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운대 관문이 부끄럽다
옛 해운대역사 부지 시외버스 정류장 및 쇼핑몰·호텔 등 복합건물 제안
본격적인 여름철에 접어들면서 많은 관광객들이 해운대를 찾고 있다. 동해남부선 이설로 해운대역을 53사단 옆 신해운대역으로 옮기는 바람에 기차로 해운대 해수욕장을 찾는 사람들은 엄청 불편하게 되었다. 설상가상으로 해운대 시외버스는 2곳으로 분리되어 시외버스로 해운대를 찾는 외지인들은 해운대의 첫인상에 실망할 지도 모른다.
● 터 못 잡는 해운대 시외버스터미널
현재 해운대 시외버스터미널은 2군데로 나뉘어져 스펀지 앞에서 대구·울산·경남행 버스 40대를 해운대고속(주)에서 운영하고 있고, 약 1.2km 떨어진 해운대기계공고 입구 왼쪽에는 경남고속이 수도권행 시외버스 50대를 운영하고 있다.
두 회사는 1975년부터 옛 해운대역 앞의 옛 시외버스정류장 부지를 토지 공동소유권자인 일광여객과 모저축은행으로부터 임차하여 운영하였다. 그러다 저축은행 부지에 호텔이 건립되고 일광여객과는 매년 임대차계약에 따른 분쟁이 이어지는 등 이런저런 이유로 이전이 불가피해졌다. 지주는 소송까지 하면서 2009년 2월말까지 이전을 요구했으나, 해운대고속(주)와 경남고속에서는 이전 부지를 쉽게 구하지 못해 부산시에 이전대책을 수차례 요구했다.
그러나 부산시는 사상터미널이나 노포터미널로 통합하든지 아니면 외곽으로 이전하기를 요구하면서 사실상 방관했다고 한다. 인가권을 가진 경상남도에 차고지 이전 인가요청을 하자 경상남도에서는 부산시에 운영 가능 여부를 물어왔다. 부산시와 해운대구는 중심미관지구에 차고지 이전은 불가하다고 경상남도에 통보하여 결국 인가 없이 간신히 현재의 두 차고지로 이전했다.
경남고속은 4년 전에 이전을 했고, 해운대고속(주)는 작년 1월 스펀지 건너 교회부지 뒤를 일부 매입하고 철도공사 부지를 임대하여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두 회사는 불법시설이라는 이유로 수시로 과태료 처분을 받고 있다. 여객운수사업법에 의해 설치된 사상과 노포 시외버스 정류장과 달리 해운대 시외버스 정류장은 지방자치단체 지원 대상도 아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5900A33596831822E)
![](https://t1.daumcdn.net/cfile/cafe/275CDC335968318434)
● 기차가 다니지 않아도 해운대의 관문
작년 해운대 시외버스 이용객이 100만 명을 넘었다. 상황이 이런데도 부산시와 해운대구청은 해운대 시외버스 터미널을 계속 민영사업으로 치부한 채 이용객들의 편의를 무시하고 있다. 해운대 주민들조차 자신들의 목적지에 가려면 두 곳 중 어느 정류장에서 버스를 타야 하는지 잘 모른다. 더운 여름이나 추운 겨울에 무거운 짐을 들고 어느 정류장인지 몰라 양쪽을 왔다 갔다 하는 이용객들의 고통은 고스란히 해운대 이미지의 실추로 이어질 것이다.
해운대역의 외곽 이전으로 인해 불편해진 관광객들을 시외버스로 유도하기 위해서라도 부산시와 해운대구는 해운대 시외버스 터미널이 제자리를 잡도록 지원해야 할 것이다.
지면을 빌어 제안하건대, 아직 개발되지 않고 있는 옛 해운대역 부지에 복합건물을 유치해 1, 2층에 시외버스 정류장으로 이용하는 것은 어떨까 한다. 여기에 버스 이용객들을 위한 쾌적한 편의시설을 갖춘다면 해운대를 찾는 관광객들과 해운대 구민들에게 한결 편안한 교통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3층과 4층에는 백화점이나 아울렛 같은 유통판매시설을 두고 5층 이상에는 호텔 같은 숙박시설을 짓는다면 해운대를 찾는 방문객들을 보다 즐겁고 편리하게 해줄 수 있을 것이다.
옛 해운대역사는 비록 기차가 운행되지 않아도 해운대의 관문이나 마찬가지다. 지하철 해운대역이 여기에 있고 해운대를 오가는 시외버스들이 이곳 주변을 기점으로 전국을 오간다. 대중교통을 이용해 해운대를 찾는 사람들은 대부분 여기에서 해운대를 처음 느낀다.
옛 해운대역사에 해운대를 오가는 시외버스가 자리를 잡고, 거기서 바로 해운대 바다로 연결되는 구남로를 보고, 또한 부산 각지로 연결되는 지하철과 버스를 이용해 부산을 느끼고 즐길 수 있다면 해운대는 부산의 관광중심이자 문화중심지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다.
/ 김영춘 객원기자
첫댓글 시외버스 진출입구가 많이 위험합니다.