민 →영계 →몽삼 →각계 →백연) 앞에 실었다
1862년 임술년에 발간한 예산의 파보에 시조를 신희(辛喜)로 하고 있지만 첫장에는 신경→운민 →영계 →몽삼 →각계 →백연 이렇게 6대를 기록해 놓고 고증이 안되어서 7세 신희(辛喜)를 시조로 삼아 족보를 편찬 했다
그런데 4세 신몽삼의 지석이 발견되었다 내가 보기에 그것으로 모두 고증이 된것 같지는 않은데 하여튼 그러한 과정으로 현재 신희 시조설 보다는 신경 시조로 확정이 된것 같다
◆辛受和의 가계
靈山人 郡守 父輔壁 子僉樞最彦 子最善 子僉樞最良 子同樞最敏 女牧使潘南 朴弼謨 女縣監原州元命恒
◆1녀의 사위 박필모(朴弼謨) 통훈대부 청주목사.신천군수.영천군수.온양군수.부사과.밀양부사.충원현감.빙고별제.전주판관
서계집 제21권 / 부록(附錄)
시장(諡狀)
공(公)의 휘(諱)는 세당(世堂), 자(字)는 계긍(季肯), 호는 서계초수(西溪樵叟)이고, 젊은 시절의 호는 잠수(潛叟)이다
(서계집 내용중 신수화의 딸 내용)
지평의 초취(初娶)는 참봉 김하진(金夏振)의 따님으로, 딸을 하나 낳았는데 진사 이덕부(李德孚)에게 출가하였다. 후취(後娶)는 사인(士人) 정직(鄭直+力)의 따님으로, 두 아들 필기(弼基)와 필모(弼謨)를 낳았다. 필기는 사인 임진영(任震英)의 따님을 맞이하여 3남 4녀를 낳았다. 아들은 사심(師心)이고, 딸은 조한필(趙漢弼)에게 출가하였으며, 나머지는 어리다.
응교는 완남부원군(完南府院君) 이후원(李厚源)의 따님을 맞이하였는데, 아들이 없어 필모를 데려다 후사로 삼았으며, 딸 하나는 진사 이덕해(李德海)에게 출가하였다. 필모는 첨정(僉正) 신수화(辛受和)의 따님을 맞이하여 3남 2녀를 낳았다. 아들은 사윤(師允)이고, 나머지는 어리다.
◆2녀 사위 원명항(元命恒) :선공감가감역.선공감감역.장흥고주부.의금부도사.평시서영.함창현감
조선왕조실록
경종 4년 갑진(1724) 3월 22일(병신)
경기 여주읍에 불이 나 휼전을 내리다
경기 여주(驪州) 읍내에 불이 나서 70여 채의 집이 연달아 타버리고 사인(士人) 원명항(元命恒)의 아내 신씨(辛氏) 등 네 사람이 불에 타 죽어서, 휼전(恤典)을 거행하라고 명하였다.
형제관계
弟:신태화(辛台和) 자:재천(在天) 초휘(初諱):필명(弼明)
생년:1654년 월 일 효종 5년 갑오년(甲午年) 수45세
졸년:1698년 11월 24일 숙종24년 무인년(戊寅年)
관직:통덕랑
묘:전주 초곡면 백동리 사좌(巳坐) 유갈(有碣)
配:김해김씨 현감 우성(宇星) 녀
생년:1659년 10월 12일 효종10년 기해년(己亥年) 수69세
졸년:1727년 10월 22일 영조 3년 정미년(丁未年)
묘:공묘 하
弟: 신이화(辛以和)
생년:미상
졸년:미상
관직:옥포만호(玉蒲萬戶)
配:완산이씨 연완(挻完) 녀
配:창원황씨
1姉:매부:이진주(李鎭周)-1645년 생. 을유(乙酉) 생원시 합격.진보현감
2妹:매부:최석항(崔錫恒)-1654~1724.진사시 합격 .문과 합격.도승지.대사헌.대사간.대사성.형조판서.이조판서.
병조판서.예조판서.좌참찬. 예문관 대제학.우의정. 좌의정
3 妹 :매부:이횡(李宖)-1657년생.문과합격.승지.충청도관찰사
4 妹:매부:양익기(梁益機)
5 妹:매부:이대저(李大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