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간씩 흩날리는 빗방울을 맞아가면서 아침 5시20분 집을 나선다. 중랑천자전거도로를 자전거를 타고 의정부터미널까지 간다.
의정부터미널에서 운천터미널로 가는 시외버스는 첫차가 6시30분이다.
라면과 김밥으로 아침을 대신하고 서둘러 버스에 오른다. 1시간 정도 걸려서 운천터미널에 도착했다.


중랑천변 아침5시40분경



드라마 촬영지로 유명한 비둘기낭폭포다. 폭포는 보이지 않고 웅덩이만...
이곳은 캠핑장으로 유명하다. 텐트에서 하루 자고 근처 한탄강을 낀 걷기길을 걸으며 자연을 만끽하면 멋진 시간이 될 것 같다.


한탄강에 주상절리가 생긴 이유에 대해 나중에 한여울길을 가면서 우연히 만난 사람에게서 들었다. 오이산이라는 곳에서 화산이 커다랗게 폭발하여 평지였던 곳이 용암으로 땅이 깎이고 계곡이 생기고 돌들에 구멍이 모두 뚫려 버렸다고 한다. 계곡 주변은 용암이 훑고 지나가 주상절리가 되었다는... 한탄강을 옆으로 끼고 걸으며 바라보면 제주도에서 본 것과 비슷한 주상절리가 많이 보인다.

경기도 포천과 강원도 철원의 경계지점. 금강산까지 76km밖에 안떨어져 있다는 사실에 새삼 놀란다. 가까운데도 갈 수 없는 곳

도로변에 있는 삼부연폭포. 이곳에서부터 비가 오락가락 내리기 시작했다.

순담계곡. 이곳이 한탄강래프팅의 시작점이다.

고석정 바로 앞에 코스코스십리길을 만들어 놓았다. 제법 멋지다.

드뎌 고석정에 도착.

오덕리에서 고석정까지 한탄강 옆으로 잘 조성되어 있는 한여울자전거길.

우연히 산책하는 사람을 만나 얻은 살구. 약간 시큼하면서도 단맛이 돌아 먹을만했다.


한반도 모양의 강물

숨겨진 감사의 계곡. 송대소

직탕폭포

학저수지. 이 저수지에 학이 많이 와서 놀았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도피안사

노동당사.
지난번 라이딩때 와보았던 곳이지만 이번엔 자전거를 세워두고 당사 주변을 샅샅히 훑어보았다. 폭격으로 파괴된 담과 2층으로 올라가는 계단 등도 파괴되었다. 각층 벽들을 보니 이곳에서 북한군이 작전을 세우고 일을 했다는 생각에 알 수 없는 감회가 든다.

소이산 봉수대 올라가는 길. 이곳 정상은 생각하는 것과는 전혀 다른 실망스러운 곳이다. 봉수대라고 해서 돌로 만든 봉수대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현대식 건물로 지어진 전망대만 덩그러니.. 차라리 이름을 소이산전망대라고 하지... 사기당한 느낌...
절대 비추 올라가지 말것..

소이산에서 내려와 길을 달리다보니 평화누리길 자전거도로가 보였다. 자전거도로 양옆에는 예쁜 꽃들도 피어있다.
하지만 자전거도로는 공사로 막혀있어 돌아갈 수도 없어서 자전거를 들고 고생이 많았다. 역시 행정과 현실은 동떨어져있다.

자전거도로를 버리고 국도로 자전거를 달린다. 연천을 지나서부터 17km정도다.

소요산역에 도착하니 오후2시15분. 2시30분 이전에 도착하리라 마음먹은 대로 도착하여 바로 전철을 탔다.

내리막을 내려오던 중 무언가 부러지는 소리가 나면서 브레이크가 듣지 않았다. 별 조치를 취할 수 없어 그냥 달려왔는데 브레이크패드를 교체하려고 보니 디스크가 브레이크패드와 닿아 모두 부러져 톱니처럼 되어버렸다. 이런 황당한 일이...
비가 약간씩 오락가락하는 날씨였지만 오히려 덥지 않고 무사히 라이딩을 마쳤으니 감사할 따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