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행진곡은 요한슈트라우스 1세 (왈츠의 왕 요한 슈트라우스 2세의 아버지)가 작곡하여 라데츠키 장군의 이름을 붙힌 곡이다 오스트리아 황제 페르디난트 1세 앞에서 처음 연주하면서 3번이나 앙코르 박수를 받을 만큼 당시 정치 상황과 관련이 깊다 이때가 1848년이다
--------------------------------
1848년은 프랑스를 포함하여 유럽 여러 지역 - 특히 오스트리아 제국과 합스부르크 가문이 통치하는 국가들 - 에서 자유주의와 민족주의의 뜨거운 열기와 함께 민중 봉기가 많이 일어난 해이다
프랑스 파리에서는 계속되는 경제난으로 궁핍해진 민중들이 선거법 개정을 둘러싸고 부르주아들과 같이 봉기한다 루이 필리프 1세 왕이 망명하고 제2공화국이 세워진다 2월혁명이다
연이어 오스트리아 빈에도 2월혁명의 물결이 넘어와 강경보수파 메테르니히 총리가 물러나고 프랑스혁명 이전의 왕정체제를 유지하자고 합의한 빈 체제도 서서히 허물어진다
독일에서는 프랑크푸르트 국민의회가 구성되어 자유선거를 실시하고 헌법을 발의한다 바그너도 이 시기에 반왕정 활동을 한다 카를 마르크스의 공산당 선언도 이즈음이다
이탈리아 지역에서도 독립운동이 활발하게 일어나면서 로마 베네치아 롬바르디아 등에서 자체적으로 공화국을 선포하기 시작한다
부다페스트에서도 민족주의 봉기가 일어나고 체코인 슬로바키아인 폴란드인 등은 프라하에서 범슬라브모임을 결성한다 스메타나도 프라하 시민봉기에 참여한다
덴마크 스웨덴 스위스 폴란드 루마니아 벨기에 아일랜드 스페인 브라질 콜롬비아 등에서도 시민 봉기가 연이어 일어난다
오스트리아 빈은 혼란에 빠져있다 시민들의 잦은 집회와 봉기로 메테르니히 총리의 퇴임 이후 책임내각은 수시로 교체된다 결국 독립 요구가 드센 헝가리에게 법률 국방 외교 등 자치권을 넘겨주기로 한다 독일어 사용 통치지역은 독일제국으로 합류할 것 같고 이탈리아 북부의 롬바르디아 지역도 합스부르크의 통치권이 거의 힘을 잃고 있다 밀라노와 베네치아에서도 민중들이 들고 일어나기 시작한다 이러다가 합스부르크 가문의 오스트리아 제국이 해체될 수도 있는 상황이다
---------------------
오스트리아 제국이 통치하는 이탈리아를 보자
이탈리아 북부지역의 샤르데냐 왕국이 롬바르디아 지역을 합병하면서 점차 세력을 키운다
통치 지역의 잦은 봉기로 어수선한 오스트리아 빈에서는 샤르데냐 왕국과의 휴전을 거론한다 이탈리아 주둔 오스트리아 군사령관인 82세의 라데츠키 장군은 휴전에 반대하며 롬바르디아-베네토 지역의 샤르데냐군에게 반격한다
5개월간의 치열한 공방전 끝에 샤르데냐 군대를 진압한 오스트리아 군대는 카를로 알베르토 왕을 퇴위시킨다 이 때 최초의 드론이라고 할 수 있는 풍선폭탄으로 베네치아를 공격하기도 한다
라데츠키 장군이 쿠스토차 전투에서 샤르데냐 군대를 진압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그동안 우울하던 빈은 환호의 물결로 뒤덮힌다 이때 합스부르크 가문과 가까운 요한 슈트라우스1세는 '라데츠키 행진곡'을 작곡하여 황제 앞에서 바로 연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