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메리칸 워터 스패니얼 (American Water Spaniel)
► 이 명 : 아메리칸 워터 스패니얼(American Water Spaniel)
► 외 관 : 아메리칸 워터 스패니얼의 크기는 체고 36~46㎝, 체중 11~20kg 정도되는 중형견이며, 수컷이 암컷보다 조금 크다. 몸집은 균형이 잡혀 있고 동작에 힘이 넘친다. 털은 거칠고 곱슬곱슬하며 한 방향으로 나 있다. 목, 등, 귀, 꼬리 부분은 긴 털로 덮여 있고 털빛은 적갈색, 갈색, 초콜릿색 등이다. 머리는 둥그스름하며 주둥이는 강인한 느낌을 주는 사각 모양이다. 털은 잘게 말려 있으며, 얼굴은 털이 없어 매끄럽고 귀와 꼬리는 풍성한 털로 덮여 있다.
아메리칸 워터 스패니얼은 아이리시 워터 스패니얼이 먼 친척인 만큼 외형은 비슷하지만, 그의 조상보다 체구는 작으면서 몸의 길이는 더 길다. 발이나 가슴에 하얀 얼룩이 있을 수도 있다. 이 개의 체구는 작지만 많은 능력을 지니고 있다. 주둥이는 길고 강해서 큰 거위를 물고 다닐 수 있을 정도이며, 물과 육지를 자유롭게 다닐 수 있는 강한 상체를 가졌다.
키보다 몸길이가 약간 길며, 단단한 몸과 근육을 자랑한다. 무성한 털은 곱실거리고 힘이 넘치는 꼬리를 감싸고 있다. 이러한 털은 변화 많은 날씨와 덤불, 물로부터 몸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귀는 몸보다 훨씬 곱실거리는 털로 뒤덮여 있다. 등이 잘 발달했고 강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곧고 강한 앞다리는 방수되는 털로 감싸여 있다. 걸음걸이는 균형이 잡혀 있다.
► 설 명 : 아메리칸 워터 스패니얼은 민감하지만 주인을 잘 따르는 개로 그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물을 무척 좋아한다. 정기적으로 신체적, 정신적 훈련을 받는다면 사냥개로뿐만 아니라, 반려견으로도 가능하다. 후각이 발달되어 있고, 매우 활동적이므로 험난한 지형에서도 쉽게 지치지 않는다. 길들이기가 쉽고 다른 동물이나 아이들과도 잘 지내므로 어느 정도의 활동공간이 마련된다면 가정견으로도 적합하다.
일반적으로 집에서 기르는 다른 개들과도 잘 어울리지만, 외부인에게는 공격적일 수도 있다. 도시와 아파트 생활에도 적합하며, 활동량이 많은 품종이므로 충분한 운동이 필요하고 어렸을 때부터 정기적으로 훈련을 시키는 것이 좋다. 털은 지성이며, 일주일에 한번 정도의 빗질이 필요하다. 평균 수명은 10~12년 정도이다.
► 주 의 : 특별히 알려진 유전적 질환은 없으며, 질병에 대한 내성도 비교적 강한 편이다. 다만, 다른 스패니얼 견종들과 마찬가지로 피부질환이 많은 편이며, 특히 지루성 피부염과 음식으로 인한 알레르기성 피부염에 약한 특징을 보이므로 주의하여야 한다. 귀가 장식 털로 덮여있으므로 외이염 등의 질병에도 유의하여야 한다.
전형적인 조렵견이지만 어릴 때부터 반려 견으로서의 훈련만 잘 시킨다면 멋진 반려 견으로서도 키울 수있다. 학습 능력도 좋아서 길들이기가 쉽고, 다른 동물이나 아이들과도 잘 지내므로 어느 정도의 활동공간이 마련된다면 가정견으로도 적합하다. 훈련은 어릴 때부터 시키지 않으면 훈련이 아주 힘이 들기 때문에 어릴 때부터 주인과 같이 놀이나 산책 등을 통하여 지속적으로 훈련을 시키는 것이 좋다.
물을 아주 좋아하고, 또 물을 무서워하지 않으므로 물에서 자주 놀게 해 주는 것이 좋으며, 운동량도 어느 정도 많은 편에 속하므로 매일 운동을 시켜주는 것이 좋다. 마음껏 뛰어다니고 싶은 욕망이 강하므로 산책 시 허용이 된다면 목줄을 풀어서 신나게 한바탕 달리게 해 주는 것이 좋다.
성장기 때에는 식탐이 많은 편이지만 성견이 되면 스스로 적당히 먹는다. 따라서 비만견이 되는 경우는 드물다.
평상 시에는 일주일에 한번 정도의 빗질이면 털 관리는 충분하다. 털은 기름기가 털 표면에 많은 지성이기 때문에 물이 금방 마른다. 털갈이 시기에는 엄청나게 털이 빠지므로 매일 두 세 차례의 빗질이 필요하다. 가능한 자주 빗질을 해 주는 것이 외부기생충 제거에도 도움이 된다. 일 년에 두 세 번의 미용은 필요하며, 대부분 가위 미용 위주로 미용을 해 주는 것이 원칙이다.
► 기 원 : 아메리칸 워터 스패니얼(American Water Spaniel)의 원산국은 미국이다. 아이리시 워터 스패니얼(Irish Water Spaniel)과 잉글리시 워터 스패니얼(English Water Spaniel), 컬리 코티드 리트리버(Curly Coated Retriever)를 혼합 교배한 품종으로 알려져 있다. 아메리칸 워터 스패니얼(American Water Spaniel)은 새를 날아오르게 하거나, 총에 맞은 새를 물어오는 조렵견으로서, 1800년대 후반에 미국 중서부 지역에서 많이 길렀다. 오늘날에도 물속과 땅 위를 가리지 않고 작은 동물들을 쫓는 사냥개로서의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아메리칸 워터 스패니얼(American Water Spaniel)은 미국 위스콘신에서 진화하였으며, 아이리시 워터 스패니얼의 혈통을 일정부분 이어받았을 것으로 짐작된다. 곱실거리는 레트리버와 필드 스패니얼 또한 이 개의 진화에 도움을 주었다. 위스콘신주(State of Wisconsin)를 대표하는 활발하고 활동성 넘치는 이 개는 잉글리시 스프링어 스패니얼, 브리타니, 그리고 노바 스코셔 덕 톨링 레트리버 등의 개들과 유사한 역할을 한다. 이것은 사냥감, 특히 물새를 물에서 몰아내거나 날아오르게 한 다음 전형적인 부드러운 입으로 사냥꾼에게 물어온다.
마르고 가벼운 몸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른 봄부터 늦은 가을까지 미시간과 위스콘신, 그리고 미네소타의 추운 습지대 물에서 일을 하는 사냥꾼들의 카누나 소형보트에 타는 것이 가능하다. 이 개는 1920년대 위스콘신 내과 의사 '페이퍼(Dr.F.J. Pfiefer)'에 의해 현재의 형태를 갖추었지만, 내란이 일어나기 전이었던 1850년대에 이 타입과 비슷한 쇼 견이 흑백사진이 발견되었다. 북미 외에서는 거의 볼 수 없는 이 개의 가까운 사촌이 캐롤라이나에 살고 있는데, 보이킨 스패니얼(Boykin Spaniel)이 그것으로 물을 좋아하고 칠면조 사냥에 쓰이는 아이리시 워터, 그리고 필드 스패니얼의 또 다른 후손이다.
► 비 고 : 아메리칸 워터 스패니얼은 FCI(세계 애견연맹) 분류 그룹 8 리트리버, 플러싱 독, 워터 독 그리고 섹션 3 워터 독 스탠다드 No. 301로 등록이 되었다.
1940년 미국켄넬클럽의 인증을 받았으며, 인증 후에도 주로 사냥에만 쓰이고 전람회나 가정용으로는 거의 쓰이지 않았다. 미국에서 개발된 품종 중 하나임에도 불구하고 미국켄넬클럽 인증 종 가운데 가장 덜 알려진 개이다. 아메리칸 워터 스패니얼(American Water Spaniel)은 미국 위스콘신 주의 주견으로 지정되어 있다.
□ 공식 견종 표준
► 외형 : 아메리칸 워터 스패니얼의 크기는 체고 36~46㎝, 체중 11~20kg 정도되는 중형견으로 수컷이 암컷보다는 큰 편이다. 일반적인 조렵견을 의미하는 스포팅 그룹에 속한다. 외모는 근육질이며, 중간 정도 키에 곱슬곱슬하게 물결치는 털을 가지고 있다. 적당한 체고에 각 부분이 조화로우며, 털의 질감과 색깔에 강조점을 둔다. 근육이 잘 발달했고, 힘과 기품이 가득하다. 근육질의 건장한 체격과 뼈대를 가지고 있지만 둔해 보일 정도는 아니다. 신체 비율은 체고보다 체장이 조금 더 길고, 체형이 지나치게 네모나거나 땅딸막하지도 않다.
► 머리 : 머리는 몸 전체와 균형이 맞은편이고 적절한 길이이다. 안면은 확신과 매력으로 가득한 명민한 표정을 가지고 있다. 두개골은 꽤 넓고 강하며, 스톱은 적당하게 윤곽이 보이지만 너무 두드러지지는 않았다.
• 코 : 코는 짙은 색으로 검은색이나 짙은 갈색이며, 코는 충분히 넓다. 콧구멍은 냄새를 맡기에 알맞게 잘 발달해 있다.
• 입 : 주둥이는 적절한 길이에 사각형이며, 매우 깊고 전혀 뾰족하지 않다. 입술은 축 늘어지지 않고 팽팽하게 맞물린 뚜렷한 입술을 가지고 있다. 이빨의 형태는 협상교합(위턱의 앞니가 아래턱의 앞니보다 조금 앞에서 맞물리는 상태)이나 절단교합(위턱의 앞니와 아래턱의 앞니의 끝 부분이 마주쳐 맞물리는 상태) 모두 인정이 된다. 턱은 강하고, 튼튼해 보인다.
• 눈 : 눈의 크기는 중간 정도의 크기이고, 두 눈 사이가 알맞게 벌어져 있으며, 살짝 둥글긴 하지만 튀어나온 듯해서는 안 된다. 눈꺼풀은 처지지 않았다. 눈의 색은 털 색과 조화를 이루는 노르스름한 밝은 갈색부터 녹갈색이나 짙은 갈색까지 있다. 황색 눈은 허용하지 않으며, 이럴 경우 황색 눈은 레몬과 같은 밝은 색상이다. 황색 눈과 노르스름한 밝은 갈색과 혼동해서는 안 된다.
• 귀 : 귀는 눈높이보다 조금 높게 달렸지만 머리에서 지나치게 높은 곳에 달리지는 않았다. 귀는 잎 모양이면서 길고 넓으며, 두꺼운 피부는 코까지 내려올 수도 있다.
► 목 : 목은 둥글고, 중간 길이이며, 힘이 있어 보이고 근육질이다. 목에는 피부가 겹치지 않으며, 고개를 위엄 있게 들고 있는 아치형이지만 지나치게 강조되지는 않았다.
► 몸통 : 몸통은 잘 발달했고, 튼튼한 체격을 갖추고 있지만 지나치게 다부진 체형은 아니다. 등선은 수평이거나 어깨부터 약간 완만하게 비스듬하며, 허리는 힘이 센 편이다. 가슴은 잘 발달했고, 앞다리 무릎까지 이어져 있으며, 너무 넓지도 좁지도 않다. 늑골은 내려와 있지만 앞다리의 움직임을 방해할 정도는 아니다. 옆구리는 턱 업 되어 보이지는 않는다.
► 꼬리 : 꼬리는 중간 길이이며, 로커(흔들의자 밑 부분에 대는 활 모양의 나무 막대)같은 곡선이다. 꼬리는 등 아래나 위로 움직일 수 있고, 꼬리는 끝으로 갈수로 가늘어진다. 털로 덮인 꼬리는 활기차게 움직이며, 털은 적당한 피더링(깃털처럼 긴 장식 털)이 있다.
► 사지 : 앞다리 전체적인 모습은 중간 길이이고 곧으며, 골격이 좋다. 앞다리는 개가 일할 때 움직임이 어려울 정도로 짧지 않으며. 투박해 보일 정도로 육중하지도 않다. 어깨는 비스듬히 내려와 있고, 두드러지면서 근육질이다. 발목은 힘이 세고, 전혀 허약해 보이지 않으며, 겹 갈고리발톱을 허용한다. 앞발의 크기는 개의 체격에 맞는 비율이어야 한다. 발가락은 밀착되어 모아져 있고, 발 갈퀴 막이 있다. 패드는 알맞은 상태이다.
뒷다리 전체적인 모습은 힘과 활력이 있어 보인다. 뒷무릎 관절부터 발바닥까지의 다리는 중간 길이이고 힘 있으며, 곧으며 골격이 좋은 편이다. 엉덩이는 잘 발달해 있고, 허벅지도 잘 발달해 있는 편이다. 뒷무릎 관절은 살짝 둥글고, 뒷무릎 관절의 윤곽은 가냘프지도 돌출되지도 않았으며, 적정한 각도를 가지고 있다. 뒷무릎은 평행하고, 뒷발의 크기는 체격에 맞는 비율이다. 발가락은 밀착되어 모아져 있으며, 발 갈퀴 막이 있다. 패드는 알맞은 상태이다.
► 털과 색 : 털은 거칠고 곱슬곱슬하며 한 방향으로 나 있고, 잘게 말려 있으며, 목, 등, 귀, 꼬리 부분은 긴 털로 덮여 있다. 얼굴은 털이 없어 매끄럽고, 귀와 꼬리는 풍성한 털로 덮여 있다. 무성한 털은 곱실거리고, 힘이 넘치는 꼬리를 감싸고 있는데 이러한 털은 변화 많은 날씨와 덤불, 물로부터 몸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귀는 몸보다 훨씬 곱실거리는 털로 뒤덮여 있다. 귀 부위의 털을 깎아 주는 경우도 많은데 결격사유에 해당되지는 않는다. 곧고 강한 앞다리는 방수가 되는 털로 감싸여 있다.
모색은 적갈색과 갈색 그리고 초콜릿색 등이 있으며, 검은색을 가진 개체도 나타난다. 발가락과 가슴에 흰색이 약간 있는 것은 허용되지만 그 빈도가 높은 개체는 결격사유에 해당이 된다.
► 걸음걸이 : 걸음걸이는 앞다리를 잘 뻗으며, 뒷다리의 추진력이 좋은 편이다. 움직일 때 앞에서 보면 앞다리 관절이 전혀 드러나지 않으며, 뒷다리는 근육이 많다. 카우 호크(뒷무릎 관절 아랫부분이 바깥을 향하고 있는 모양)는 인정되지 않는다. 걸을 때 뒤에서 보면 뒷다리가 움직일 경우에는 가능한 한 평행이 된다는 인상을 주어야 한다. 뒷무릎은 잘 휘고, 전체적인 인상은 견고하면서 힘이 있어 보이는데 실제로도 강하고 힘차게 보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